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만다라 曼茶羅
    본질이 여러 조건으로 변한다는 의미를 지니며 『대일경』과 『금강정경』을 근거로 그리는 불화.|내용 범어로 Mandala라고 한다. Manda는 ‘진수’ 또는 ‘본질’이라는 뜻이며 접속어미 la는 ‘변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만다라의 본래 의미는 본질이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해서 변하게 된다는 것이며, 이와 같은 의...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종교·철학/불교
  • 만다라
    만다라(曼陀羅, maṇḍala)는 원(圓)을 뜻한다. 둥글게 두루 갖춤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상적으로는 어떤 것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요소나 부분이 단 하나라도 빠짐이 없이 완전하게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다. 밀교의 수행에서 깨달음을 얻은 부처의 내면세계 혹은 부처의 법신(法身)인 진실의 세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여 ...
  • 만다라 曼陀羅
    1979년, 김성동이 쓴 중편소설.|내용 법운의 아버지는 한국전쟁 중 처형된 좌익인사다. 법운의 어머니는 남편의 처형에 충격을 받아 가출한다. 어머니의 가출 이후, 종조모댁에 잠시 머물던 법운은 종조모댁 산장에 머물고 있던 지암 스님을 만난다. 지암 스님의 설법을 듣게 된 법운은 진정한 구도를 성취할 목적으로...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만다라 曼茶羅, Mandala
    만다라는 기본적으로 우주를 상징한다. 즉 신들이 거할 수 있는 신성한 장소이며, 우주의 힘이 응집되는 장소이다. 만다라는 태장계와 금강계로 구분된다. 태장계만다라는 하나에서 여럿을 향해 움직이고 금강계만다라는 여럿에서 하나를 향해 움직인다. 티베트의 탕카에 나타난 만다라는 탄트라 불교의 전형적인 만다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만다라 Mandala, 曼荼羅
    다른 뜻 넘어옴만다라는 다양한 개체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만다라"라는 낱말 자체는 "원(圓.cwcircle)"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만달라(मण्डल Maṇḍala)를 음을 따라 번역한 것이다. 만다라는 원래는 힌두교에서 생겨난 것이지만 불교에서도 사용된다. 주로, 힌두교의 밀교(탄트리즘 정해진 양식 또는 규범에 따라 그려진...
    도서 위키백과
  • 198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성동 (관련어 만다라) 연기론적 상상력
    ‘소설의 시대’라고 일컬어지던 1970년대의 끝자락인 1979년에 두 편의 ‘종교’를 소재로 한 소설이 동시에 나와 문단과 독자의 눈길을 끈다. 기독교를 배경으로 한 이문열의 「사람의 아들」과, 불교를 배경으로 한 김성동(金聖東, 1947~ )의 「만다라」가 그것이다. 열아홉 나이에 입산해 여러 선방과 토굴을 전전하...
    출생 :
    1947년
  • 만다라 (영화) Mandala (film)
    영화 정보 "만다라"는 1981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동명 소설 《만다라》를 원작으로 한다. 임권택이 감독하였으며, 전무송, 안성기 등이 출연하였다. 전무송: 지산 역 안성기: 법운 역 방희 기정수 윤양하 임옥경 박정자 박암 최성관 김우빈 이정애 나정옥 신양균 성명순 정지희 국정숙 이장미 나갑성 오중근...
    도서 위키백과
  • 밀교 (관련어 만다라) 대일여래(大日如來)의 비밀스런 가르침
    밀교(密敎)는 ‘대일여래(大日如來)의 비밀스런 가르침’이라는 뜻으로, 7세기경에 체계를 갖춘 대승불교의 한 갈래이다. 밀교에서는 진리를 있는 그대로 드러낸 우주 그 자체를 의인화하여 대일여래라 하고, 모든 부처와 보살은 대일여래의 화신이며, 우주 그자체가 바로 그 여래의 법문이라 한다. 이 법문은 금강과 같...
    도서 불교의 모든 것 | 태그 불교
  • 천수국만다라수장 天壽國曼茶羅繡帳
    개설 622년 2월 22일(음력)에 죽은 쇼토쿠 태자를 기리기 위하여 그의 비(妃) 다치바나(橘大女郎)가 청원하여 채녀(采女)들로 하여금 수를 놓아 제작하게 하였다. 현재 일본 주구지(中宮寺)에 소장되어 있다. 현재는 잔편(殘片)만 전해지고 있으나 본래 2장(張)으로 되어 있었고, 크기는 1장(丈) 6척(尺), 또는 2장에...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회화
  • 독말풀 복가자
    개요 열대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의 들판 또는 길가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굵은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 100-150cm이다. 잎은 어긋나지만 마주난 것처럼 보이며, 넓은 난형으로 길이 8-15cm, 폭 5-10cm이고,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검은 자주색이며, 길이 2-8...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가지목 > 가지과 > 독말풀속
    서식지 :
    전국의 들판, 길가나 공터 등
    학명 :
    Datura tatula L.
    국내분포 :
    전국(귀화)
    해외분포 :
    열대 아메리카
  • 천수국만다라수장 天壽國曼茶羅繡帳
    일본 주구사[中宮寺] 소장. 현재 잔편들만 전하고 있지만 원래 세로 400㎝, 가로 400㎝ 크기의 2장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수장의 제작 경위를 설명한 400여 자가 100개의 거북 모양에 4자씩 새겨져 있는데 현재는 6개의 거북만 남아 있다. 그러나 다행히 〈상궁성덕법왕제설 上宮聖德法王帝說〉에 전문이 기록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만다라 산맥 Mandara Mountains
    높이가 해발 1,100m를 넘는다. 식민지시대에는 영국령 카메룬과 프랑스령 카메룬의 경계가 되기도 했다. 인구밀집 지역이며 주민 대다수를 이루는 차드어파의 민족이 토지와 부속건물을 포함하는 소규모 자작농장 형태의 주거 단위로 여기저기 흩어져 살거나 조그맣고 둥근 모양의 오두막집이 모인 마을에서 산다. 주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4건

만다라
만다라
티벳 만다라
예천 용문사 만다라
만다라(曼茶羅)
태장계만다라 구성도(신수대장경)
금강계만다라 구성도(신수대장경)
만다라 / 태장계 만다라도
만다라이즈
시원만다라 / 하인두
만다라 산맥(Mandara Mountain)
만다라 하우스(Mandala House)
만다라 스파(Mandala Spa)
만다라 스파(Mandala Spa)
천수국만다라수장 / 가서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