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과학기술정책 科學技術政策과학기술정책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이다. 한국의 과학기술정책은 1960년대와 1970년대의 형성기, 1980~1996년의 확대기, 1997년 이후의 전환기를 통해 진화해 왔다. 형성기에는 과학기술 활동에 필요한 기반을 조성하는 데 초점이 주어졌던 반면, 확대기의 과학기술정책은 연구 개발 활...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Science policy 과학기술정책Science policy is an area of public policy which is concerned with the policies that affect the conduct of the science and research enterprise, including the funding of science, often in pursuance of other national policy goals such as technological innovation to promote commercial product develo...출처 영어 위키백과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科學技術政策硏究院위해 설립된 정부출연의 연구기관. 1987년 1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부설된 과학기술정책연구평가센터(CSTP)를 전신으로 하며, 1999년 5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으로 개원했다. 주요 연혁 • 1987년 1월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과학기술정책연구 평가센터(CSTP) 설립 • 1993년 5월 : 과학기술정책관리...
- 설립 :
- 1987년 01월
- 소재지 :
- 세종특별자치시 시청대로 370 세종국책연구단지 과학·인프라동 5~7F
- 사이트 :
- http://www.stepi.re.kr/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STEPI, 科學技術政策硏究院관련된 경제사회의 제반문제를 연구 분석함으로써 국가 과학기술 정책의 수립과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한다. 연원 및 변천 1987년 1월 한국과학기술원 부설 과학기술정책연구평가센터가 설립되었고, 1993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STEPI)로 개편되었다. 1999년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와 한국...
- 위치 :
- 서울특별시 동작구 보라매로5길 15 전문건설회관 20층
- 설립 :
- 1987년 1월
- 유형 :
- 단체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대한민국 남한, 大韓民國아시아대륙과 동해 사이에 있는 국가. 한국(韓國:Korea) 또는 남한(South Korea)이라고도 불린다. 한국이라는 명칭은 남·북한을 통틀어 말하는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으나, 좁은 의미에서는 대한민국을 가리킨다. 한국을 가리키는 외국어 코리아(Corea, Korea)는 고려 또는 고구려에 대한 중국측 호칭인 고려가 유럽에...
- 인구 :
- 51,377,213명 (2023년 행정안전부 자료)
- 수도 :
- 서울
- 면적 :
- 100,443㎢, 세계면적순위
- 공식명칭 :
- 대한민국, Republic Of Korea
- 기후 :
- 대륙성 기후
- 민족 구성 :
- 한민족
- 언어 :
- 한국어, 한국수어
- 정부/의회형태 :
- 중앙집권공화제 / 다당제&단원제
- 국가원수/정부수반 :
- 대통령 / 대통령
- 화폐 :
- 원 (₩)
- 대륙 :
- 동북아시아
- 국가번호 :
- 82
- 인구밀도 :
- 512명/km²
-
조선 4대 왕, 세종 충녕대군, 世宗이바지하고 과학기술을 크게 발전시키는 한편, 축적된 국력을 바탕으로 국토를 넓혔다. 이름은 도(). 자는 원정(元正). 태종의 셋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이다. 비(妃)는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온(沈溫)의 딸 소헌왕후(昭憲王后)이다. 즉위 및 유교적 지배체제의 확립 1408년(태종 8) 충녕군...
- 출생 :
- 1397(태조 6)
- 사망 :
- 1450(세종 32)
- 국적 :
- 조선, 한국
- 종교 :
- 불교
- 재위 :
- 1418년~1450년
- 시호 :
- 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
- 능묘 :
- 영릉(英陵)
-
고도성장과 현대생활성장 정책에 의한 경기의 상승으로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생활의식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노동자의 의식도 다양해져 사생활을 즐기려는 취향이 국민 전체를 사로잡았다. 그러나 이 같은 고도성장의 여파는 물가의 상승을 가져와 1961년 이후의 물가가 연평균 6퍼센트를 넘는 상승세를 보였다. 산업 규모가...
-
기술드라이브정책 기술약진전략, 技術drive政策에서 기술드라이브를 제5공화국의 과학기술정책(科學技術政策)의 공식 기조로 선포하였다. 과학기술처는 ‘기술 주도의 새 시대 전개’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제5공화국의 과학기술정책이 제2의 경제 도약을 위한 기술 주도의 정책 방향에 있다고 밝혔다. 전두환은 ‘앞으로 정부의 모든 경제사회발전 계획이나 산업...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