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2001년 > 사회 > 노동 > 장애인고용 의무사항으로 변경하였고 또한 장애인공무원 공개채용비율을 재직장애인 공무원수가 1만명에 이를 때까지 2%에서 5%로 상향조정하여, 장애인의 공직입문 기회를 넓혔다. 한편, 장애인고용장려금의 지급수준을 1999년 최저임금의 60%에서 2000년도에 최저임금 수준으로 높이고 중증장애인이나 여성장애인 고용시에는 최고...
  • [연합] 2002년 > 사회 > 노동 > 장애인고용 장애인고용을 권장사항에서 의무사항으로 변경하였고, 또한 장애인공무원 공개채용비율을 재직장애인 공무원수가 1만명에 이를 때까지 2%에서 5%로 상향조정하여, 장애인의 공직 입문 기회를 넓힘으로써 국가ㆍ지방자치단체가 장애인 고용의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을 장려...
  • [연합] 1991년 > 법령ㆍ자료 > 92년부터 이렇게 달라진다 > 노동부 > 장애인고용의무비율 상향조정 상시 300인 이상 사업주가 의무적으로 고용해야 하는 장애인 비율이 1%에서 1.6%로 상향조정되며 장애인 미고용시 부과되는 장애인 고용부담금도 1인당 월 12만 원에서 13만 원으로 인상됨.
  • [연합] 2000년 > 사회 > 노동 > 장애인고용 > 개요 의무사항으로 변경하였고 또한 장애인공무원 공개채용비율을 재직장애인 공무원수가 1만명에 이를 때까지 2%에서 5%로 상향조정하여, 장애인의 공직 입문 기회를 넓혔다. 한편 장애인고용장려금의 지급수준을 99년 최저임금의 60%에서 2000년도에 최저 임금 수준으로 높이고 중증장애인이나 여성장애인 고용시에는 최고...
  • [연합] 2010년 > 자료편 > 주요 자료 > 2011년에 달라지는 것 > 고용 사업장 퇴직급여제 혜택 진폐보상연금 도입 과세근로소득 기준 보험료 산정 육아휴직급여 정률제로 임금피크제 지원금 확대 임금체불 생계비 융자 기준 조정 장애인 의무고용 부담기초액 인상 전직지원 서비스 지급대상 등 확대 고용촉진지원금 확대 중소기업 청년인턴 참여범위 확대 대학생 창직 지원 중소기업 고용...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조정(장애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