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유리나방

다른 표기 언어 clearwing moth
요약 테이블
분류 절지동물 > 곤충강 > 나비목 > 유리나방과
서식지 온대와 열대의 수림

요약 나비목 유리나방과에 속하는 700여 종(種)의 나방. 온대와 열대의 수림에 서식한다. 날개가 투명하고 비늘가루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종으로는 미국복숭아유리나방과 까치유리나방, 나무딸기관유리나방 등이 있다.

유리나방

ⓒ WIKIMEDIA COMMONS (Pollinator) | cc-by

개요

곤충강 나비목 유리나방과에 속하는 절지동물. 영어권에서는 ‘clearwing moth’, ‘wasp moth’라고도 한다. 날개가 비늘가루 없이 유리처럼 투명하기 때문에 ‘유리나방’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위협을 느끼면 호리허리벌류와 비슷한 형태로 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형태

다리는 길고, 투명한 날개에는 흔히 비늘가루가 없다. 앞뒤날개는 일련의 굽은 가시에 의해 연결된다. 유충은 흰색에 가까우며 벌레처럼 생겼다. 모습을 감출 때에는 짙은 청색의 가느다란 몸에 밝은 적색이나 노란색 무늬가 생긴다.

생태

전세계에 분포하며 주로 온대와 열대의 수림에 서식한다. 위협을 느끼면 다른 종처럼 보이기 위해 보호적 의태(mimicry)의 형태를 한다. 어린 개체는 약 1년 동안 뿌리나 줄기에 굴과 같은 구멍을 파거나 뚫으며, 대개 그곳에서 번데기가 된 후 자라서는 흔히 농작물에 손상을 입힌다.

종류

유리나방의 대표종으로는 까치유리나방(Ramosia tipuliformis)과 미국복숭아유리나방(Sanninoidea exitiosa), 나무딸기관유리나방(Bembecia), 벰베키아 마르기나타(B. marginata), 벰베키아 힐라이이포르미스(B. hylaeiformis), 호박유리나방(Melittia) 등이 있다.

까치유리나방은 유리나방과에서 가장 널리 분포하는 종으로, 유럽이 원산지이며 아시아·북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에서 볼 수 있다. 이 곤충은 커랜트와 구즈베리, 오리나무, 옻나무 등에 심각한 해를 끼친다. 나무에서 월동한 유충은 초여름에 성충으로 우화(羽化)한다. 성충의 짙은 자주색 작은 몸에는 3개(암컷)나 4개(수컷)의 노란 띠무늬가 있다.

미국복숭아유리나방은 북아메리카산으로, 관목과 과수, 특히 복숭아나무를 공격한다. 암컷은 복숭아나무의 밑둥 가까이에 알을 낳는다. 유충은 나무에 구멍을 뚫고 그 속에서 월동한다. 때로는 봄에 나무껍질에 뚫어 놓은 구멍 때문에 나무가 죽기도 한다. 은신처 표면 위의 점착성 물질이나 땅 속에서 번데기가 되며, 한여름에 성충이 된다. 성충은 낮에 날아다닌다.

나무딸기관유리나방은 나무딸기나 검은 딸기의 뿌리 또는 줄기에 구멍을 뚫는다. 유충은 지면 가까이에 있는 풀 껍질 밑에서 월동하며 봄에 위로 굴을 파고 올라간다. 식물은 시들고 부러져 죽어 유충이 번데기가 될 그루터기만 남는다. 벰베키아 마르기나타는 북아메라카산이며 낮에 날아다니고, 벰베키아 힐라이이포르미스는 유럽산으로 밤에 날아다닌다.

호박유리나방은 캐나다에서 남아메리카까지 로키 산맥의 동편에 분포한다. 이 나방은 호롱박·호박·오이 등에 심각한 해를 준다. 알은 숙주식물의 기저 부근에 낳으며, 여기에서 유충은 약 6주일 동안 구멍을 뚫는다. 감염된 덩굴은 시들고, 줄기 구멍에서 황록색 물질이 나온다. 유충은 땅속에서 고치를 만든다. 성충은 겉모습이 호리허리벌류를 닮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2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유리나방


[Daum백과] 유리나방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