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산수화 山水畵산수화는 산과 강 등의 자연경관을 소재로 그린 동양화이다. 자연을 무생명의 존재가 아니라 살아 생동하는 존재로 인식하는 동양 특유의 자연관이 반영되어 산수화도 기운생동해야 한다는 사고가 바탕에 깔려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래 중국에서 유행한 다양한 화풍을 수용하여 우리 고유의 산수화 양식을 창...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
-
리커란 (동의어 산수화) 李可染20세기 중국 미술의 거장. 중국 전통 산수화에 서양화의 사실주의 기법을 접목하여 근대 최고의 산수화가로 평가받는다. 1907년 중국 동부 양쯔 강 하류에 있는 장쑤 성에서 태어났다. 문맹이었던 아버지는 음악과 미술에 재능을 보인 리커란의 교육에 열성적이었다. 열세 살 때부터 지역 화가들에게서 전통 산수화를 배...
- 출생 :
- 1907년
- 사망 :
- 1989년
-
왕몽 (동의어 산수화) 王蒙중국 원나라 말에서 명나라 초기까지 활동한 화가이다. 그의 외할아버지 조맹부(趙孟頫)는 송나라 황실의 후손으로 시와 서예, 그림에 두루 출중했던 당대 최고의 인재였다. 조맹부가 만든 송설체라는 서체는 고려에서도 유행했을 만큼 당대 동아시아 문화를 이끈 사람이었다. 그의 외할머니인 관도승도 화가로 이름을 ...
- 출생 :
- 1308년
- 사망 :
- 1385년
-
진경산수화 眞景山水畵내용 진경(眞境) 또는 동국 진경(東國眞景)이라고도 하였으며, 일본에서는 신조선 산수화(新朝鮮山水畫)라고도 하였다. 고려시대와 조선 초기·중기에 걸쳐 그려진 실경 산수화(實景山水畫)의 전통을 토대로 발전된 것이다. 앞 시기의 경향에 비하여 화단에서 하나의 조류를 형성하며 성행하였을 뿐 아니라 높은 회화...
- 시대 :
- 조선후기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
-
산수화에도 유행과 취향이 있다! 산수화 읽는 법불러 그가 그림 그리는 것을 보고 상을 내리기까지 했다는 일화도 전해진다. 그가 그린 〈죽수계정도〉라는 그림을 보면 흔히 우리가 머릿속에 떠올리는 산수화와 비슷하다. '죽수계정'이란 대나무가 있는 물가의 정자라는 뜻인데 그림 속에는 멀리 야트막한 산이 보이고 강도 있다. 가운데에는 나무 몇 그루 사이에...
-
산수화에는 왜 비슷한 그림이 많을까? 산수화 읽는 법곽희의 〈조춘도〉가 중국 산수화를 대표하는 그림이라면 한국의 산수화는 어떤가? 우리나라는 중화 문화권에 속하는데 문화권이 같다는 것은 한쪽에서 일어난 변화나 유행이 자연스럽게 흘러들어 왔다는 사실을 뜻한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중국에서 유행한 그림이 한국에서도 그대로 반복되어 나타났다. 우리나라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