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2009년 > 사회 > 보건ㆍ의약 > 신종인플루엔자 2009년은 신종전염병과의 전쟁의 한 해였다. 신종인플루엔자 유행은 신종전염병이 세계적으로 유행한 최초 사례다. 우리나라는 5월 1일 첫 확진환자의 발생에 따라 전염병 대응단계 중 2단계인 ‘주의’ 단계를 선포,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 설치, 총리실 일일상황점검 등 정부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했다. 특히 검역단계...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4년 > 경제 > 농림 > 농ㆍ축산업 > 조류 인플루엔자 파동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가 2003년 12월 충북 음성을 시작으로 2004년 3월 경기 양주까지 10개 시ㆍ군에서 총 19건이 발생, 392개 농가의 닭과 오리 등 528만5천 마리가 매몰처분됐고 피해농가에 대한 보상금, 생계안정자금 등 지원액은 1천531억 원에 달했다. 또 소비기피로 인해 치킨점 등 닭과오리 분야의 외식업계...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5년 > 남북교류ㆍ협력 > 사회문화 분야 회담 > 조류인플루엔자 남북실무접촉 우리측은 3월 15일 북측에 전화통지문을 보내 최근 북측 언론에 조류인플루엔자관련 보도가 몇 차례 있었던 점에 유의하면서 북측 지역에서의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여부 및 그와 관련된 상황에 대한 정보 제공을 요청했다. 이에 북측은 3월 17일 전화통지문을 통해 북측 지역내 조류인플루엔자 사실을 일절 부정하고...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5년 > 사회 > 사건ㆍ사고 > AI(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 개요 2월말 평양시 하당닭공장에서 AI(조류 인플루엔자)로 의심되는 사례가 발견됐다. 북한당국은 진단 설비가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AI 감염여부를 알지 못하다가 뒤늦게 감염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북한당국은 3월 27일 AI 발생 사실을 공식 발표하고 긴급방역에 들어가는 한편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했다. 특히 북한은...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6년 > 사회 > 의료 > 의료계 동향 > ‘조류인플루엔자’ 격리병동 신축 북한이 평양에 조류인플루엔자(AI) 환자 발생에 대비한 격리 병동을 건설하고 있다고 조선신보가 8월 11일 보도했다. 이 병동은 세계보건기구(WHO)의 협조하에 신축중이며, AI 격리 병동으로는 세계적 기준에 맞는 표준형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북한에서 처음 건설되는 이 병동은 평양시 송신병원 구내에 연면적 695㎡...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2008년 > 경제 > 농림 > 농ㆍ축산업 > 조류인플루엔자 4월 1일 전북 김제의 한 산란계(알 낳는 닭)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견됐다. 사상 최고의 피해를 남긴 세 번째 AI 사태의 서막이었다. 발병 시점부터 예년과 달리 겨울이 아닌 봄이었다. ‘겨울 철새를 통해 유입ㆍ전파된다’고 알려진 기존의 경로에 대한 통념을 깨는 사건이었다. 3차 AI는 4월 1일...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8년 > 자료편 > 법령ㆍ자료 > 2008년 100대 뉴스 > 27. 대한민국, 조류인플루엔자 공포에 떨다 2008년 4월 3일 13개월 만에 국내에서 다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병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전북 김제 소재 한 산란계(알 낳는 닭) 농장의 닭 폐사 원인을 정밀 검사한 결과 고병원성 AI(혈청형 H5N1)로 최종 판정됐다고 밝혔다. 예년과 달리 봄기운이 완연한 4월 초 고병원 조류인플루엔자(AI) 발병이 확인...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5년 > 사회 > 사건ㆍ사고 > AI(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개요 발생 방역 남한ㆍ국제사회 지원 2월말 평양시 하당닭공장에서 AI(조류 인플루엔자)로 의심되는 사례가 발견됐다. 북한당국은 진단 설비가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AI 감염여부를 알지 못하다가 뒤늦게 감염 사실을 확인했다. 이에 북한당국은 3월 27일 AI 발생 사실을 공식 발표하고 긴급방역에 들어가는 한편 국제...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2006년 > 사회 > 소비자 보호 > 조류인플루엔자 발생 전북 익산의 한 농장에서 6천여 마리의 닭이 ‘고병원성 AI’로 폐사하면서 또 다시 조류독감 공포가 우리 나라에 확산됐다. 인도네시아에서 2006년 11월, 57번째 사망자를 낸 AI는 아직까지 개발된 치료제가 없어 대유행시 최악의 경우 세계적으로 수억 명의 사망자가 나올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AI에 감염된 조류...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5년 > 사회 > 사건ㆍ사고 > AI(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 방역 북한은 AI가 공식적으로 확인되자 만경대, 하당, 서포 등의 닭공장에서 AI에 걸렸거나 걸린 것으로 의심되는 21만9천여 마리의 닭을 살처분했다. 그리고 이들 공장으로 들어가는 모든 교통로를 차단하고 전국 각지의 앙계장에서 예방접종을 실시했다. 또 확산을 막기 위해 전국적으로 가금류 판매를 중단시키고 국경초소...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5년 > 사회 > 사건ㆍ사고 > AI(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 발생 2월말 평양시 하당닭공장에서 AI가 발생하기 2∼3일 전 새벽녘에 정전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공기정화 장치의 가동이 중단됐다. 그 결과 공장내부는 닭의 배설물에 의해 유화수소가스가 차게 돼 모든 창문들을 열고 강제 환기를 진행했다. 그런데 환기를 시킨 지 하루 만에 닭들이 무더기로 폐사하기 시작했다. 이 때...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5년 > 사회 > 사건ㆍ사고 > AI(조류 인플루엔자) 발생 > 남한ㆍ국제사회 지원 북한은 AI가 발생하자 국제수역사무국(OIE)에 실태 보고서를 보내고 방역 지원을 요청했다. 이 기구는 1924년 동물 질병에 관한 정보 교류를 목적으로 설립된 정부간 국제기구로 북한은 2001년 회원국으로 가입했다. 국제수역사무국(OIE)과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4월 8일 북한이 AI 발생 사실을 ‘투명하게’ 알린 점...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