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쌍성봉효록 쌍셩봉효녹, 雙星奉孝錄마음에 둔다. 교소교는 어머니인 가 부인의 질책(叱責)을 받고 도주하여 탕후의 부인 최씨의 양녀가 된다. 최씨의 친딸인 탕수벽(탕 소저)은 정세윤을 사모(思慕)하지만, 정세윤이 이미 외종사촌(外從四寸) 동생[表弟] 초 소저와 혼인하였으므로 수절(守節)하기로 결심한다. 교소교는 능운이고(능운)의 요사(妖邪)스러운...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고전산문
-
소론 강경파의 정권 탈환 모의, 이인좌의 난 무신란(戊申亂)여러 고을에 격문을 붙여 동조 세력을 모집했다. 이어 반란군은 목천을 거쳐 진천까지 북상했다가 두 갈래로 나뉘었다. 대원수 이인좌는 경기 안성으로, 부원수 정세윤(鄭世胤)은 죽산으로 각각 부대를 이끌고 진격했다. 이즈음 정부의 진압군을 맡은 도순무사 오명항(吳命恒)은 첩자를 이용해 진압군이 직산으로 갈 것...
- 시대 :
- 1728년
-
강세윤 윤지(胤之), 姜世胤서호(瑞虎)를 포박하여 공을 세웠으나 체포된 난도(亂徒)들의 국문중 그들과 내통하였다는 자백을 받아 파직, 하옥 후 또다시 유배되었다. 그 뒤 1738년에 풀려나 1750년에 직첩을 환급받았다. 1763년에 당시 적괴 정세윤(鄭世胤)이 그와 이름이 같았던 까닭으로 억울하게 벌을 받았던 사실이 밝혀져 신원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84년(숙종 10)
- 사망 :
- 1741년(영조 17)
- 경력 :
- 승정원주서, 이천부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이인좌의 난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진주(晉州)
-
삼한구락부 조선유학생총회, 三漢俱樂部간사장에 김병로(金炳魯)를 선출하였다. 이들은 그동안 각 도별로 연락기관을 설치한 뒤 활동하다가, 조선유학생총회에 흡수되었다. 이 총회의 초대회장에는 삼한구락부에도 관계를 맺고 있던 정세윤(鄭世胤)이 선출되었다. 이는 대한흥학회가 철폐된 지 3년만의 일로 모든 유학생기구가 다시 재건된 셈이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10년대 초
- 성격 :
- 친목단체, 유학생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의 에피소드 목록 (1995년)김혜옥, 한근욱, 윤서현, 문진관, 백경미, 강민석, 우재형, 김철수, 최원주 제4회 3월 23일 남자면 다냐? 유진선, 유부연, 임선경 황제연, 장성환, 이원군 정세윤, 장덕수, 이창욱, 임영춘, 오성렬, 윤아, 김원배, 강수영, 원근희, 손해선, 이춘식, 서혜운, 박정곤, 이계영, 장대지, 이준균, 김준, 강민석, 김준모...도서 위키백과
-
초연중학교 草蓮中學校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기초 생활 습관 지도를 실시하고 있다. 2010년 5월 3일에 펜싱부를 창단하였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지경환/작곡 정세윤] 백양산 맑은 정기 푸르른 기상/ 우러러 한뜻으로 모여드는 곳/ 진리의 광명 속에 뻗어 나가는/ 희망과 높은 이상 나래를 펴자/ 서로 모아 갈고닦은 참된 슬기는...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동주중학교 洞州中學校예술 교육이 있는데, 이를 위해 다양한 문화 예술 활동을 통한 즐거운 학교 만들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교가와 상징물] 1. 교가[작사 권창동/작곡 정세윤] 낙동강 흘러 흘러 바다에 이르러/ 창조하는 우리도 또한 쉬지 않으리/ 바르고 슬기로운 나라 일꾼 되어/ 온 누리에 빛나리 온 누리에 빛나리/ 그 이름도...
- 분야 :
- 문화·교육
- 지역 :
- 부산광역시 사상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