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치벌류 braconid
    벌목 고치벌과에 속하는 수백 종의 기생성 곤충들.|대개 어둡고 흐린 색을 띠고 있고, 크기가 비교적 작아 1.5㎝를 넘지 못한다. 날개에는 줄이나 반점이 있는 경우가 있고 암컷의 산란관은 길고 뚜렷하다. 해충 구제에 쓸모있는 종류가 많은데, 이를테면 배추벌레고치벌은 유해한 배추흰나비나 양배추금무늬나방의 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절지동물
  • 맵시벌류 ichneumon
    때문에 이들은 인간에게 유용한 곤충이라 할 수 있다. 암컷은 숙주의 유충이나 번데기(드물게는 알이나 성충)의 체표 위 또는 몸 속에 산란한다. 맵시벌류의 유충은 숙주의 지방분이나 체액을 먹고 완전히 자란 다음 명주고치를 짓는다. 개방된 장소에서 서식하는 숙주에 기생하는 종은 보통 내부 기생생활을 하게 되고...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벌목 > 맵시벌과
    원산지 :
    유럽,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아시아
    크기 :
    약 1.8cm ~ 2cm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송곳벌류 horntail
    손실을 끼칠 만큼 파괴적인 경우는 드물며, 명주실과 톱밥으로 만들어진 고치 속에서 번데기로 된다. 비둘기송곳벌(Tremex columba)은 가장 흔한 북아메리카산...gigas)은 소나무의 목재를 먹고 사는데, 영국에서 가장 흔한 종이다. 한국에도 호랑무늬송곳벌(Xoanon matsumurae)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송곳벌류가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절지동물
  • 박각시 hawk moth
    담배·감자에 피해를 준다. 이들 잎을 먹는 해충들은 녹색 몸에 길이가 10cm쯤 된다. 생태 번데기가 되는 과정인 용화는 땅속의 작은 공동에서 일어나거나 아니면, 지표에 있는 엉성한 고치에서 이루어진다. 구제법 박각시 구제법으로는 유충에 기생하는 아판텔레스콩그레가투스(고치벌류)를 천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나비목 > 박각시과
    원산지 :
    아시아
    크기 :
    약 4.2cm ~ 5cm
    학명 :
    Agrius convolvuli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천적 天敵, natural enemy
    곤충의 유충 또는 번데기에 보통 알을 1개씩 낳아 깨어난 유충이 숙주를 영양원으로 희생시키고 발육하여 성충이 되면 자유생활을 하게 된다. 맵시벌류·고치벌류·알벌류·좀벌류 등의 기생벌들 중에서 어떤 해충의 천적이 되는 종을 알아내어 그 해충을 방제할 수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생물학적 방제라고 한다. 병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생물
  • 유리나방 clearwing moth
    로키 산맥의 동편에 분포한다. 이 나방은 호롱박·호박·오이 등에 심각한 해를 준다. 알은 숙주식물의 기저 부근에 낳으며, 여기에서 유충은 약 6주일 동안 구멍을 뚫는다. 감염된 덩굴은 시들고, 줄기 구멍에서 황록색 물질이 나온다. 유충은 땅속에서 고치를 만든다. 성충은 겉모습이 호리허리벌류를 닮았다...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나비목 > 유리나방과
    서식지 :
    온대와 열대의 수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사마귀붙이류 mantispid
    네모난 머리를 가지고 있고, 다른 유형은 몸이 흰색이고 비대하며 다리가 짧다. 완전히 자란 유충(길이 7~10mm)은 첫 번데기 시기 전에는 명주실을 내서 고치를 만드나, 두 번째 번데기 시기에는 활동적이며 고치를 만들지 않는다. 브라질산인 심파시스 바리아의 유충은 호리허리벌류에 기생하며 그들의 둥지에서 번데기...
    분류 :
    절지동물 > 곤충강 > 풀잠자리목 > 사마귀붙이과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크기 :
    약 1.5cm ~ 2cm
    학명 :
    Eumantispa harmandi (Navas)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절지동물 , 곤충
  • 또는 고치의 외부로부터 관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어떤 것에서는 기주의 몸에 직접 붙어서 찌를 수 있게 짧고 한층 날카롭게 되어 있다. 체외기생인 경우에는 그럴 필요가 없지만, 체내기생인 경우에는 기생벌의 유충에는 기주의 체내에서 호흡을 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체외·체내 어느 경우의...
    분류 :
    벌목
    성격 :
    곤충
    유형 :
    동식물
    분야 :
    과학/동물
  • 뿔잠자리목 Neuroptera
    약대벌류(약대벌레목[Raphidiodea])도 이 목에 포함되어 있었다. 이 3무리에 드는 것은 모두 4,600여 종이다. 넓은 의미의 풀잠자리류를 구성하고 있는 이들 3목은 공동의 줄기에서 진화해온 것으로, 밑들이벌레목(Mecoptera)도 이 줄기에서 뻗어나왔는데, 이들 모두는 석탄기(약 3억 2,500만~3억 4,500만 년 전) 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절지동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