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김지하 예술과 정치, 문학과 사상을 통합한 시인
    시인 김지하는 독재 권력에 맞서 자유의 증언을 계속해온 양심적인 행동인으로, 한국의 전통 사상을 오늘의 상황 속에서 재창조하고자 노력하는 사상가로서 독보적인 업적을 이룩했다.|독재 권력에 맞서 자유의 증언을 계속해온 양심적인 행동인 김지하는 1941년 전남 목포에서 태어났으며, 본명은 김영일(金英一)이다...
    출생 :
    1941년 2월 4일
    국적 :
    대한민국
    대표작 :
    화개, 흰그늘의 산알 소식과 산알의 흰그늘 노래, 흰 그늘의 길, 절, 그 언저리, 유목과 은둔
    수상 :
    2002년 대산문학상
    도서 북 어워드 사전 | 태그 작가
  • 197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지하 정치 권력에 맞선 ‘불온 문학’
    반체제 저항 시인의 탄생 1970년대 내내 민족 문학의 뜨거운 상징이었으며, 유신 독재에 대한 저항 운동의 중심부에 서 있던 김지하(金芝河, 1941~ ). 그는 도피, 유랑, 체포, 투옥, 고문, 사형 선고, 무기 징역, 사면 석방, 다시 투옥으로 이어지는 지옥 같은 가시밭길을 걷는다. 1970년에 들어 김지하는 저 깊이 모를 ...
    출생 :
    1941년
  • 김지하 김영일, 金芝河
    시인. 본명은 김영일이다. 초기에는 군사독재정치에 대한 비판과 사회 현실에 대한 울분을 서정적으로 그렸으며, 1970년대에 발표한 <타는 목마름으로>, <오적> 등을 발표하여 민주화 운동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각광받았다. 1990년대 들어 생명에 대한 외경과 환경을 주제로 작품 활동을 하면서 민주화 운동을 비판하여 ...
    출생 :
    1941. 2. 4, 전남 목포
    사망 :
    2022. 5. 8, 강원 원주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김지하 Kim Chi-ha, 金芝河
    김지하(金芝河, 1941년 2월 4일~2022년 5월 8일)는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본관은 김해이며, 전라남도 목포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김영일(金英一)이다. 《토지》를 저술한 소설가 박경리의 사위이다. 1970년대 유신 독재에 저항하여 투옥됐다. 1980년부터는 동서양의 철학과 한국의 전통 사상을 아우르는 '생명 사상'을 ...
    도서 위키백과
  • 1970년대 한국문학에 영향을 준 사건, 김지하 법정 최후 진술
    이데올로기의 논리나 형식적인 법정 논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시인의 상상력의 자율적인 운동 법칙과 직결시켜서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됩니다. 사건의 개요 김지하 시인이 다시 구속된다. 그는 내 · 외신 기자 회견과 『동아일보』에 투고한 「고행―1974」에서 인혁당 사건이 조작되었다는 등의 발언을 해 반국가 단체를...
    시기 :
    1976년
  • 김지하의 문학세계
    1963년 3월 〈목포문학〉 제2호에 시 〈저녁 이야기〉를 발표한 뒤, 1969년 11월 김현의 소개로 〈시인〉에 〈황톳길〉 외에 시 4편을 발표하여 문단에 나왔다. 1970년 〈사상계〉 5월호에 당시 특권층의 부패상을 판소리 가락을 통해 매섭게 비판한 담시 〈오적〉을 발표하여 일약 주목을 받았다. 그의 시세계를 크게 4...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이 가문 날에 비구름
    정의 한국의 시인 김지하의 장시. 작품 이해 <이 가문 날에 비구름>은 시인 김지하의 장시로, 시집 <이 가문 날에 비구름>(1988)으로 발표되었다. 시인의 사회적 현실 인식과 비판 의식을 구비문학의 풍자 정신을 바탕으로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형식적으로는 자유시이며 산문시에 속하지만 시인 스스로는 '이야기 시...
  • 무화과 無花果
    정의 한국의 시인 김지하의 시. 작품 이해 <무화과>는 시인 김지하의 시집 <애린>(1986)에 수록된 자유시이다. 꽃이 보이지 않은 상태에서 열매가 열리는 무화과에서 인간의 내적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으로, 암울한 현실 속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삶에 대한 한탄과 그에 대한 위로를 형상화하고...
  • 오적 五賊
    정의 한국의 시인 김지하의 시. 작품 이해 <오적>은 시인 김지하의 시로, 잡지 <사상계>(1970)에 수록되었다. 시인의 사회적 현실 인식과 비판 의식을 구비문학의 풍자 정신을 바탕으로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형식적으로는 자유시이며 산문시에 속하지만 시인 스스로는 '이야기 시'라는 의미의 '담시(譚詩)'라는...
  • 타는 목마름으로
    정의 한국의 시인 김지하의 자유시. 작품 이해 <타는 목마름으로>는 시인 김지하의 시집 <타는 목마름으로>(1982)에 수록된 자유시이다. 민주주의를 '너'로 의인화하여 표현하면서 반복과 점층, 상징과 역설의 표현을 사용하고 격렬한 시어로 시인의 강한 열망과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작품 개요 이 작품은 3...
  • 서울 길
    정의 한국의 시인 김지하의 시. 작품 이해 <서울 길>은 시인 김지하의 시로, 시집 <타는 목마름으로>(1982)에 수록되었다. 이 시는 형식적으로는 자유시이며 서정시이지만 서울 가는 길을 제재로, 고향을 떠나 서울로 가야 하는 농촌 청년들의 삶을 주제로 보여주는 대화체 이야기 시에 가깝다. 이 작품은 1960년대부터...
  • 오적필화사건 五賊筆禍事件
    박정희 정권의 독재체제에 의연히 맞서오던 김지하가 당시 부정부패의 주범들을 '오적'이라 규정하고 이들의 행태를 통쾌하게 풍자한 시 〈오적〉을 〈사상계〉 5월호에 발표했는데, 이 시 전문이 신민당 기관지인 〈민주전선〉에 다시 게재되면서 정치계의 주목을 받았다. 박정희 정권은 "북괴의 선전 활동에 동조한 것...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9건

김지하(金芝河)
김지하의 육필
2002년 제10회 대산문학상 수상 작가 '김지하'
담시 〈오적〉을 내놓아 반체제 저항 시인의 면모를 분명히 보여준 김지하
1970년 9월 8일 서울구치소에서 보석으로 출감하는 김지하(두루마기 차림)
김지하의 담시 〈비어〉를 실었다가 판매 금지 조치를 받은 바 있는 가톨릭계 월간지 〈창조〉의 창간호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긴 노래체의 율문에 풍자와 해학을 섞은 담시 형태로 선보인 김지하의 〈오적〉
민주주의에 대한 간절한 염원을 담은 〈타는 목마름으로〉와 본문 속의 표제시
〈황톳길〉을 비롯해 32편의 시가 수록된 첫 시집 〈황토〉
대학 때 세느다방에서 개인 시화전을 가지며
흰그늘의 산알 소식과 산알의 흰그늘 노래
1970년 ‘오적 사건’ 재판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