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왕통 김탁, 王通개설 조선혁명간부학교를 거쳐 조선의용대 정치지도원, 조선민족혁명당 중앙위원,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원, 한국광복군 지대장으로 활동하였다. 함경북도에서 출생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35년 무렵 중국으로 건너가 4월에 의열단(義烈團) 단장 김원봉(金元鳳)이 세운 조선혁명간부학교에 입학하였다. 졸업 후 조선...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912년
- 사망 :
- 미상
- 경력 :
-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의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대표작 :
- 조선의용대통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신송식 진경성(陳敬誠), 申松植한커우[漢口]·웨양[岳陽] 등의 전투에 참가하였고 창사[長沙]·링난[嶺南] 대회전에서 무공을 세웠다. 1941년 임시정부의 지령으로 충칭[重慶]에서 한국광복군 시안전방사령부(西安前方司令部) 참령참모(參領參謀)에 임명되어 푸양[阜陽]으로 파견되어 일본군점령지구에 대한 초모활동·선전공작·정보수집·유격전 등...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14년
- 사망 :
- 1973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조선민족해방동맹 조선민족해방운동자동맹, 朝鮮民族解放同盟대한민국임시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정치적 입장에 있어서는 레닌(Lenin, U.)과 스탈린(Stalin, J.)노선의 실행자를 자처했으나,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을 지지하기도 했다. 특히 청년전위동맹의 인사들이 동맹에서 이탈하자 입장을 명확히 하였다. 항일혁명 역량을 집중시키기 위해 모든 한국...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36년 3월
- 성격 :
- 독립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근대사
-
장조민 張朝民각지에서 무장투쟁을 전개하였다. 1936년경까지 조선혁명군(朝鮮革命軍)에서 독립투쟁을 하다가 중국인 산둥유격대에 편입되어 부관으로 활약, 1942년 6월 한국광복군 제3지대장 김학규(金學奎)와 상봉하여 초모위원회 부주임으로 임명되어 적후방에서 공작하였다. 1943년 10월 광복군에 입대하여 한광반(韓光班) 조직...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907년
- 사망 :
- 1967년
- 경력 :
- 광복군 제3지대 비서실장, 대통령표창, 건국포장, 애국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박승헌 朴承憲평양 출신. 1944년 5월 22일 이른바 학도지원병으로 일본군에 강제징집당하였다. 중일전쟁에 투입된 뒤 독립군이 되겠다는 일념으로 일본군 병영을 탈출, 한국광복군에 입대하였다. 지대장 김학규(金學奎)의 노력으로 푸양[阜陽]에서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제10분교 간부훈련단 한광반(韓光班)에 입학하여 독립전선에서...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23년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윤징우 尹澄宇조선혁명과 조선민족혁명당」이라는 글을 발표했다. 1938년 10월 조선민족전선연맹 산하 군사조직으로 창설된 조선의용대에 참가했다. 1942년 조선의용대가 한국광복군에 합류한 뒤에는 조선민족혁명당의 당원으로 구성된 광복군 제1지대 대원으로 활동했다. 1943년 2월 조선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이 되었다. 1943...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11년
- 사망 :
- 미상
- 경력 :
- 광명일보 주필, 신조선 부주필, 민족혁명당 간부
- 유형 :
- 인물
- 직업 :
- 사회주의운동가
- 대표작 :
- 조선혁명과 조선민족혁명당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천청 사수, 진성江蘇) 북부의 당 ・ 정 ・ 군 일체 사무에 대한 지휘와 감독권을 행사하였다. 또한 시안에서 수시로 각 사단장 및 정치부 주임 등과 업무검토회의를 열고 한국광복군의 활동상황에 대한 보고를 접수하였으며 대적선전과 훈련활동을 적극 지원하였다. 약 반년간의 노력으로 서북과 중원 각지의 혼란한 국면을 안정시키고...
