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1993년 > 문화 > 무용 > 현대무용30년 이화여대 무용과가 생기면서 우리 현대무용의 역사가 시작됐다. 11월 한국현대무용30년기념행사실행위원회(위원장 박명숙)는 30년동안 공연된 무용 가운데 대표적인 현대무용들을 선보였고 30년기념축제의 피날레공연으로「수퍼스타예수그리스도」를 선보였다.「수퍼스타…」는 73년 육완순(陸完順)씨 안무로 초연된후...
  • [연합] 2010년 > 문화 > 무용 > 현대무용, 해외 진출 활기 한국의 현대무용을 유럽에 소개하는 ‘코리아 무브스(Kore-A-moves)’프로젝트가 2010년 11월 1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됐다. 이 프로젝트는 국제공연예술프로젝트(IPAP)가 탄츠하우스(독일의 무용전용극장)의 예술감독이자 유럽댄스연맹 회장인 베르트람 뮐러(Bertram Muller)와 교류하던 과정에서 한국의 우수한 무용수들...
  • [연합] 1990년 > 문화 > 무용 > 개관 졸업발표회제외). 그러나 춤의 양적 증가에 비해 관객수는 제자리걸음이어서 춤공연이 「무용가의 자기위안」에 불과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현대무용과 한국무용, 발레 등 각 부문별 활동상을 보면 현대무용이 활발히 움직였고 한국무용과 발레는 상대적으로 침체된 양상을 띠었다. 현대무용분야에선 「세계...
  • [연합] 2010년 > 문화 > 무용 > 국립현대무용단 창단 시작했다. 예술감독 겸 상임이사에는 홍승엽(댄스 시어터 온 대표)씨가, 초대 이사장에는 김화숙 원광대 교수가 선임되고 명예이사장에는 육완순 한국현대무용진흥회장이 위촉됐다. 이사에는 이정희(이정희 현대무용단 대표), 박명숙(경희대 무용학과 교수), 남정호(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한선숙(상명대 무용과 교수...
  • [연합] 1991년 > 문화 > 무용 > 개관 다시 높아졌다. 91년 무용계를 강타한 가장 큰 사건은 이대 무용과 입시부정을 꼽을 수 있다. 한국무용계의 대들보로 자타가 공인해온 육완순(현대무용), 김매자(한국무용), 홍정희(발레)씨의 불명예퇴진을 몰고 온 이 사건은 무용계와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무용계 내부의 문제점을 노출시키는 계기가 됐다. 특히...
  • [연합] 2003년 > 문화 > 무용 > 한국무용의 국제진출 염지훈은 6∼7월 열린 이 발레단 창단50주년 기념공연에서 크게 주목받는 등 해외 진출 무용수들의 활약이 갈수록 부각된 한해였다. 현대무용 분야에서는 안애순이 서울세계무용축제에서 캐나다 무용단과 합동공연을 한데 이어 2004년 3월 몬트리올에서 교환무대를 가져 현지 무용계로부터 예상을 뛰어넘는 호평을...
  • [연합] 2005년 > 문화 > 무용 > 국제무대 활약 것이었다. 김유진(金兪辰.17)ㆍ한서혜(韓瑞惠.17. 이상 한국예술종합학교) 양이 각각 1등과 3등을, 선화예고 2학년생인 원진영(元進瑛.18) 양이 5등과 현대무용상을 수상했다. 연초에 열린 일본 사이타마(埼玉) 국제창작무용경연대회에서는 신종철(밀물현대무용단원)이 ‘진화’(Evolution)로 최우수상을 탔으며...
  • [연합] 1999년 > 문화 > 무용 > 국제 무용행사 정착 안무, 연기, 음악, 미술상 등 5개 부문에서 상을 휩쓸었다. 댄스시어터 온의 ‘달 보는 개’, 댄스시어터 뉴웨이브의 ‘임파시블 드림’ 등 30대 안무가의 현대무용도 주목을 받았다. 외국무용단은 3년에 한번씩 초청하는 것으로 방침이 변경됐으며, 이번 대회에는 미국 마크하임 무용단과 프랑스 준발레 인터내셔널이...
  • [연합] 1990년 > 문화 > 무용 > 아메리칸 페스티벌(ADF) 한국현대무용의 개척자인 육완순씨의 적극적 노력으로 성사된 「ADF서울」(7.30~8.11)은 공연과 함께 마사 메이어, 데이비드 호초이, 더그 바론 등 미국의 유명무용가들을 강사로 초빙해 현대무용의 다양한 기법을 강습해주어 대학의 현대무용전공생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받았다.
  • [연합] 2001년 > 문화 > 무용 > 개관 라 바야데르’와 창작발레 ‘심청’ 등으로 대성공을 거두며 한국 발레의 비약적 성장을 세계 무대에서 뽐냈다. 외국 직업무용단에서 활약중인 발레ㆍ현대무용 분야의 한국인 무용수 9명이 여름휴가철을 맞아 7월 LG아트센터에서 가진 공동 무대에도 관객이 몰려들었다. 혼자 힘으로 외국진출을 개척했던 이들은 귀국...
  • [연합] 1989년 > 교육ㆍ문화 > 무용 > 주요공연 > 국내공연 유니버설발레단「고집장이딸」(2.28~3.1), 아이리스 박 현대무용발표회(3.11), 송수남무용단「아으 다롱다리」(3.24~25), 제5회 한국무용제전(4.28~5.4), 현대춤작가 12인전(5.5~8), 국립발레단「지젤」(5.9), 이정희ㆍ남정호 현대무용공연(5.16~17), 김현자의 생춤「늘 함이 없음을 깨닫고」(5.25~26), 서울현대무용단...
  • [연합] 1993년 > 문화 > 무용 > 개관 무용연구회는 독자적으로라도 이 행사를 주최하려고 애썼으나 재정적 어려움으로 행사규모를 크게 축소해 간신히 명맥만 유지했다. 93년 춤계의 특징은 공연감소, 이론연구활발, 무용단체증가, 젊은 춤꾼들의 두드러진 성장세, 현대무용도입30년, 지방무용인들의 두드러진 공연활동, 전통무용공연증가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