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2007년 > 경제 > 재정 > 재정수지 및 국가채무 특별회계+기금)는 공적자금의 국채전환이 2006년에 종료됨에 따라 12조2천억 원의 흑자, 관리대상 재정수지는 14조8천억 원 적자로 편성하였다. 관리대상 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 중 사회보장성기금 수지를 제외한 재정수지이다. 사회보장성기금은 장래 연금지급에 대비하기 위해 현재 적립단계에 있어 흑자가 발생하고...
  • [연합] 2009년 > 경제 > 재정 > 재정수지 및 국가채무 2009년 예산상 통합재정수지(일반회계+특별회계+기금)는 22조원의 적자, 관리대상 재정수지는 △51조원 적자로 전망된다. 이는 GDP 대비로는 각각 △2.1%, △5.0% 수준이다. 관리대상 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 중 사회보장성기금 수지와 공적자금상환소요를 제외한 재정수지이다. 사회보장성기금은 장래 연금지급에 대비...
  • [연합] 2010년 > 경제 > 재정 > 재정수지 및 국가채무 2010년 예산상 통합재정수지(일반회계+특별회계+기금)는 2조 원의 적자, 관리대상 재정수지는 30조1천억 원 적자로 전망됐다. 이는 GDP 대비로는 각각 0.2%, 2.7% 감소한 수준이다. 관리대상 수지의 경우 2009년도 결산 대비 13조1천억 원 감소한 수준이다. 관리대상 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 중 사회보장성기금 수지와...
  • [연합] 2008년 > 경제 > 재정 > 재정수지 및 국가채무 2008년 예산상 통합재정수지(일반회계+특별회계+기금)는 17조 원의 흑자, 관리대상 재정수지는 11조 원 적자로 전망된다. 이는 2007년보다 각각 4조8천억 원, 3조8천억 원 개선된 수치다. 관리대상 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 중 사회보장성기금 수지와 공적자금상환소요를 제외한 재정수지다. 사회보장성기금은 장래 연금...
  • [연합] 2006년 > 경제 > 재정 > 주요 재정지표 > 통합재정수지 경정 예산 기준으로는 1.7%의 적자로 계획되었으나, 세입호조 등의 영향으로 결산 기준으로는 2005년과 유사한 수준의 적자규모가 예상된다. 우리 나라의 재정수지는 만성적인 적자구조를 보이고 있는 OECD 국가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건전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2004년 기준 일반정부 재정수지를...
  • [연합] 2007년 > 경제 > 재정 > 지출 규모 일반회계ㆍ특별회계ㆍ기금을 모두 포괄하고 회계ㆍ기금 간 내부거래 및 차입ㆍ채무 상환 등을 제외한 실질적 의미의 세입ㆍ세출의 차이이고, 관리대상 재정수지는 통합재정수지 중 사회보장성기금과 공적자금상환 소요를 제외한 수지를 의미한다. 예산ㆍ기금의 지출에서 회계와 기금 간 내부거래 및 국채와 차입금 상환...
  • [연합] 2005년 > 경제 > 재정 > 재정 지표 > 통합재정수지 그간 흑자를 나타냈던 통합재정수지는 1997년 외환위기 직후 경제정상화를 위한 재정의 적극적 역할로 적자로 반전되었으나, 곧 경제가 조기에 회복됨에 따라...기조를 회복했다. 우리 나라의 통합재정수지는 만성적 적자구조를 보이고 있는 OECD 국가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건전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연합] 2010년 > 경제 > 재정 > 재정운용여건 수출의 동반호조로 연간 4% 내외의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경기회복 흐름이 유지될 수 있도록 재정의 적극적인 역할은 지속하되 재정건전성 관리를 위해 재정수지 적자 폭을 연차별로 축소해 2013~2014년에는 균형이 달성될 수 있도록 재정운용 목표와 기조를 설정했다.
  • [연합] 2005년 > 경제 > 재정 > 재정규모 전망이다. (자료 : 한국은행) 주 : 기말잔액, 자료 : 한국은행 주:1) 경제사업:농어촌, 산업ㆍ중소기업, SOC 등 2) 복지 및 삶의 질:사회복지ㆍ문화관광ㆍ주택ㆍ환경 등 자료:IMF, GFS Yearbook(’04) ※ 관리대상수지 〓 통합재정수지 - 사회보장기금수지 + 공적자금 국채전환 자료 : OECD Economic Outlook, 05.6
  • [연합] 2008년 > 경제 > 재정 > 2008~2012년 국가재정운용계획 계획을 세우고 단년도 예산 및 기금운용계획을 통해 구체화하고 있다. 2008~2012년 기간 중 총지출은 연평균 6% 수준으로 관리해 중장기 재정 건전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적정 수준의 재정수지 관리를 위해 총수입 증가율 전망인 7.6%보다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도록 했다. 또한 총지출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수준으로...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