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갑사
    갑사는 공주시 계룡산국립공원 내 계룡산 북서쪽 자락에 위치해 있으며 통일신라시대 화엄종 10대 사찰 중 하나였던 명찰이다. 노송과 느티나무 숲이 우거져 있으며 예로부터 춘마곡추갑사(春麻谷秋甲寺)라는 말이 전해질 만큼 아름다운 가을 단풍을 자랑한다. 백제 구이신왕 원년인 420년에 고구려에서 온 아도화상이 ...
    위치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3
  • 갑사 계룡사, 甲寺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계룡산 연천봉 아래에 있는 절.|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산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계룡갑사·갑사·갑사사·계룡사라고도 한다. 창건연대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420년(백제 구이신왕 1) 고구려에서 온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창건했다는 설, 556년(백제 위덕왕 3) 혜명대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갑사 甲士
    조선시대 오위제(五衛制)의 중위(中衛 : 義興衛)에 속했던 군인.|내용 갑사라는 명칭은 이미 고려 때부터 사용되었고, 조선 건국 초에도 태조가 사병적인 성격이 강한 내갑사(內甲士)를 두고 있었다. 그러나 이때 갑사는 수하병적(手下兵的)인 군사로서 사위 임무의 성격을 띤 것이었다. 그 뒤 1401년(태종 1)부터 왕...
    시대 :
    조선
    성격 :
    군인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갑사 甲士
    왕을 시위하는 사병적 성격의 군인을 가리킨다. 1401년(태종 1)부터 국왕을 호위하는 특수 군인으로 정착되어 국가의 봉록을 받는 기간병이 되었다. 갑사는 세종대부터 엄격한 시취기준에 의해 선발되었는데, 부유한 지배층의 자제들이 아니면 되기 어려웠다. 또한 용모가 준수하고 무예를 갖춘 자만이 될 수 있었으며,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갑사 순인, 甲紗
    갑사는 평직과 사직을 상하좌우로 교차 배치하여 제직한 반투명한 견직물이다. 『정조실록(正祖實錄)』에 따르면 1760년 무렵에 조선에서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귀한 옷감으로 추정된다. 갑사의 명칭은 견사의 정련 상태에 따라서 생사로 제직한 생갑사·생수갑사와 견사를 삶아서 연사로 제직한 숙갑사·숙수갑사로...
    시대 :
    조선 후기 , 근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의생활
  • 갑사 甲紗
    문사의 일종으로, 인문(鱗紋)의 변화사직의 바탕에 사직과 평직으로 된 용문, 문자문, 화문 등으로 제직되어 남녀의 하복지로 사용된다. 조선 시대의 기록에는 화문, 도류문, 매란문, 운학문, 칠보문, 화접문, 학용봉문, 운문, 칠보초롱문, 백복문 등의 갑사가 있다.
    도서 패션큰사전 | 태그 의류
  • 갑사 (사찰)
    사찰 정보 갑사(甲寺)는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계룡산 서쪽 기슭에 있는 절이다.사회 I·문화재 > 문 화 재 > 중요 문화재 > 충청남도 > 갑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계룡 갑사라고도 불린다. 백제 27대 위덕왕 3년(556년)에 혜명대사가 중건하였다. 그 뒤에 의상이 도량을 설치하고 법당을 증수하여 그...
    도서 위키백과
  • 갑사 (군사)
    갑사(甲士)는 조선시대에 존재한 직업 군인 제도를 말한다. 간단한 시험을 거쳐 선발하였으며, 근무 기간에 따라 품계와 녹봉을 받았다. 의흥위(義興衛)에 소속되었으며 5위의 중심 병력을 이루는 직업적인 군인으로서 무예 시험을 거쳐서 선발된 정예 부대였다. 갑사는 원래 서울에 올라와 숙위(宿衛)를 담당하는 기간...
    도서 위키백과
  • 갑사
    갑사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다. 갑사(甲寺)는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절이다. 갑사(甲士)는 조선시대에 존재하였던 직업 군인 제도이다. 동음이의
    도서 위키백과
  • 갑사 소조 삼세불 甲寺 塑造 三世佛
    개설 2002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갑사 소조삼세불은 삼불좌상 사이에 각각 보살입상 4구가 협시하는 칠존형식의 불상이다. 삼불상은 공간적 개념의 삼세불로, 본존 사바세계 석가불, 좌존 유리광세계 약사불, 우존 극락세계 아미타불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적 개념의 삼세불은...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조각
  • 갑사 삼신불 괘불탱 甲寺 三身佛 掛佛幀▽
    개설 1997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비로자나불좌상의 좌·우로 노사나불좌상과 석가불좌상이 한 폭에 배치된 비로자나삼신불 괘불탱이다. 이 거대한 삼신불좌상을 중심으로 상·하단부에는 조그맣게 묘사된 수많은 권속이 배치되었다. 1650년(효종 1)에 경잠(敬岑), 화운(華雲), 응열(應悅) 등 8명의 화원(畵員)이 그렸다...
    시대 :
    조선
    유형 :
    유물
    분야 :
    예술·체육/회화
  • 계룡산 갑사 鷄龍山 甲寺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계룡갑사(鷄龍甲寺) · 갑사(岬寺) · 갑사사(甲士寺) · 계룡사(鷄龍寺)라고도 한다. 420년에 아도(阿道)가 창건하였다는 설과 556년(진흥왕 17)에 혜명(惠明)이 창건하였다는 설, 아도가 창건하고 혜명이 중창했다는 설 등이 있다. 또한, 503년(무령왕 4)에...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13건

갑사
갑사
갑사
갑사
갑사
갑사 동종
갑사 강당
갑사 사적비
공주 갑사 철당간
갑사 소조삼세불
공주 갑사 표충원 우측면
공주 갑사 철당간 북동면
공주 갑사 대적전 정측면
공주 갑사 승탑 우측면
공주 갑사 대웅전 정면
공주 갑사 승탑 정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