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사기〉와 〈일본서기 니혼쇼키, 日本書紀
    고사기》와 《일본서기》는 나라 시대가 융성했던 8세기에 만들어진 역사책이다. 《고사기》는 712년에 오노야스마로[太安萬呂]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현존하는 일본 역사서 가운데 최고(最古)의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전설과 가요 등을 많이 담고 있어 일본 최고의 문학서라고도 일컬어진다. 《일본서기》는 720년...
  • 일본서기 Nihon Shoki, 日本書紀
    의 계도를 기록한 《조구키(上宮記, 또는 가미쓰미야노후미)》나 《고사기(古事記)》, 《일본서기》가 제작되었다는 설이 있다(만약 스이코 천황 때인 600년경 《조구키(上宮記)》가 성립되었다면, 게이타이 천황이 사망한 531년과는 70년의 차이가 있다). 덧붙여 《고사기》, 《일본서기》 편찬의 기본사료가 된 《제기...
    도서 위키백과
  • 고사기 Kojiki, 古事記
    않거나(서문에서 밝힌 천황의 지시로 완성했다는 《고사기》 성립을 뒷받침하는 사료는 전혀 없다) 혹은 실제 사실과 모순되는 점이 많다는 견해가 있고, 《일본서기》나 《속일본기》 같은 다른 공식 사서의 기록에도 《고사기》의 언급이 없는 등, 《고사기》라는 사서의 존재를 직접적으로 증명해주는 물증도 없다는...
    도서 위키백과
  • 일본 신화 日本神話, Japanese mythology
    위해 건국 신화를 만들게 마련이다. 일본 역시 8세기 무렵에 당시 천황의 명령에 의해 건국 신화가 만들어졌다. 이렇게 만들어진 일본의 건국 신화는 〈고사기(古事記)〉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고스란히 실려 있다. 두 역사서는 서술 방식도 다르고 등장하는 신의 이름도 다르지만 일본 신화의 내용은 거의 비슷...
  • 일본 日本
    야요이시대 이래로 끊임없이 지속되어 온 것이므로, 일본의 한국연구는 다른 나라의 경우와 비교될 수 없을 정도로 광범위하고 치밀하다. 일본 최초의 사서인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이미 고구려 · 백제 · 신라 · 가야 등의 이름이 나타나며, 일부 기록들은 『삼국사기』 등이 전하는 내용보다 자세한 점도...
    유형 :
    지명/국가
    분야 :
    정치·법제/외교
  • 진무 천황의 신화
    있는 진무 천황의 동방정벌기다. 이 두 역사책은 일본의 중요한 사료임에는 틀림없으나 진무 천황의 즉위 연대는 사실과 다르며, 8세기 초에 《고사기》나 《일본서기》의 편찬자들이 1370여 년을 소급해서 기술한 것이다. 《고사기》나 《일본서기》의 기록에 의하면 진무 천황은 고대 야마토족[大和族]이 숭배하고...
  • 스스로 신이 된 남자, 덴무 천황 天武天皇
    호족들은 점차 국가의 녹봉에 의존하는 귀족 관료로 변모했다. 역사서 편찬에도 주력하여 그의 시대에 일본 최고(最古)의 역사서로 일컬어지는 《고사기》와 《일본서기》의 편찬 작업이 시작되었다. 두 사서는 황실 계보인 《제기(帝紀)》와 신화와 전승을 수록한 《구사(旧辭)》를 원본으로 하며, 앞부분에는 일본의...
    출생 :
    631년경
    사망 :
    685년
    국적 :
    일본
  • 야마토타케루 Yamato Takeru, ヤマトタケル
    있다. 그의 아들 중의 한 명이 주아이 천황이 되었는데, 그는 일본의 14대 천황이다. 일본서기에서는 천황 찬양 일색의 기록과 함께 야마토타케루의 극적인 고난에 대해서 쓰여 있으며 고사기의 경우 천황에 대한 찬양은 없으며 실사적인 인물로 그려져 있다. 고사기일본서기의 내용은 꽤 다른 면이 있다. 고사기의...
    도서 위키백과
  • 임나일본부설 남선경영론, 任那日本府說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그와 비슷한 사실이 있었다면, 그것은 분명 임나 ‘왜부(倭府)’이지, 임나 ‘일본부’는 아닌 것이다. 또한 《일본서기》보다 8년 전에 편찬된 《고사기》에는 진구 황후의 한반도 정벌과 같은 기록이 전혀 없다는 사실이다. 일본 학계에서도 《고사기》나 《일본서기》의 기록을 사실로...
  • 왕인 Wani (scholar), 王仁
    그는 "할아버지 때에 귀화한 중국인"서적 인용이라 하지만 왕인이 처음으로 등장한 고사기에는 전혀 없는 내용이다. 왕인에 대한 기술은 일본의 역사서인 고사기, 일본서기, 속일본기에 나타난다. 각각의 기술은 다음과 같다. 고사기에 따르면 왕인은 백제에서 건너온 현자로 여겨진다. 일본서기의 기록에 따르면, 왕인...
    도서 위키백과
  • 왕인 박사 유적 王仁 博士 遺蹟
    되었다. 그리고 일본 조정의 사람들에게 학문을 가르쳤을 뿐 아니라 데리고 간 기술자를 통해 여러 가지 기술도 전했다고 한다. 『고사기(古事記)』와 『일본서기(日本書紀)』에 따르면, 일본에서 왕인은 고대문화발전에 크게 기여한 성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이 유적은 1975년에 왕인박사유적현장회가 주선해 왕인박사...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고대사
  • 기마민족설 騎馬民族說
    높은 사회적 지위, 그 밖에 정치·군사제도가 대륙 기마민족의 것과 매우 비슷한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신화학의 방면에서는 ≪고사기 古事記≫와 ≪일본서기≫에 보이는 일본의 신화가 고구려와 같은 북방 유목민족의 요소가 강한 점, 그리고 진무왕 동정(東征)의 신화전설이 오진왕에 의한 두 번째의 일본 건국을...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역사/고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