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체자 異體字
    내용 『훈민정음』의 「제자해」에 따르면, 초성은 ‘아음(牙音), 설음(舌音), 순음(脣音), 치음(齒音), 후음(喉音)’의 각 조음 위치에서 ‘가장 약한[不厲]’ 불청불탁음(不淸不濁音)을 발음할 때 관여하는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기본자를 만들었다. 그런데 아음에서는 그 불청불탁음의 소리가 후음과 비슷하여 전...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언어/언어·문자
  • 브로카 영역 Broca's area, ブローカ野
    브로드만 영역으로는 44번과 (논란이 있지만) 45번이 이에 속한다. 브로카는 베르니케 영역과 대뇌궁상섬유로 연결되어 있다. 마카크의 상동 부위는 조음기관과 얼굴 근육의 고차원적 조절을 담당한다. 브로카 영역은 해부학적으로 anterior ascending ramus를 기준으로 앞쪽의 삼각부와 뒷쪽의 판개부로 나뉜다. 삼각부...
    도서 위키백과
  • 훈민정음의 창제
    붙은 발음이 된다. /a/가 아닌 모음은 자음 밑에 붙여 쓰고, 종성은 그 밑에 자음 기호를 다시 쓰도록 되어 있다. 1966년 게리 레드야드는 훈민정음의 자음이 조음 기관을 상형했다는 해례본의 설명이 ‘확고한 설명’이라고 하면서도 파스파 문자와의 유사성을 들어 참고했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
    도서 위키백과
  • 입술 Lip, 唇
    입의 위쪽과 아래쪽에 바깥으로 돌출되어 나와 있으며 부드럽고 움직일 수 있다. 주로 음식을 먹을 때 사용하지만, 촉각을 느낄 수도 있으며 말을 할 때 조음 기관으로서 사용되기도 하고, 키스할때도 사용된다. 위턱에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입술을 윗입술 또는 상순(上脣)이라 하며, 아래턱에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도서 위키백과
  • 성도
    성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다. 과학 성도(星圖)는 천구 상의 천체의 위치를 나타낸 지도이다. 성도는 말소리가 통과하는 구강과 비강과 조음 기관을 일컫는 말이다. 종교 성도(聖徒)는 기독교 용어로, 신자들을 달리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성도(聖道)는 불교 용어로, 불교 자체, 8정도, 견도 또는 3도 가운데 수도와...
    도서 위키백과
  • 구음장애 Dysarthria
    dysarthria)는 운동신경의 이상으로 조음기관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는 종류의 언어장애이다. anarthria)라고도 한다.저널 인용 Online Speech and Voice Disorder Support (VoiceMatters.net) News About Dysarthria
    도서 위키백과
  • 마찰음 摩擦音, fricative
    조음위치에 따라 양순음 [Φ] [β ], 순치음 [f] [v], 치간음[θ] [ð] , 치경음 [s] [z], 구개치경음 [ʒ] [∫], 치경구개음 [ɕ] [ʑ], 연구개음 [x] [v], 성문음 [h] [ɦ] 등으로 나뉜다. 국어에서는 '훌륭하다' 등의 어두의 'ㅎ'이 [θ]으로 수의적으로 나타나고, '두부·부부' 등의 'ㅂ'이 [β]으로 수의적으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어 일반
  • 옹알이 Babbling, 喃語
    말소리를 듣고 흉내내는 과정에서 다양한 소리로 나타난다. 그러나 상대방의 반응이 없을 경우 빈도가 줄어든다. 옹알이 시기는 영아 스스로 발성 및 조음 기관을 경험하며 조절 능력을 키워가는 시기이며, 청력과 인지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시기다. 처음 한 해 동안은 옹알이에 수반되는 물리적 구조들이 발달한다...
    도서 위키백과
  • 유성 순치 마찰음 Voiced labiodental fricative, 有声唇歯摩擦音
    하나로 이와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유성 마찰음이다. 윗니로 아랫입술을 가볍게 깨물어, 옆의 빈 공간으로 공기를 흐르게 한다. 빈 공간을 강하게 마찰한다. 윗니를 떼면서 마찰되는 공기를 강하게 내뱉음과 동시에 성대를 울린다.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유지했다가 더 강하게 내는 마찰음이다...
    도서 위키백과
  • 유성 양순 마찰음 Voiced bilabial fricative, 有声両唇摩擦音
    양순 마찰음(有聲兩脣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위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유성 마찰음이다. 양 입술 간의 간격을 좁힌다. 좁혀진 입술 사이를 강하게...입술을 벌면서 마찰되는 공기를 강하게 내뱉음과 동시에 성대를 울린다.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유지했다가 더 강하게 내는 마찰음이다. 양쪽 입술로...
    도서 위키백과
  • 무성 양순 마찰음 Voiceless bilabial fricative, 無声両唇摩擦音
    음성기호 무성 양순 마찰음(無聲兩脣摩擦音)은 자음의 하나로 위아래 입술을 사용하여 조음하는 무성 마찰음이다. 양 입술간의 간격을 좁힌다. 좁혀진 입술사이를 강하게 마찰한다. 입술을 벌리면서 마찰되는 공기를 강하게 내뱉는다.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유지했다가 더 강하게 내는 마찰음이다. 양쪽 입술로...
    도서 위키백과
  • 유성 치경 마찰음 Voiced alveolar fricative, 有声歯茎摩擦音
    치조 간의 간격을 좁힌다. 좁혀진 혀끝과 치조사이를 강하게 마찰시킨다. 혀끝을 내리면서, 마찰되는 공기를 강하게 내뱉음과 동시에 성대를 울린다.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유지했다가 더 강하게 내는 마찰음이다. 혀를 치조나 그 주변에 대는 치조음이다.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입을 통하여...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