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종실록 高宗實錄
    일제강점기 이왕직의 주관 하에 고종45년간의 역사를 편년체로 편찬한 역사서. 실록.|편찬/발간 경위 1927년 4월 1일부터 1935년 3월 31일까지 만 8년에 걸쳐 이왕직(李王職) 주관 하에 편찬, 간행되었다. 서지적 사항 『고종실록』(원명 高宗太皇帝實錄)은 편년 기사 48권 48책(고종 즉위년인 1863년에서 광무 11년인...
    시대 :
    근대
    저작자 :
    이왕직(편찬)
    창작/발표시기 :
    1927년 4월 1일∼1935년 3월 31일
    성격 :
    역사서, 실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52권 52책
    간행/발행 :
    탐구당(영인, 1970)
    분야 :
    역사/근대사
  • 고종실록 Gojong sillok
    책 정보 《고종통천융운조극돈륜정성광의명공대덕요준순휘우모탕경응명입기지화신열외훈홍업계기선력건행곤정영의홍휴수강문헌무장인익정효태황제실록》(高宗統天隆運肇極敦倫正聖光義明功大德堯峻舜徽禹謨湯敬應命立紀至化神烈巍勳洪業啓基宣曆乾行坤定英毅弘休壽康文憲武章仁翼貞孝太皇帝實錄), 간단히 《고종실록》(...
    도서 위키백과
  • 고려실록 高麗實錄
    熙宗實錄)』 · 『강종실록(康宗實錄)』은 1267년(원종 8) 이장용(李藏用)의 주재 아래 유경(柳璥) · 김구(金坵) · 허공(許珙)에 의해 편찬되었다. 『고종실록(高宗實錄)』은 1277년(충렬왕 3)에 편찬되었으나, 1309년(충선왕 1) 『충헌왕실록(忠憲王實錄)』으로 개칭되고 수정되었다. 『원종실록(元宗實錄)』은...
    시대 :
    고려
    유형 :
    문헌/고서
    분야 :
    역사/고려시대사
  • 실록 實錄
    경우도 있고, 사실 보완에 그치거나 내용에서 큰 차이가 없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점은 거의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 실록의 번역과 활용 조선시대의 실록 중 『고종실록』과 『순종실록』은 일제 강점기인 1930년대에 일본인들이 주축이 되어 편찬했으므로 사료 비판이 요구된다. 또한 1894년 조정(朝廷)이 정부(政府...
    시대 :
    조선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조선왕조실록> 한글 번역
    이뤄진 것은 태조실록부터 철종실록까지였다. 고종실록과 순종실록은 조선이 망한 후 일본 측이 편찬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북한은 1980년대 말에 고종실록과 순종실록도 한글로 옮긴다. 남한에서는 1993년 <조선왕조실록> 번역 작업이 완료되는데, 고종실록과 순종실록은 번역 대상에서 제외됐다. <조선왕조실록>은 정치...
    시대 :
    1981년 12월
    국가/대륙 :
    한국
  • 덕혜옹주가 다닌 유치원과 초등학교
    옹주와 의왕(고종의 다섯째 아들)의 아들 등 왕족의 자녀들을 강제로 이 학교에 입학시켰다. 왕족을 일본인 학교에 다니게 함으로써 내선일체를 상징적으로 보여...순종은 그런 여동생이 안쓰러웠는지, 일본 학생들 사이에서 외롭지 말라고 한고남, 민용아 등 또래 친구들을 함께 다니도록 했다. 《순종실록》 1922년...
  • 실록 實錄
    하는데, 고려 고종 때 처음 설치했다. 고려의 실록은 조선의 실록에 비해 간략했던 것 같은데, 태조~목종의 7대실록이 총 36권, 태조~고종실록이 187책이었다고 한다. 이것은 전란으로 실록이 소실된 데도 원인이 있다. 1013년(현종 4) 거란의 침입으로 태조~목종의 7대실록이 불타 황주량 등이 재편집한 사실이...
    도서 다음백과
  •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내용 일제 강점기에는 ‘이조실록(李朝實錄)’이라 했으나, 이것은 ‘조선’이라는 국호를 무시하고 붙인 명칭으로서 정당하지 않다. 더욱이 『고종황제실록』 · 『순종황제실록』 같은 경우는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의 지시를 받으며 편찬되었기 때문에 사실의 왜곡 등이 심하여 실록의 가치를 손상한 것이 사실이다...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순종실록 순종황제실록, 純宗實錄
    편년 기사 전 4권 4책(순종 즉위년인 융희 1년부터 퇴위년인 융희 4년까지의 기사)과 퇴위 후 17년간의 사실을 수록하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이 실록은 『고종실록』과 함께 1927년 4월 1일부터 1935년 3월 31일까지 만 8년에 걸쳐 이왕직(李王職)의 주관하에 편찬, 간행되었다. 편찬계획에는 1년 기사를 1권 1책에...
    시대 :
    근대
    저작자 :
    이왕직
    창작/발표시기 :
    1927년 4월 1일∼1935년 3월 31일
    성격 :
    실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7권 3책
    간행/발행 :
    이왕직
    분야 :
    역사/근대사
  • 철종실록 철종희륜정극수덕순성문현무성헌인영효대왕실록, 哲宗實錄
    16권 9책. 주자본(현종실록자). 1864년(고종 1) 5월에 실록청을 세우고 작업을 시작하여 다음해 윤5월에 출판했다. 조선왕조가 편찬한 마지막 실록이다(고종·순종 실록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에 의해 편찬되었음). 총재관은 정원용·김흥근(金興根)·김좌근(金左根)·조두순·이유원(李裕元)·김병학(金炳學)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문헌
  • 순종실록 純宗實錄
    만에 한일합병으로 폐위되었는데,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기존의 관례에 맞추어 편찬한 것이다. 이왕직의 주재로 1927년 4월부터 1935년 3월 사이에 〈고종실록〉과 함께 편찬했다. 순종의 재위 4년간을 4권 4책으로 편찬하고 부록으로 퇴위 후 17년간의 기록도 17권 3책으로 나누어 편찬했다. 마지막으로 목록 1권 1...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고종 시련의 세월 속에서 조선의 국운이 기울다
    명으로 일본 공사에게 와서 지원해 줄 것을 요구하자 밤이 깊어서 일본 공사 다케조에 신이치로(竹添進一郞)가 병사를 거느리고 와서 호위했다. - 《고종실록》 권 21, 고종 21년 10월 17일 정변을 일으킨 개화파들은 곧바로 새 내각을 세우고 정권을 잡았다. 그러나 서울에 주둔하고 있던 청군이 즉각 개입함에 따라...
    시대 :
    조선
    출생 :
    1852년(철종 3)
    사망 :
    1919년 01월 21일
    본명 :
    이희(李熙)
    본관 :
    전주(全州)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건

고종실록
고종실록 표지
조선왕조실록 / 고종실록(권13)
고종실록 / 갑오경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