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려시대 산수화
    고려 초기에는 송(宋)나라로 보낸 〈저색산수도권 著色山水圖卷〉 등을 통해 엿볼 수 있듯이 청록산수풍의 경향이 강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이러한 흐름은 북송과의 외교관계가 재개되는 11세기 후반 무렵 곽희 등의 화적이 본격적으로 유입되면서 수묵풍의 이상산수화로 바뀌어갔고, 후기에 이르러 문사들이 친자연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산수화 (관련어 고려시대 산수화) 山水畵
    자연현상과 경관을 소재로 그린 동양회화 4대 화문 중의 하나.|화풍은 명대 말기부터 화가의 신분에 따라 남종화와 북종화로 분류되었다. 소재와 내용에 따라 춘경·하경·추경·동경·산거·강산·호산·운산·풍우·폭포·수석·궁실·명승·고적 등으로 나누기도 하고, 정형화된 이상산수와 실제 경치를 그린 실경...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조선시대 산수화
    처사 지향의 시대적 분위기와 밀착되어 산수인물화가 성행했다. 화풍은 이정근(李正根)·이흥효(李興孝)·이징(李澄) 등을 통해 초기의 안견파화풍이 지속되기도...새롭게 유입된 명대의 절파화풍에 초기의 안견파화풍 등이 가미되어 한국적인 특색을 형성하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 시기의 실경산수화는 별서유거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동양화 , 미술
  •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산수화는? 산수화 읽는 법
    세계적으로 유명한 고려의 불교 그림 솜씨를 생각하면, 고려 시대 산수화를 볼 수 없다는 것은 무척 애석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특히 고려 시대 중기에 활동한 이녕이란 화가는 산수화로 중국에 유명세를 떨쳤다고 하니 더욱 안타깝다. 기록에는 이녕이 개성 근처를 흐르는 〈예성강도〉를 비롯해 많은 산수화를 그린 것...
  • 진경산수화 眞景山水畵
    내용 진경(眞境) 또는 동국 진경(東國眞景)이라고도 하였으며, 일본에서는 신조선 산수화(新朝鮮山水畫)라고도 하였다. 고려시대와 조선 초기·중기에 걸쳐 그려진 실경 산수화(實景山水畫)의 전통을 토대로 발전된 것이다. 앞 시기의 경향에 비하여 화단에서 하나의 조류를 형성하며 성행하였을 뿐 아니라 높은 회화...
    시대 :
    조선후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산수화 山水畵
    老松圖)」에 대한 일화에서 청록산수화(靑綠山水畵)가 유행하였을 가능성을 추측해 볼 수 있다. 고려산수화 고려시대는 이전 시대와 달리 진정한 의미에서의 산수화가 본격적으로 유행하였다. 이 시대산수화는 북송(北宋), 남송(南宋), 금(金), 원(元), 명(明) 등 중국 역대 왕조와의 회화교섭을 통해 많은 자극을...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회화
  • 금벽산수화 청록산수, 金碧山水畵
    훌륭하여 종종 새들이 앉다 떨어지곤 하였다는 이야기는 솔거의 그림이 사실적인 청록산수 계통이었음을 추측하게 한다. 고려시대에도 금벽산수화가 발달하였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 고려시대 작품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그 실상을 파악하기 힘들다. 진채를 사용하여 정교하게 그린 불교 회화들이 다수 제작된 것...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 실경산수화 實景山水畵
    조선 후기의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와 비교해 고려시대와 조선 초기·중기에 걸쳐 실용적 목적을 강하게 띠고 제작되었던 실경화들을 주로 지칭한다. 고려시대 1007년(목종 10)에 그려진 전공지(田拱之)의 제주도 〈서산도 瑞山圖〉를 비롯하여 중국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던 이령(李寧)의 〈예성강도〉·〈천수사남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고사인물화 故事人物畵
    하며, 화면에서 차지하는 산수배경의 비중이 클 경우 고사산수화라 부른다. 한대(漢代)부터 유교의 교훈을 보급하고 기리기 위해 권계적(勸戒的)인 목적을 띠고...등의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으로 바뀌어갔다. 우리나라에서는 북송 회화조류의 유입과 더불어 고려시대에 대두하기 시작했으며, 조선시대를 통해 소경(小景...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진경산수화 眞景山水畵
    했다. 고려와 조선 초기·중기에 걸쳐 그려진 실경산수화의 전통을 토대로 발전한 것으로, 앞 시기의 경향에 비해 하나의 조류를 형성하며 성행했을 뿐 아니라 높은 회화성과 함께 한국적 특색을 뚜렷하게 창출하며 전개되었다. 이러한 진경산수화는 조선 후기의 새로운 사회적 변동과 의식의 변모를 배경으로 유행...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미술
  • 산수화에 있는 한문은 무엇일까? 산수화 읽는 법
    채울 정도로 많이 쓰여 있기도 하고, 또 어떤 그림에는 몇 글자만 적혀 있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이렇게 한자를 그림에 써 넣게 되었느냐면 고려 시대는 남아 있는 그림이 거의 없으니 잘 알 수 없고, 조선 시대 초기부터 살펴보자. 이 무렵에 그려진 그림을 보면 그림에 아무것도 적혀 있지 않다. 그림은...
  • 실경산수화 실경화, 實景山水畵
    연원 및 변천 ‘실경화(實景畵)’라고도 칭하며, 주로 실용적 목적에 따라 제작되었다. 그리고 조선 후기 특유의 시대적 배경과 화풍에 의해 완성된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 발달의 토대가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1007년(목종 10)에 제작된 전공지(田拱之)의 「제주도」, 「서산도(瑞山圖)」를 비롯해 북송(北宋) 화단...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회화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