항목

  • 군수의 내용
    개요 역사적으로 보아, 또 기능상으로 보아 군수는 보급·수송·군수시설·군수지원의 4개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보급 보급은 군대가 필요로 하는 물자를 제공하는 기능으로서 보급의 과정은 크게 4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① 군의 수요에 알맞는 완제품을 만들어내는 계획·개발·생산 과정, ② 완제품을 생산업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군수체계 軍需體系, logistics system
    전사학자(戰史學者)인 앨프레드 T. 매헌이 산업동원과 전시경제를 거론하면서 군수라는 용어를 미해군 내에 다시 도입했고, 이어 미해병대 중령인 사이러스 소프...조달·보급·정비·수리, 인원·장비의 수송·전개 및 관리·운용 등 다양한 업무를 그 내용으로 하지만 원천적으로 전투부대의 지원을 중핵업무로 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방
  • 군수 郡守
    내용 군수라는 명칭은 중국 진(秦)나라가 제후들을 진압하고 그 땅에 군을 설치해 수(守)를 둔 것이 그 기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신라시대에는 군을 설치해 태수(太守)·소수(小守)를 두었다. 고려시대에는 군이라는 행정 단위는 없고 지군(知郡)이 있었는데, 여기에 지군사(知郡事)를 설치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시대 :
    조선
    성격 :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군수 기획 軍需企劃, Logistics Planning
    국방 기획 관리 제도상 기획 체계에서 군수 분야의 기획을 수립하는 과정으로서 군수 군사력 소요와 정책안을 제시하는 것. 즉 적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군사 전략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군수 분야의 군사력 소요를 제기하며, 군사력을 효과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군수 정책 발전 방향과 지침을 제시하여 군수 중기...
  • 군수공업화정책 軍需工業化政策
    5일 「국가총동원법」의 시행에 의해 군수물자 최우선의 군수공업화정책이 본격적인 단계로 돌입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내용 이 시기의 군수공업화정책은 일체의 인간 생산이 군수 산업이요, 일체의 시장상품이 군수용품이라는 대전제 밑에서 강행된 것으로, 이러한 대전제 밑에서는 군수·민수의 품목 구별이 따로 있을...
    시대 :
    근대
    성격 :
    법제, 정책
    유형 :
    제도
    시행일 :
    1931년 만주사변 후
    시행처 :
    조선총독부
    분야 :
    역사/근대사
  • 군수산업 방위산업, 軍需産業
    방위산업(防衛産業)이라고도 한다. 군수산업은 민수산업(民需産業) 및 평화산업과 구분되나 그 범위에 대한 엄밀한 규정은 곤란하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군사기술, 전술, 일반기술의 발달, 전쟁의 성격변화와 함께 달라진다. 예컨대 1991년 미국과 이라크 사이의 전쟁에서 보듯 군사기술의 진보는 화학·핵·전자무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산업
  • 군수 郡守
    내용 주민의 직접선거에 의하여 선출되는 선거직 공무원이다. 군수는 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군의 고유업무와 국가 또는 도지사로부터 위임된 위임사무를 관장한다. 주요 업무는 일반행정·선거·재정·산업·새마을사업 등의 고유사무와 소속 읍·면의 업무를 지휘, 감독하는 일이다. 군은 우리나라의 지방행정구역...
    시대 :
    현대
    성격 :
    지방자치단체장, 관직
    유형 :
    제도
    시행일 :
    1995년 10월
    분야 :
    정치·법제/법제·행정
  • 군수포제 放軍收布制
    내용 조선 초기의 진관체제(鎭管體制)는 15세기 말부터 16세기 전반 동안 점차 붕괴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군역 의무 수행의 일반적인 형태로 등장한 것이...制), 각 지방의 진(鎭)·영(營)을 방수하는 유방정병(留防正兵)의 경우 방군수포제였다. 지방군의 방군수포는 당초 군사들의 편의를 위한 점이 없지 않았다...
    시대 :
    조선
    성격 :
    군제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이공제비 및 군수 이후범선 영세불망비 李公隄碑 및 郡守 李侯範善 永世不忘碑
    내용 1988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공제비는 정조 때 대구 판관(判官)이었던 이서(李溆)의 치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송덕비(頌德碑)이다. 이 당시 대구분지(大邱盆地)를 관류했던 하천은 지금과는 달리 용두산-수도산-동산-달성공원앞-금호강으로 흘렀기 때문에 홍수 때마다 큰 피해...
    시대 :
    조선 후기 , 근대/개항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서예
  • 반부 군수(君秀), 潘阜
    군수(君秀)이고, 호는 해려재(海旅齋)이다. 주요 활동 1267년(원종 8)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 이장용(李藏用)이 고려에 왔던 몽골의 사신 흑적(黑的)에게 글을 보내 일본과 국교를 맺지 말 것을 청한 것이 문제가 되는 사건이 일어났다. 하지만 이장용이 이를 국왕에게 보고하지 않았다. 원종(元宗)은 반역의 뜻이...
    시대 :
    고려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시흥군 수암면 3·1운동 시흥군 수암면 삼일운동, 始興郡 秀岩面 三一運動
    대표적인 만세 시위였다. 이 시기에 3·1운동은 가장 광범위하고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었는데, 시흥군에서도 전국적인 독립 만세 시위 상황에 부합되게 일어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특히 ‘조선이 독립하면 국유지는 소작인의 소유가 된다’며 소작인들의 계급의식을 고취하는 내용이 나타났다는 점도 특징이다. 참고문헌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발생 :
    1919년 3월 30일
    성격 :
    독립운동, 3·1운동
    유형 :
    사건
    종결 :
    1919년 3월 30일
    분야 :
    역사/근대사
    관련 인물/단체 :
    윤병소(尹秉昭), 홍순칠(洪淳七), 이봉문(李奉文)
    관련 장소 :
    경기도 시흥군 수암면 비석거리[현 안산시 상록구 수암동]
  • 양반전 兩班傳
    쇤네 쇤네" 하는 것이었다. 군수는 "곡식이 많되 아끼지 않고 남의 어려움을 돌봐 주고 높은 자리를 그리워하니 참된 양반이다"라면서 부자를 치켜세운 뒤, 중요...군수는 양반이 지켜야 할 덕목과 행동을 일일이 열거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5경에 일어나 등불 켜고 〈동래박의 東來博義〉처럼 어려운 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소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