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연합] 1991년 > 세계 > 세계문화 > 과학 > 우주과학 > X선원천체관측 90년 6월 1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케이프케나베럴 공군기지에서 서독의 천문관측위성 「로사트」가 발사됐다. 이 위성은 별들의 하늘(성공(星空))에서 X선을 방출하는 천체를 찾아내기 위한 것으로 정밀도가 높은 X선망원경이 적재되어 있고 X선원의 천체 10만개 정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2년 > 세계 > 세계문화 > 과학 > 우주과학 > 관측으로 빅뱅설을 입증 미국항공우주국의 우주배경방사탐사위성(COBE)의 관측에 의해 은하가 생겨나는 원인(原因)이 되는 「흔들림」(요동(搖動))의 존재가 92년4월말 밝혀졌다. 지금까지 일정한 것으로 알려져 왔던 우주배경방사의 온도가 방향에 따라 10만분의 3정도의 고저가 있는 것을 알아낸 것으로서 이는 빅뱅설에 기초하는 우주론을...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10년 > 사회 > 국토관리 및 환경보호 > 백두산 생물권 핵심보전지역 75% 훼손 대부분이 벌목으로 훼손됐다고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이 5월 19일 보도했다. RFA에 따르면 미국 퍼듀대학의 구판 샤오 산림자원학과 교수는 미국 항공우주국 및 구글 어스의 위성 자료를 분석해 백두산 생물권보전지역 중 핵심보전지역의 75%가 벌목으로 훼손됐다고 주장했다. 유네스코는 1989년 백두산 일대...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연합] 2009년 > 자료편 > 주요 자료 > 역사 속 오늘 > 9월25일 장관회담 개최(제주도) 2002 MBC 특별공연 대표단 181명 평양 도착 1513 스페인 탐험가 바스코 발보아:서구인 최초로 태평양 발견 1945 세계노동조합연맹 발족 1992 미국 항공우주국(NASA):5억1천만 달러 상당의 화성탐사위성 발사 2007 후쿠다 야스오 제91대 일본 총리로 확정 2008 중국 첫 유인 우주선 ‘선저우7호’발사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0년 > 세계 > 세계문화 > 과학 > 우주과학 > 2001년 월면에 항구기지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89년11월, 2001년에 다시 월면에 착륙하여 항구기지를 건설하고 나아가 2011년에는 화성에 사람을 보내서 항구기지를 만든다는, 계획서를 국가우주평의회 의장인 퀘엘부통령에게 제출했다. 월면항구기지계획은 빠르면 99년에 무인탐사선을 보낸 뒤에 2001년에 4명의 탑승원을 30일간, 2002...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0년 > 세계 > 세계문화 > 과학 > 우주과학 > 우주망원경을 셔틀로 쏘아올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허블우주망원경을 실은 스페이스셔틀 「디스커버리」를 90년4월24일 오전8시34분 케네디우주센터에서 쏘아올렸다. 허블우주망원경은 동 25일 오전3시38분 우주공간에 방출되었다. 이 망원경은 고토 약 600KM, 궤도경사각도 28.5도의 지구주위궤도를 타고 약 반년에 걸쳐 관측기기 같은 조정을 한...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2006년 > 세계 > 세계문화 > 과학 > NASA, 달 유인기지 계획 발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오는 2024년까지 달에 인간이 상주하는 유인기지를 건설할 계획이라고 12월 4일 발표했다. 유인기지는 수차례의 달 왕복탐사에 이어 2020년부터 건설이 시작되며, 장차 화성 여행에 필요한 기술을 시험하는 과학 전초기지가 될 것이라고 NASA는 밝혔다. 1960년대 아폴로 탐사선은 달의 한복판에...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8년 > 세계 > 세계문화 > 과학 > 달 탐사 25년만에 본격 재개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우주인들이 마지막으로 달에 착륙한지 25년만에 다시 달 탐사에 나섰다. 달탐사는 72년 아폴로호 이후 처음이다. 1월5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무인 달 탐사선 루나 프로스펙터는 길게는 1년 반의 탐사기간 중 달 표면 지도 작성과 극지방의 물 존재...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연합] 1992년 > 세계 > 세계문화 > 과학 > 우주과학 > 목성탐사기고장 91년8월20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목성탐사기 「갈릴레오」의 우주안테나가 고장을 일으켜 완전히 열리지 못한 사실을 발표하였다. 「갈릴레오」의 주안테나는 우산모양으로 되어 있고 태양에서 멀리 떨어질 때 이 안테나를 열어서 냉각시키려 하다가 실패, 18개가 있는 「우산살」의 3~5개가 고장이 났던 것으로 이...출처 연합뉴스 연합연감
-
[북한] 2000년 > 재외동포 > 재외동포 소식 > 한국과학자, 쌍성주위 도는 외계 행성 교수는 서울대학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스탠퍼드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노틀담대학 연구교수로 재직중이며 중력미소렌즈를 이용한 외계행성 발견 뿐 아니라 초신성과 감마선폭발, 블랙홀, 암흑물질 등도 연구중이다. 한편 그의 외계 행성 발견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99년 자체 선정한 10대 과학 성과에 포함...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이전페이지 없음
1
현재페이지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