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하느님의 아드님
    표명하는 것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왕권 행사에 필요한 권위와 능력을 특별히 하느님께로부터 받았음을 암시하는 것이기도 했다. 임금에게 붙여진 이 호칭이 종말론적인 예언 안에서는 자연히 메시아적인 칭호가 되었다.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믿음에 의해 하느님의 자녀들로 받아들여진 사람들이다...
  • 사람의 아들
    표현을 찾아볼 수 있는데 거기서는 대부분 인간 존재나 인류를 가리킨다. 그러나 다니엘서에서 묘사하고 있는 사람의 아들은 궁극적으로 메시아요 종말론적인 인물로서 하느님께로부터 받은 권위와 권능을 가지고 하늘에서 내려오시는 초월적인 존재로 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후기 유다교 묵시 문학에서도 사람의...
  • 마야력 Maya calendar, マヤ暦
    63,123,288 160,000 뉴 에이지 관련 서적에서 마야의 장기력은 2012년 동지 부근(12월 21일부터 12월 23일까지)에서 끝난다고 여겨져 종말론과 관련된 형태로 퍼지면서 종말론이 기승을 부렸다. 그러나 대다수의 마야 문명의 학자들은 희박한 정보를 가지고 날조된 정보일 뿐더러 마야력은 한 주기가 끝나도 새로운 주기...
    도서 위키백과
  • C. H. 다드 C. H. 다드, C. H. Dodd
    9월 21일)는 보통 C. H. 다드라고 부른다. 웨일스 출신의 회중교회 목회자이며, 신약학자이며 가장 영향력있는 프로테스탄트 신학자이다. 그는 실현된 종말론을 주장한 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실현된 종말론이란 예수께서 하나님의 나라를 언급한 것은 미래 종말 보다는 오히려 현재의 실재성을 의미한다고 믿는 것이다...
    도서 위키백과
  • 오스카 쿨만 Oscar Cullmann, オスカー・クルマン
    그의 묘비가 새겨질 것이라고 농담을 하였다. 그의 신학에서 가장 유명한 공헌은 '이미'와 '아직 아니'라는 시작된 종말론의 새로운 주장은 실현된 종말론을 주장한 C.H. 다드와 철저한 종말론을 주장한 슈바이처의 종말사관에 반대하면서도 바르트나 불트만의 견해에도 반대한 획기적인 발상으로 인정받는다. 그는...
    도서 위키백과
  • 안토니 A. 후크마 안토니 A. 후크마, Anthony A. Hoekema
    그후 26년간 모교인 칼빈신학교에서 교의학 교수로서 개혁신학을 가르쳤다. 1978년에 은퇴하였고, 1993년에 소천했다. 그의 대표적인 저술로는 개혁주의 종말론(The Bible and the Future), 개혁주의 인간론(Created in God's Image), 개혁주의 구원론(Saved by Grace)이 있다. 그 외에 성령세례, 그리스도인의 자아성찰...
    도서 위키백과
  • 성신강림 聖神降臨, Pentecost
    예수부활 후 제50일에 성신이 제자들 위에 강림한 사실. 사도행전 2:1-41에 기록되어 있다. 이는 구약성서와 유태교의 종말론적 기대를 성취시킨 사건이요 구원적, 메시아적 사건이자 교회적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성조(聖祖)시대 경건하고 의로운 모든 이들은 야훼의 영을 통하여 하느님의 신비에 초대받는 특전을...
  • 종말물 Apocalyptic and post-apocalyptic fiction, 終末もの
    배경으로, 파멸·재해를 그리는 픽션이나 파멸 후·종말의 풍경을 그리는 픽션이 대거 등장하였다. 더하고, 종말물은 수천년도 전부터 존재해 온 다양한 종말론이나 종말을 그린 신화 등에서도 상상력을 얻고 있다. 이러한 픽션에는 그것들이 쓰여졌던 시대를 가리는 공포, 사회의 파멸에의 기대 등 여러 가지 관심사가...
    도서 위키백과
  • 김호식 (신학자)
    총장을 역임하였다. 1978년에 미국 워싱턴침례신학교를 설립하여 1996년까지 교수와 학장을 역임하며, 한인 침례교회 담임목회로 헌신했다. 그는 1989년 종말론을 시작으로 조직신학 분야의 성령론, 신론 등 18권을 저술하며 학문적으로 공헌하였다. 유족으로 부인 강은정 여사와 1남 3녀 등이 있다. 그는 일립 강태국...
    도서 위키백과
  • 무천년설 Amillennialism, 無千年王国説
    무천년설 은 기독교 신학의 종말론에서 다루는 영역이다. 예수께서 땅에 재림하여 천년왕국을 물리적으로 통치한다는 요한 계시록 20장 해석에서 문자적 해석을 거부하는 견해이다. 전천년설과 후천년설을 거부한다. 천년은 상직적 숫자이며 문자적 묘사가 아니라고 한다. 교회시대를 통하여 이미 그리스도의 통치가...
    도서 위키백과
  • 김명혁 Kim Myung-hyuk
    정통 개혁주의보다는 복음주의 신학자로서 한국교회의 연합운동에도 기여하였다. 역사적 선교학적 접근에서 그의 신학사상의 평가가 재조명되어야 한다. 1. 종말론적 역사관 남양 김명혁 박사의 신학은 그의 역사관에서 출발한다. 그는 처음에는 역사를 별로 좋아하지도 않았고 역사의 중요성을 바로 알지도 못했다고...
    도서 위키백과
  • 후천년설 Postmillennialism, 後千年王国説
    후천년설(postmillennialism)이란 기독교 신학가운데 종말론에서 다루는 분야이다. 요한 계시록 20장의 해석을 후천년주의로 해석한다. 즉 그 본문을 천년왕국 후에 예수 그리스도가 다시 재림한다고 본다. 후천년설은 전천년설과는 대조적으로 다르며 무천년설과도 다소 다르다. 교회의 설립 혹은 로마 제국 국교회를...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종말론(eschatolog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