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1997년 > 경제 > 제조업 > 주요 업종별 실적 > 식음료 > 가공식품 크라운은 오히려 1% 감소해 화의선청의 사정을 짐작케 했다. 라면업계는 농심의 선두를 유지 한가운데 2년 연속 두자리수대 신장률을 보였다. 농심, 삼양식품, 오뚜기, 한국야쿠르트, 빙그레 등 라면 5개사(社)의 총매출은 9,625억원으로 전년(8,640억원)대비 11.4% 성장했다. 이 가운데 농심이 5,957억원으로 전년대비...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5년 > 경제 > 농림수산 > 농업 > 농어촌발전대책 및 농정개혁 추진상황 > 농수산물 가공산업 육성 수요창출과 부가가치 제고로 농어가 소득증대를 위해 95년 629억 원을 지원, 98개소의 전통식품 개발업체와 64개소의 산지가공업체가 육성됐다. 또한 농수산물 가공식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준 규격화 (KS)사업이 추진돼 95년 말까지 151개 품목의 규격이 제정됐으며 우수 전통식품을 발굴ㆍ보급하기 위해 전통...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8년 > 북한 시ㆍ도 지리 > 황해북도 > 토산군 > 산업 많고 기온이 온화하므로 이 지방의 특산물인 담배, 땅콩, 인삼 등도 재배한다. 넓은 산지와 자연 사료가 풍부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양, 소, 염소, 돼지, 닭 등을 사육한다. 휴전선에 가까운 지역이어서 공업은 거의 볼 수 없고, 일용품의 제조물을 교환하는 정도다. 주요 시설로 토산식품가공공장, 토산종이공장 등이 있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1996년 > 경제 > 제조업 > 주요 업종별 실적 > 식음료 > 가공식품 법인중 일제히 흑자폭이 전년에 비해 확대돼 롯데가 100억원, 동양이 50억원, 크라운이 14억원의 순이익을 남겼으며 라면업계는 농심의 독무대였다. 농심, 삼양식품, 오뚜기, 한국야쿠르트, 빙그레 등 라면 5사(社)의 이 부문 총매출은 8,609억원으로 95년 7,508억원에 비해 14.7%성장했다. 이 가운데 농심이 5,349억원...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9년 > 경제 > 제조업 > 주요 산업별 동향 > 식품 간장’ 등 이색 웰빙 간장을 시장에 내놓았다. 각 업체들은 정부가 가공용 쌀을 30% 싸게 공급키로 하는 등 쌀 소비촉진 대책을 발표함에 따라 새로운 쌀 가공식품 개발에 적극 나서기도 했다. CJ제일제당은 1996년 ‘햇반’을 출시하며 새로운 쌀 가공식품 시장을 연데 이어 ‘새우 볶음밥’, ‘닭가슴살 볶음밥...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7년 > 각국 현황 > 중미(Middle America) > 과테말라(Republic of Guatemala) > 경제ㆍ사회ㆍ문화 국내총생산의 4분의 1, 수출의 3분의 2, 노동력의 2분의 1을 각각 차지할 만큼 비중이 큰 반면 공업은 내수시장과 미국, 중미시장을 겨냥한 경공업과 식품가공을 제외하면 미미한 수준. 높은 문맹률과 낮은 교육수준, 자본시장의 미비, 교통ㆍ통신ㆍ전력 등 기반시설 부족이 경제성장의 저해요소로 작용. 소득상위 10%가...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89년 > 경제 > 제조업 > 주요업종별실적(89년12월 잠정치) > 일반기계 기계류는 특히 내수와 수출이 다같이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해 수출은 24%증가한 52억4,000만달러의 실적을 보였으며 내수수요도 일반산업용기계의 수요가 크게 늘어난 데다가 농업용기계, 식품가공기계, 운반하역기계, 건설광산기계등의 생산이 활기를 띰에 따라 수입공급물량을 포함모두 166억달러로 24.2%증가했다.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9년 > 경제 > 주요 산업 분야 대내 동향 > 경공업 > 평양 식료품상점서 가공식품 판매 평양의 식료품상점에서 여러 가지 반찬류의 판매에 들어갔다고 조선신보(4.18)가 전했다. 이 신문은 “콩 음식류, 나물류, 김치류, 장아찌류 등 70여 가지의 가공부식물을 반제품 또는 완제품 형태로 만들어 봉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평양시 인민위원회 리일혁 책임부원은 “가공부식물 봉사는 현재 각 구역의...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1989년 > 법령ㆍ자료ㆍ편람 > 자료 > 1990년부터 이렇게 달라진다 > 농어촌 > 전통식품개발 촉진 산업에 참여하여 농어가소득을 늘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통식품과 토산식품가공업에 대한 행정절차가 간소화되고 시설기준이 완화된다. 시ㆍ도지사가 지정 하는 전통식품이나 토산식품을 제조, 가공하는 경우 지금까지는 당국의 제조허가를 받아야 했으나 앞으로는 신고만 하면 되고 면적도 규정의 절반만 갖추면 된다.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8년 > 사회 > 소비자 보호 > 식품 이물질 혼입 파동 식품회사들이 이물질 혼합 사고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며 무마하거나 축소, 은폐하려 하는 등 안이하게 대처하는 바람에 여론은 더욱 악화됐다. 과거 가공식품에서 이물질이 나온 경우에는 제조업체 등이 약간의 사례를 하는 선에서 무마됐지만 최근에는 인터넷이 발달하고 식품안전 의식이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이...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