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갑사 甲士조선시대 오위제(五衛制)의 중위(中衛 : 義興衛)에 속했던 군인. 내용 갑사라는 명칭은 이미 고려 때부터 사용되었고, 조선 건국 초에도 태조가 사병적인 성격이 강한 내갑사(內甲士)를 두고 있었다. 그러나 이때 갑사는 수하병적(手下兵的)인 군사로서 사위 임무의 성격을 띤 것이었다. 그 뒤 1401년(태종 1)부터 왕...
- 시대 :
- 조선
- 성격 :
- 군인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갑사 순인, 甲紗갑사는 평직과 사직을 상하좌우로 교차 배치하여 제직한 반투명한 견직물이다. 『정조실록(正祖實錄)』에 따르면 1760년 무렵에 조선에서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귀한 옷감으로 추정된다. 갑사의 명칭은 견사의 정련 상태에 따라서 생사로 제직한 생갑사·생수갑사와 견사를 삶아서 연사로 제직한 숙갑사·숙수갑사로...
- 시대 :
- 조선 후기 , 근대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의생활
-
-
갑사 소조 삼세불 甲寺 塑造 三世佛개설 2002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갑사 소조삼세불은 삼불좌상 사이에 각각 보살입상 4구가 협시하는 칠존형식의 불상이다. 삼불상은 공간적 개념의 삼세불로, 본존 사바세계 석가불, 좌존 유리광세계 약사불, 우존 극락세계 아미타불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 개념의 삼세불은...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갑사 삼신불 괘불탱 甲寺 三身佛 掛佛幀▽개설 1997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비로자나불좌상의 좌·우로 노사나불좌상과 석가불좌상이 한 폭에 배치된 비로자나삼신불 괘불탱이다. 이 거대한 삼신불좌상을 중심으로 상·하단부에는 조그맣게 묘사된 수많은 권속이 배치되었다. 1650년(효종 1)에 경잠(敬岑), 화운(華雲), 응열(應悅) 등 8명의 화원(畵員)이 그렸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계룡산 갑사 鷄龍山 甲寺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계룡갑사(鷄龍甲寺) · 갑사(岬寺) · 갑사사(甲士寺) · 계룡사(鷄龍寺)라고도 한다. 420년에 아도(阿道)가 창건하였다는 설과 556년(진흥왕 17)에 혜명(惠明)이 창건하였다는 설, 아도가 창건하고 혜명이 중창했다는 설 등이 있다. 또한, 503년(무령왕 4)에...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