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2001년 > 문화 > 음악 > 국악 국악계에서는 국악FM방송(주파수 99.1㎒)이 3월 2일부터 정규방송을 시작한 것이 가장 큰 뉴스로 꼽힌다. 국립국악원 윤미용 원장을 이사장으로 하는 재단법인 국악방송은 국악 대중화를 위해 1년여의 심혈을 기울인 준비작업 끝에 마침내 결실을 보았다. 서울ㆍ경기지역 1,400여 만명과 남원지역(주파수 95.9㎒) 19만여...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3년 > 문화 > 음악 > 국악 > 국악계 거목 타계 국악계에서는 국립 국악원 공연장의 시설보수 등으로 인해 공연은 수적으로 그리 많지 않았고, 다만 국악계에 큰 업적을 남겼던 인물들이 잇따라 세상을 떠나 안타까움을 남겼다. 2003년 7월에는 국내에 완창 판소리 시대를 처음으로 연 주역으로, 판소리계 거목이었던 박동진 명창이 87세를 일기로 타계했고, 최고령...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8년 > 문화 > 음악 > 국악 중앙극장과 국립국악원의 상설무대로 국립중앙극장은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 무용극과 창극, 판소리 무대를, 매월 첫째주 목요일에는 ‘박범훈과 함께 하는 국악의 세계로’를 마련했다. 또 국립국악원은 화요일마다 중요무형문화재 무대종목 전승자들의 발표무대를, 토요일엔 전통 가무악 종합공연 프로그램을, 그리고...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4년 > 문화 > 음악 > 국악 > 대중화 시도 호응 국악쪽을 살펴보면 다양한 방식으로 우리 전통음악을 대중화, 세계화하기 위한 시도들이 눈에 띈 한해였다. 국립국악원은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등 3개 산하 단체에 이어 연초 창작악단을 새롭게 출범시켜 국악계의 관심을 모았다. 전통을 보존하는 일뿐 아니라 미래세대를 위한 새로운 음악을 창조하겠다는 취지...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7년 > 문화 > 음악 > 국악 통념을 깨고 대중의 관심을 끌기 위해 국악과 서양음악의 만남, 국악과 대중음악의 만남 등 크로스오버작업은 어느 때보다 활발했다. 국악의 본산인 국립국악원은 신임한명희원장을 맞아 의욕적인 모습을 보였다. 전임 이성천원장의 맥을 이어 전통국악에만 치중하던데서 변모, 창작국악의 활성화에 어느 때보다 열을...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1년 > 문화 > 음악 > 국악 > 주요공연 국립창극단 「심청가」(3. 12-17) 완창, 판소리 박동진의 「수궁가」(3. 30), 국립국악원 개원40돌 기념행사(4. 2-30), 국립국악원 「한ㆍ미 친선의 밤」(5. 10), 명인전(6. 27-28), 창극 「박씨전」(7. 13-17), 대한민국국악제(9. 14-17), 「소리여 천년의 소리여」(10. 29), 박귀희 가야금명창모음(12. 14), 중앙국악...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6년 > 문화 > 음악 > 국악 국악쪽에서는 국악계의 숙원사업이었던 국악전용 대극장인 국립국악원대극장 예약당이 개관되는 경사가 있었다. 200여억원의 예산을 들여 8년간의 긴 공사 끝에 10월22일 개관한이 극장은 지하 1층, 지상 4층 건물로 객석만 780석을 헤아린다. 국립국악원은 또 연초 민속악 박종선, 정악 정재국, 무용 이홍수, 3...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3년 > 문화 > 음악 > 국악 > 개요 수 있도록「상설 월요전통음악회」를 마련하여 국악계의 인재발굴이란 측면에서 비상한 관심을 모으기도 하였다. 이와 아울러 기존의 상설공연의 선두주자인 국립국악원이「토요상설국악공연」이외에「일요명인명창전」을 마련함으로써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국립국악원과 기획단체인 홍일예술기획이 공동으로 주관...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5년 > 문화 > 음악 > 국악 무대, 창작국악 발표회, 서양음악과 국악의 접목, 서양오페라의 대안이랄 수 있는 음악극의 시도 등 은 그나마 국악의 미래에 기대를 걸게 했다. 국립국악원에는 3월 행정관리 출신이 아닌 전문 국악인인 이성천 교수(서울대 음대)가 새 원장에 취임, ‘국악의 정통성과 진흥’의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일제...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4년 > 문화 > 학술 > 주요 학술대회 > 제1회 아ㆍ태민족음악회 학술대회 상호교류를 통해 세계 음악계에서 동양음악의 위상을 재정립하기 위한 제1회 아ㆍ태민족음악회 학술대회 및 전통음악축제가 11월 13일부터 1주일간 국립국악원ㆍ국립극장ㆍ민속촌 등을 이어가며 펼쳐졌다. 4월에 창립된 아ㆍ태민족음악회가 주최하고 중국ㆍ일본ㆍ인도네시아ㆍ필리핀ㆍ태국ㆍ베트남ㆍ대만ㆍ한국 등...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2년 > 문화 > 음악 > 국악계 대형무대가 그리 많지 않았으나 역시 ‘월드컵’은 예외가 아니었다. 3월에는 정상회담차 내한한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가 한국 전통문화 체험을 위해 국립국악원을 방문했고 5월에는 일본의 중요무형문화재이자 황실의 업무를 관장하는 궁내청 전속악단인 직악부가 처음으로 내한, 관심을 모았다. 또 월드컵 기간...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3년 > 문화 > 문화재 > 주요행사ㆍ특별전시ㆍ공연 전통생활옹기특별전(롯데월드민속관), 제1회민속예술대공연(국립극장), 제5회청소년탈춤경 대회(서울놀이마당), 중요무형문화재무대종목대제전(국립국악원), 제23회판소리유파발표회(국립극장),태평무공연 「나의 인생, 우리의 춤」(국립극장), 문화재발굴사진전(경복궁) 등이 열렸고, 대전EXPO기간중 놀이마당에서는...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