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548(명종 3) |
---|---|
사망 | 1618(광해군 10) |
국적 | 조선, 한국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 자는 공신, 호는 부훤. 할아버지는 대사헌 항이며, 아버지는 응이다. 1572년(선조 5) 춘당대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관직을 거쳐 1591년 공주목사가 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금강 유역을 굳게 지키고 영규·조헌(趙憲) 등과 함께 청주탈환작전에 성공하는 등 호서지역 방위에 공을 세웠다. 이듬해 충청도관찰사로 승진했으나 군대를 독산성에 주둔시켰다가 권율(權慄)로부터 평년임에도 군량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는 탄핵을 받고 파직당했다. 그러나 곧 청량사로 명나라에 가서 산둥[山東] 지방의 조 2만 2,700섬을 얻어오는 데 성공했다.
귀국 후 유영경을 중심으로 이유홍(李惟弘)·김대래(金大來)·송응순 등과 '유당'을 형성하면서 평안도관찰사·호조판서·이조판서·우의정·좌의정을 역임했다. 1608년(광해군 즉위) 유영경의 일파라 하여 관직을 삭탈당했다. 1615년 신경희 등의 능창군 추대사건에 연루되어 원주로 유배되었고 그곳에서 죽었다. 인조반정 후 관작이 복구되었으며, 청백리에 뽑혔다. 시호는 정목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