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육십이 六十二見, 六十二見
    요약 필요 62견(六十二見)은 초기불교 경전 등에서 외도(外道)의 모든 견해 또는 사상을 62종으로 분류한 것을 말한다. 고려대장경연구소. 2017년 9월 11일에 확인.외도들이 가지고 있는 62가지 사견(邪見)을 비판한다. 이본(異本)으로 위에서 언급한 범동경 외에도 팔리 어 장부(長部) 경전의 제1경과 티베트 어 역본(...
    도서 위키백과
  • 말겁말
    말겁말(末劫末見)은 육십이의 한 종류이다. 말겁말(末劫末見)에서 말겁(末劫)은 미래의 시간을 뜻하고, 말견(末見)은 미래에 대해 관찰하여 단견(斷見)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즉, 말겁말견은 미래에 대한 관찰을 통해 나와 세간이 영원히 소멸된다[斷]는 유형의 결론을 내리고 그것을 주장하는 것을 말한다...
    도서 위키백과
  • 범동경
    梵動)가 사용되었기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문 마지막 부분에서도 attha-jāla, 즉 의망(義網)이 의동(義動)으로, 범망(梵網)이 법동(法動)으로, 견망(見網)이 견동(見動)으로, 마동(魔動) 등으로 일관되게 jāla(網)가 cāla(動)로 번역되었다. 《한글대장경》, 제1권, 322쪽~. 범망경 (상좌부) 육십이(六十...
    도서 위키백과
  • 범망경 (상좌부) Brahmajāla Sutta, 梵網経 (パーリ)
    유한한 것도 아니고 무한한 것도 아님을 알게 된 사람. 만식교란론(鰻式攪亂論) 사후유상론 사후무상론 사후비유상비무상론 단멸론 현법열반론 범동경 육십이(六十二見) 이중표 역해, 범망경, 2014. 전재성 역주, 예순두 가지의 잘못된 견해란 무엇인가?, 《, 2011. 전재성 역주, 하느님의 그물의 경, 《, 2011. 각묵...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