- 출생 :
- 1898년 1월 4일, 중국 저장성(浙江省) 칭뎬현(靑田縣)
- 사망 :
- 1965년 3월 5일
- 국적 :
- 중국
- 주요활동 :
- 1938년 7월 장제스의 지시로 조선의용대 성립 타당성 검토 적극 지지, 성립 후 의용대지원, 1944년 귀순 및 포로 한국사병 광복군 견송 업무 총괄
- 포상훈격 :
- 1966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 관련 인물/단체 :
- 중국국민당
-
박시창 朴始昌, Park, Si chang대학에서 군사학을 연구하였다. 이후 광복이 될 때까지 조선의용대와 조선광복군에서 참모로 활약하였고, 광복 이후 일본군에 동원되었던 한인청년들을 한국광복군에 편입시키기 위해 힘썼다. 8·15광복 후 귀국하여 국군창설에 참여하였고, 6·25전쟁을 전후하여 연대장·사단장·군단장 등을 역임한 뒤 1959년 육군...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03년
- 사망 :
- 1986년
- 경력 :
- 육군 소장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광복군
- 직업 :
- 독립운동가, 군인
- 성별 :
- 남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본관 :
- 밀양
-
지득성 智得成3·1운동 때 김두만(金斗萬)과 함께 일본경찰의 앞잡이 집에 방화하였으며, 1923년 중국으로 망명하여 만주에서 무장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1942년 한국광복군 제3지대장 김학규(金學奎)의 지령으로 북평지구(北平地區)에서 비밀지하조직망을 결성하였다. 일본군의 군사정보 및 군사시설 등에 관한 자료를 정확히 수집...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출생 :
- 1898년
- 사망 :
- 1946년
- 경력 :
- 광복군 제3지대원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차리석 車利錫수 있었다. 1940년 9월 충칭(重慶)에 정착하면서 임시정부는 조직을 확대 강화하고 명실상부한 정부의 기능을 회복할 수 있었다. 9월 17일 임시정부의 국군인 한국광복군을 창설하여 대일항전의 무력 기반을 마련하는 등 전시체제도 확립했다. 임시의정원이 제 기능을 회복하는 것은 1940년 10월 충칭에서 열린 제32...
- 출생 :
- 1881년 7월 27일, 평남 영원(寧遠)
- 사망 :
- 1945년 9월 9일
- 관련 사건 :
- 신민회 사건, 국민대표회의
- 본관 :
- 연안(延安)
- 주요활동 :
- 1907년 신민회 활동, 평양 대성학교 설립, 1911년 신민회사건으로 체포, 1914년 기성볼단 고문, 1919년 중국 안둥에서 안동청년단 조직, 상하이에서 독립신문사 기자, 1920년 임시정부 지방선전부 이사, 1922년 임시의정원 의원, 시사책진회 참가, 1923년 흥사단 원동임시위원부, 1930년 한국독립당 참가, 임시의정원 부의장, 1935년 임시정부 국무위원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 관련 인물/단체 :
- 신민회, 기성볼단, 안동청년단,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흥사단, 한국독립당
-
임정근 林正根戰地工作隊)에 입대한 뒤 중국 중앙전시간부훈련 제4단특과총대학원대한청반(中國中央戰時幹部訓鍊第四團特科總大學員隊韓靑班)을 수료하고 1940년 9월 한국광복군에 편입되어 조국광복을 위하여 투쟁하였다. 1942년 4월 광복군 제2지대로 재개편되어 이범석(李範奭)지대장 휘하에서 초모활동, 대적선전공작, 정보수집...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13년
- 사망 :
- 1972년
- 경력 :
- 건국포장, 애국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나주(羅州)
-
이혜련 안혜련, 李惠鍊위한 기금 모금에 나서 난민 구제 의연금을 쑹메이링[宋美齡]에게 송금해 주었으며, 일화배척운동(日貨排斥運動)에도 열렬히 참가하였다. 1940년 중국에서 한국광복군 창설 소식이 전해오자 대한여자애국단은 1940년 10월 총부 임원회를 개최해 광복군 후원금 500달러를 대한민국 임시정부 재무총장 이시영 앞으로 송금...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역사/근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