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광복군의 활동
    1940년 9월 17일 대한민국임시정부 산하의 무장독립군으로 충칭[重慶]에서 창설된 항일군대의 활동 내용. 광복군은 중국의 지원을 받으며 활동해야 했기 때문에 중국과의 대립이 불가피했는데, 처음에는 중국 군대의 보조가 된다는 협정이 있었다가 이를 거부하고 교섭을 시도하여 끝내는 중국군의 간섭을 최소하는 데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한국광복군의 근간, 청년 독립운동가, 이재현 ・ 한형석 ・ 송면수 李在賢 ・ 韓亨錫 ・ 宋冕秀
    광복군 제2지대 선전부장을 담당한 그는 광복군의 공식 군가인 ‘광복군가’를 짓고 ‘압록강 행진곡’ 등을 작곡하였다. 최전선에서 이뤄진 선전 활동에 힘입어 광복군은 지속적으로 병력을 증강할 수 있었다. 1943년 그가 간행한 『광복군가집』 제1, 제2집은 독립운동을 대표하는 우리나라의 등록문화재가 되었다...
    출생 :
    이재현 1917년한형석 1910년송면수 1910년
    사망 :
    이재현 1997년한형석 1996년송면수 1950년
    포상훈격 :
    이재현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한형석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송면수 1992년 건국훈장 애국장
  • 광복군 光復軍
    일본 제국주의자들을 타도하기 위해 연합군의 일원으로 항전을 계속한다"는 창군목적을 천명했다. 그러나 선언문에서 드러나듯이 광복군의 활동은 자주성에 커다란 한계가 있었다. 광복군은 국군양성 및 훈련을 통해 궁극적으로 국내진공작전을 추진하여 조국의 자주독립을 쟁취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나, 국민당정부의...
  • 채원개 중국 곳곳에서 독립전쟁을 치르며 항일 자취를 남긴 광복군 지휘관
    국외로 망명하여 중국동북지역을 무대로 한 무장투쟁을 거쳐, 대한민국임시정부 활동, 중국관내지역 독립운동, 중국 군벌전쟁 참여 및 중국군 복무, 한국광복군 활동으로 이어지는 다채로운 항일역정의 발자취를 남겼다. 그러기에 채원개의 독립운동을 살피는 일은 독립운동의 광활한 지역적 분포와 전개 형태의 다양성...
    출생 :
    1895년 3월 24일, 평안남도 영원
    사망 :
    1974년 2월 16일
    포상훈격 :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
  • 한국광복군 광복군, 韓國光復軍
    창설을 승인하는 조건으로 광복군의 활동을 규제하기 위한 조처였다. ① 광복군은 중국군 참모 총장의 명령과 지휘를 받아야 하며, 임시정부는 단지 명의상으로만 통수권을 갖는다(제1·2항). ② 광복군은 한국이나 한국 변경에 근접한 지역에서만 활동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되, 반드시 중국군과 연합해서 행동하여야...
    시대 :
    근대
    설립 :
    1940년
    성격 :
    군대, 군사조직
    유형 :
    단체
    해체 :
    1946년 6월
    분야 :
    역사/근대사
  • 광복군사령부 光復軍司令部
    金昌坤)이 각각 임명되었다. 1920년 7월경에는 광복군총영이 관톈 현에 설치되었다. 광복군사령부가 각계 지도자를 망라한 영도기관이라면 광복군총영은 보다 효율적인 전투활동을 위한 정예 전투군단이었다. 총영장은 광복군사령부 제2영장인 오동진이 맡고, 경리부장은 광복군 참리부장인 조병준이 맡았다. 총영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 무장독립투쟁을 견지한 군인, 대한민국 공군 창설의 주역, 최용덕 崔用德
    李俊植, 제2지대장 : 金學奎 제3지대장 : 公震遠, 제4지대장 : 金東山 935년 2월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집행위원직을 사임하고 중국 공군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선생은 한국광복군 비서처 업무를 관장하면서 총사령 이청천을 보좌했다. 1942년과 1943년 총사령부의 편제가 개편되면서 각각 총무처장(總務處長)과 참모처장...
