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성기 成己초기국가시대 위만조선의 대신을 역임한 관리. 내용 서기전 109년 한무제(漢武帝)의 군대가 위만조선을 침입하자 위만조선은 이에 대항하여 1년을 잘 싸웠으나 마침내 수도인 왕검성(王儉城)이 포위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위만조선의 내부는 화전(和戰) 양파로 분열하여 조선상(朝鮮相) 노인(路人), 상(相) 한음(韓陰)...
- 시대 :
- 고대/초기국가/고조선
- 출생 :
- 미상
- 사망 :
- 기원전108년
- 경력 :
- 대신(大臣)
- 유형 :
- 인물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대사
-
성기 省記조선시대 궁궐과 중요관청의 야간당직자·경비원·순찰자들의 명단을 장부에 기록하는 제도. 내용 오늘날의 당직명령부를 기록하는 것과 비슷하다. 이는 병조의 성기색(省記色)이란 부서에서 담당하였는데, 매일 신시(申時 : 오후 3∼5시)까지 작성하여 낭관이 직접 왕에게 보고하고 결재를 받도록 하였다. 여기에는 ...
- 시대 :
- 조선
- 성격 :
- 행정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생식기 성기, 生殖器생식기는 남성과 여성의 성세포를 만들고 수정해서 자손을 만든다. 남성의 생식기는 정자를 만드는 정소가 있는 음낭, 음경, 정낭, 전립선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성의 생식기는 난자를 만드는 난소 외에 질, 자궁 등으로 구성된다. 수정란은 자궁내막에 착상해서 성장하고 약 40주 후에 출산한다.
-
-
김영팔 성기, 金永八1883년 3월 16일 경상북도 안동군(安東郡) 임북면(臨北面) 계곡동(桂谷洞, 현 안동시 예안면 계곡리)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광산(光山)이며 호는 성기(聖基)이다. 안동군 임동면(臨東面) 만세운동은 1919년 3월 3월에 열린 고종 장례식에 참석했던 유동시(柳東蓍)가 돌아와 준비하였다. 유동시는 임동면 수곡동(水谷洞)...
- 출생 :
- 1883년 3월 16일, 경상북도 안동(安東)
- 사망 :
- 1934년 3월 9일
- 관련 사건 :
- 3・1운동
- 본관 :
- 광산(光山)
- 주요활동 :
- 1918년 3월 21일 경상북도 안동군 임동면 만세시위 참여
- 포상훈격 :
-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
-
성기숭배 性器崇拜할지라도, 인간의 재생산 현상은 그 자체가 주술종교적 믿음의 대상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 문화적 기능의 중요한 유산으로도 전승되었다. 따라서 성기숭배의 기원이나 전승에 대해서도 초기에 성이 지닌 생식 및 생산의 성스러움과 신비로움에서 점차 풍요 · 기자 · 소망 · 행운 등의 기원으로 발전하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성기로 장난을 쳐요 3~4세 아이의 놀이와 장난감대표적인 본능으로 성욕과 식욕을 꼽습니다. 이것은 아이들에도 마찬가지입니다. 갓 태어난 아이의 관심사는 오직 먹는 것입니다. 그러다 자라면서 조금씩 성기를 통해 쾌감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심지어 엄마가 기저귀를 갈아줄 때 성기를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아이는 쾌감을 느낍니다. 돌 전후로 아이들은 자신의...
- 시기 :
- 3~4세(25~48개월)
-
그리스건축, 성기 고전기 신전포세이돈 신전(기원전 460년경)과 올림피아의 제우스 신전(기원전 460년경) 등에서 위의 여러 조건을 만족시키는 구성이 최초로 완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성기 고전기에 진입해서 아테네의 파르테논(기원전 447~기원전 432), 수니온의 포세이돈 신전(기원전 444~기원전 440), 아그리젠토의 콩코드 신전(기원전 430년경...
-
로마네스크 건축, 독일의 성기 로마네스크와 제2 슈파이어독일의 성기 로마네스크는 통상적으로 1060년부터 1170년 사이를 일컫는데 정치사에서는 잘리어왕조(1024~1125)와 호엔슈타우펜 왕조(1138~1254)에 해당한다. 이 가운데 잘리어왕조가 주도적 역할을 했다. 오토왕조의 뒤를 이어 신성로마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왕조였으며 건축양식도 함께 전성기를 누렸다. 독일의 성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