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오귀스트 르누아르, 〈극장에서〉 외오귀스트 르누아르(Auguste Renoir, 1841~1919)는 모네와 더불어 인상파 초기에 자연 풍경을 주로 그린 화가였다. 하지만 점차 너른 대자연보다는 파리 교외나 도심에서 여가 시간을 보내는 중산층의 모습을 화폭에 담곤 했다. 〈극장에서(첫 외출)〉은 학교를 졸업한 뒤 처음으로 어머니를 따라 극장 구경을 온 소녀의 ...
- 저작자 :
- 오귀스트 르누아르(Auguste Renoir, 1841~1919)
- 제작시기 :
- 〈극장에서(첫 외출)〉 1876년경 제작〈우산을 쓴 여자들〉 1883년경 제작
-
비외 콜롱비에 극장 Theatre of the Vieux-Col..했던 루이 주베가 포함되어 있었다. 코포와 주베는 상설무대배경을 갖추고 배우와 관객을 분리시키는 앞무대를 제거한 400석의 작은 극장을 설계했다. 비외 콜롱비에 극장은 1913년 10월에 개관했는데, 코포는 1914년 5월까지 몰리에르와 셰익스피어, 그리고 여러 현대 극작가의 작품을 포함한 15편의 연극을 제작했다...
-
극장 劇場연극 공연보다 영화 상영에 더 집중하게 되었다. 즉 많은 지역 극장들이 영화 상영을 중심으로 운영 방식을 바꾸게 된 것이다. 한국에서 극장은 연극 공연이나 영화 상영 외에도 또 다른 용도를 가진 공간이었다. 즉 극장은 대민 공용 대회를 비롯하여 음악 연주, 무용 발표, 만담 대회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특히...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동양극장 東洋劇場극단 성군은 청춘좌와 동양극장을 지키는 2대 쌍벽으로서 공연을 계속하여 광복직전까지도 상업극단의 전위로 군림할 수 있었다. 한편 동양극장은 전속극단 외에 조선성악연구회(朝鮮聲樂硏究會) · 고협(高協) · 현대극장(現代劇場) · 국민좌(國民座) · 예원좌(藝苑座) · 아랑 · 신생극단(新生劇團) · 신무대...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고려극장 高麗劇場순회공연이 진행되었다. 2010년에는 고려극장의 주도로 서울에서「실크로드 국제연극제」가 개최되었는데, 이 축제에는 카자흐스탄에서 고려극장 이외에 3개의 다른 민족극장들이 참가하였으며, 이후 이 연극제는 상설연극제로 자리잡게 되었다. 의의와 평가 한반도와 전 세계를 통틀어 존재하는 한민족 공동체의 공연...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창고극장 倉庫劇場소극적이나마 재개되어 2007년까지 다섯 차례의 공연을 마친 상태이다. 창고극장은 지난 2013년에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하였으나, 경영난으로 인하여 2015년...보여주고 있다. 창단 작품은 오태석(吳泰錫) 작·연출 「약장수」였으며, 그 외 주요작품으로는 오태석 작 「춘풍의 처」, 사무엘 베케트(Samuel Beckett) 작...
- 시대 :
- 현대
- 위치 :
- 서울특별시 중구 저동 1가 20-6
- 설립 :
- 1976년 4월
- 성격 :
- 연극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이원경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
마르켈루스 극장 요절한 조카에게 바친 로마식 반원형극장콜로세움 외벽의 전형 마르켈루스 극장의 평면은 지름 130미터에 높이 약 32.6미터, 총 1만 5000명의 관중들을 수용할 수 있었으며 필요에 따라 2만 명까지 수용...그리스에서 들여온 도리스 양식, 이오니아 양식, 코린토스 양식 외에 에트루리아에서 들여온 투스카니아식(이탈리아어로는 토스카나 양식, 영어로는...
- 시대 :
- 로마제국 전기
-
-
국립극장 중앙국립극장, 國立劇場연극의 5개년 발전 계획, 부설 예술단체 결성, 관객확보를 위한 방안 등 국립극장 발전5개항을 제시하였다. 1960년대에는 부족한 예산과 민족예술에 대한 인식 부족, 정책 부재 등의 이유 때문에 대관(貸館)으로 겨우 공연장 구실을 한 것 외에는 별다른 공적을 남기지 못하였다. 연중 대부분이 대관극장으로 사용되었고...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연극
-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國立劇場 公演藝術博物館검색하고 열람할 수 있다. 또한 공연자료실도 구비하고 있어 공연예술 도서들 외에 공연프로그램, 공연사진, 대본, 무대디자인 등 비도서자료들도 신청하여 열람...접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한국 최초로 설립된 공연예술과 관련된 국립극장 소속의 국립박물관이다. 공연예술 자료들의 유실과 멸실을 막고 이를 체계적...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단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