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감
-
[북한] 2010년 > 남북 회담 합의문ㆍ북한 법률 > 사회주의헌법 > 제1장 정 치 제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전체 조선인민의 리익을 대표하는 자주적인 사회주의국가이다. 제2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제국주의침략자들을 반대하며 조국의 광복과 인민의 자유와 행복을 실현하기 위한 영광스러운 혁명투쟁에서 이룩한 빛나는 전통을 이어받은 혁명적인 국가이다. 제3조 조선...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4년 > 법전 > 사회주의헌법 > 제1장 정치 > 제18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법은 근로인민의 의사와 리익의 반영이며 국가관리의 기본무기이다. 법에 대한 존중과 엄격한 준수집행은 모든 기관, 기업소, 단체와 공민에 있어서 의무적이다. 국가는 사회주의법률제도를 완비하고 사회주의법무생활을 강화한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4년 > 법전 > 사회주의헌법 > 제3장 문화 > 제4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사회주의근로자들을 위하여 복무하는 참다운 인민적이며 혁명적인 문화를 건설한다. 국가는 사회주의적민족문화건설에서 제국주의의 문화적침투와 복고주의적경향을 반대하며 민족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사회주의현실에 맞게 계승발전시킨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1999년 > 특집 > 북한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우리식 사회주의와 강성대국 > 우리식 사회주의에 대한 인식 인식하는 것은 북한 밖에서 북한을 가리켜 ‘북한사회의’ 혹은 ‘북한의 사회주의’로 지칭하는 것과 같은 것으로서 그 저변에는 북한체제를 동구사회주의국가들과 같은 범주에서 이해하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입장은 북한이 우리식 사회주의 주장을 통해 동구사회주의국가들과의 차별성을 부각...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4년 > 법전 > 사회주의헌법 > 제2장 경제 > 제26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마련된 자립적민족경제는 인민의 행복한 사회주의생활과 조국의 륭성번영을 위한 튼튼한 밑천이다. 국가는 사회주의 자립적민족경제건설로선을 틀어쥐고 인민경제의 주체화, 현대화, 과학화를 다그쳐 인민경제를 고도로 발전된 주체적인 경제로 만들며 완전한 사회주의사회에 맞는 물질기술적...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6년 > 북한법ㆍ규정 > 사회주의재산관리법 > 제4장 사회주의재산의 보호 > 제37조 국가는 사회주의재산을 책임적으로 관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회주의 재산애호월간을 정한다. 재산애호월간을 정하는 사업은 내각이 한다. 기관, 기업소, 단체는 재산애호월간에 재산을 알뜰히 관리하기 위한 조직동원사업을 집중적으로 벌려야 하며 공민은 재산애호사업에 주인답게 참가하여야 한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10년 > 남북 회담 합의문ㆍ북한 법률 > 사회주의헌법 > 서문 혁명로선을 내놓으시고 여러 단계의 사회혁명과 건설 사업을 현명하게 령도하시여 공화국을 인민대중중심의 사회주의 나라로, 자주, 자립, 자위의 사회주의국가로 강화발전시키시였다. 김일성 동지께서는 국가건설과 국가 활동의 근본원칙을 밝히시고 가장 우월한 국가사회제도와 정치방식, 사회관리체계와 관리방법을...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1999년 > 특집 > 북한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우리식 사회주의와 강성대국 > 우리식 사회주의의 정치적 함의 북한의 국가체제를 왜 90년대에 이르러 우리식 사회주의라는 이름으로 정식화했을까. 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추론이 가능하다. 먼저 북한이 사회주의체제를 고수하고 있음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오늘날 지구상에는 북한을 포함해 중국 쿠바 베트남 등 단지 4개의 사회주의국가만이 존재하고 있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1999년 > 특집 > 북한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 우리식 사회주의와 강성대국 개요 우리식 사회주의에 대한 인식 체제로서의 우리식 사회주의 우리식 사회주의의 정치적 함의 우리식 사회주의의 통치구조 김정일시대의 국가모토 강성대국 맺는 말 사회주의국가들을 인식함에 있어서 사회주의의 일반성 못지 않게 각 나라가 처해있는 특수성을 고려하는 것은 중요하다. 실제로 역사적 사회주의 관점...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1999년 > 특집 > 북한 어떻게 볼 것인가 > 분단시대에 대한 이해 있었다. 그리고 이 문제는 한반도문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21세기를 바라보는 시점에서의 세계사적 문제이기도 하다. 20세기를 넘기면서 세계사는 국가사회주의가 거의 몰락해 가고 초국적자본이 크게 발달하면서 자본주의가 독주할 것처럼 보이고 있다. 그런가 하면 민족국가 사이의 벽이 낮아지면서 지역공동체들...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4년 > 법전 > 교육법 > 제1장 교육법의 기본 내는데 이바지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확립된 사회주의교육제도는 새 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투쟁에서 우리 인민이 이룩한 고귀한 전취물이다. 국가는 사회주의교육제도를 더욱 공고히 하고 끊임없이 발전시켜나가도록 한다. 건전한 사상의식과 깊은 과학기술지식, 튼튼한 체력을 가진 믿음직한 인재를 키우는것...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
-
[북한] 2009년 > 남북회담 합의문 법률규정 > 법률 규정 > 제3장 문 화 만들며 온 사회를 인테리화한다. 제41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사회주의근로자들을 위하여 복무하는 참다운 인민적이며 혁명적인 문화를 건설한다. 국가는 사회주의적 민족문화건설에서 제국주의의 문화적 침투와 복고주의적 경향을 반대하며 민족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사회주의 현실에 맞게 계승발전시킨다. 제42조...출처 연합뉴스 북한연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