    출생 :
    1898년 9월 19일
    사망 :
    1969년 8월 15일, 서울 성북동
    수상 :
    독립장 1962
  • 독립군 부부에서 광복군 가족으로 독립전쟁에 투신한, 오광선 ・ 정현숙 吳光鮮 ・ 鄭賢淑
    당원에 가입하여 임정 활동에 참여하다가 해방을 맞았다. 오희영과 희옥 자매 역시 1939년 2월 조직된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에 가담하여 선전활동에 참여한 것은 물론, 광복군에 입대해 초모공작 등에 활약하였다. 오희영은 먼저 광복군에 입대하여 초모공작 등에서 활약했고, 동생 희옥도 공립중학교 3학년 다니다가...
    출생 :
    오광선 1896년 5월 14일, 경기 용인 / 정현숙 1900년 3월 13일, 경기 용인
    사망 :
    오광선 1967년 5월 3일, 정현숙 1992년 8월 1일
    포상훈격 :
    오광선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정현숙 1995년 건국훈장 애족장
  • 이범석 李範奭
    활동사항 1910년 사립 장훈학교(長薰學校)에 들어갔으며, 1913년 이천공립보통학교를 거쳐서 경기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였다. 1915년 여운형(呂運亨)과 함께 중국으로 건너가 1916년 항저우체육학교(杭州體育學校)에서 6개월간 수학하였으며, 원난강무학교(雲南講武學校)를 수석으로 졸업하자 구대장 서가기(徐家驥...
    시대 :
    근대
    출생 :
    1900년
    사망 :
    1972년
    경력 :
    광복군 참모장, 국무총리, 국방부장관, 주중국대사, 내무부장관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족청계 숙청
    직업 :
    독립운동가, 군인, 정치인
    대표작 :
    방랑의 정열, 민족과 청년, 우등불
    성별 :
    분야 :
    정치·법제/정치
    본관 :
    전주(全州)
  • 재러 한인사회의 중심, 권업회의 지도자들, 이종호 ・ 최봉준 ・ 김학만 李鍾浩 ・ 崔鳳俊 ・..
    준비하였다. 이후 각지에서 설립되는 망명정부들의 효시가 된 이 정부가 ‘광복군정부’라고 이름을 정한 이유는 독립군(광복군)을 조직하여 일제와의 독립전쟁...권업회는 대한광복군정부의 건립과 더불어 독립군 양성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활동을 조직적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사관학교를 설치하여 독립군의 중견...
    출생 :
    이종호 1885년, 함경북도 명천최봉준 1859년, 함경북도 경흥김학만 미상, 함경남도 단천
    사망 :
    이종호 1932년최봉준 1917년 김학만 미상
    포상훈격 :
    이종호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최봉준 1996년 건국훈장 독립장김학만 2012년 건국훈장 애국장
  • 장준하 張俊河
    체제 반대운동을 주도하던 중 1975년 의문의 등산 사고로 사망했다. 생애와 활동사항 일본 도요대학[東洋大學] 예과를 거쳐 도쿄의 니혼신학교[日本神學校]에서...중국중앙군관학교(中國中央軍官學校) 린취안(臨泉) 분교 한국광복군간부훈련반(약칭 한광반)에 입대했다. 이곳에서 훈련을 받으면서 여가를 이용해 잡지...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일본과 중국에서의 독립항쟁
    갈래로 나뉘어졌던 세력을 1938년 한국독립당으로 통합하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힘을 실어주었다. 임시정부는 3당 통합으로 인적 기반이 확대되자 그해 9월 광복군을 창설하여 당(의정원), 정(임시정부), 군(광복군)의 국가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임시정부의 조직과 체제가 확대되자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던 좌익세력...
    시대 :
    1919년~1945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4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