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광주산맥 廣州山脈태백산맥(太白山脈)의 금강산(金剛山) 부근에서 시작하여 남서방향으로 서울 부근까지 이르는 산맥. 개설 광주산맥의 북서쪽은 추가령구조곡(楸哥嶺構造谷), 남동쪽은 북한강(北漢江)이 경계를 이룬다. 즉 북한강 유역과 임진강(臨津江) 유역 사이의 산줄기라고 알려져 있다. 자연환경 광주산맥의 북동부에는 백산(白...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광주광역시 光州廣域市접하고 있다. 목포·남원·순천·여수·정읍 등 인근지역의 교육·문화 및 정치·경제활동의 중심기능을 수행하는 호남 제일의 도시이다. 행정구역은 동구·남구·서구·북구·광산구 등 5개구 95개 행정동 202개 법정동이 있다. 시청소재지는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이다. 면적 501.18㎢, 인구 1,418,241(2024).
- 위치 :
- 대한민국 서남부
- 인구 :
- 1,418,241 (2024)
- 면적 :
- 501.18㎢
- 행정구역 :
- 5개구 95개동
- 사이트 :
- http://www.gwangju.go.kr/
-
-
광덕산 廣德山내용 높이 1,046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광주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동쪽에 복주산(伏主山, 1,152m)·대성산(大成山, 1,175m), 남쪽에 백운산(白雲山, 904m), 서쪽에 명성산(鳴聲山, 923m) 등이 솟아 있으며, 산의 모습이 웅장하고 덕기(德氣)가 있다 하여 이름이 광덕산이 되었다 한다. 자등리에서 발원한 수계(水系)는...
- 성격 :
- 산
- 유형 :
- 지명
- 면적 :
- 높이 1,046m
- 소재지 :
-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강원도 철원군 서면,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화악산 華岳山내용 높이 1,468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광주산맥(廣州山脈)에 속하는 산으로 서쪽에 국망봉(國望峰, 1,168m), 동쪽에 응봉(鷹峰, 1,436m) 등이 있으며 경기도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다. 서쪽 사면의 북면 적목리에서 발원한 수계는 명지산(明智山, 1,267m)에서 발원한 지류와 합하여 가평천을 이룬 후, 북한강으로...
- 성격 :
- 산
- 유형 :
- 지명
- 면적 :
- 높이 1,468m
- 소재지 :
- 강원도 화천군 사내면, 경기도 가평군 북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광주시 廣州市2579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3개 읍, 4개 면, 3개 행정동(13개 법정동), 174개 행정리(68개 법정리)가 있다. 시청은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에 있다. 자연환경 광주산맥의 말단부에 위치하여 구릉성 산지가 발달하고 있다. 동쪽에는 정암산(正巖山 403m) · 해협산(海狹山, 531m)이 남종면에 입지하고...
- 유형 :
- 지명/행정지명ˑ마을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
산맥 山脈, mountain ranges첫째는 한반도의 지체구조에 영향을 미친 대보조산운동에 의한 화강암 관입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산맥들로, 차령산맥, 광주산맥, 노령산맥, 그리고 적유령산맥 등이 이에 속한다. 2차 산맥의 두 번째 부류에 속하는 산맥은 대부분 침식에 의해 남은 산지들로 인식할 수 있어 ‘침식산맥’이다. 침식산맥은 다시 산지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산 山중국방향산계는 북북동 · 남남서 내지 북동 · 남서 방향의 산맥들로서, 주로 습곡구조로 되어 있다. 이 산계에 속하는 산맥들로는 소백산맥 · 노령산맥 · 차령산맥 · 광주산맥 및 마식령산맥 등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지형을 남북으로 양분하는 서울∼원산 간의 이른바 추가령곡(楸哥嶺谷)을 비롯하여, 예성강곡...
- 유형 :
- 개념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
대한민국의 지질과 지형운동으로 형성된 산맥이기 때문에 높고 맥이 뚜렷하다. 소백산맥도 높고 맥이 뚜렷하여 융기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태백산맥에서 남서방향으로 뻗어나간 광주산맥과 차령산맥은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비대칭적 경동지형에 주로 지질구조선을 따라 하곡이 파이고 하곡들 사이에 산지가 남음으로써 나타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