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준의 李俊儀세력에 의지하여 횡포를 부렸으며, 1172년(명종 2) 전국의 53개 속현에 감무를 파견할 것 등을 주장하여 관철시키기도 하였다. 다음 해에는 이의방·정중부(鄭仲夫) 등이 김보당(金甫當)의 난을 진압한 뒤 김보당에 연루된 문신들을 대거 주륙하자 이의방을 설득하여 이를 중지하도록 하였다. 1174년 귀법사(歸法寺)의...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174년(명종 4)
- 경력 :
- 승선(承宣), 좌승선급사중(左承宣給事中), 위위소경(衛尉少卿)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무신정변, 김보당(金甫當)의 난, 귀법사(歸法寺) 승려의 난
- 직업 :
- 관리,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전주(全州)
-
최유칭 崔褎偁문극겸(文克謙)의 탄핵을 받고도 왕의 두둔으로 무사하였다. 이어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를 거쳐 1164년 상서좌복야 참지정사(尙書左僕射參知政事)·판병부사 태자태부(判兵部事太子太傅)를 역임하였다. 이듬해 (守太保判尙書吏部事)에 이르러 병으로 치사하였다. 1170년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살해되었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170년(의종 24)
- 경력 :
- 지추밀원사 판삼사사(知樞密院事判三司事)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묘청의 난, 무신의 난
- 직업 :
- 관리,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이경백 李景伯데 지장이 있다고 판단하여 이경백을 소환하였다. 석린(石麟)으로서 지서북로병마사(知西北路兵馬事)를 대신하게 하고, 두경승으로 처치사를 겸하게 하였다. 1179년 경대승(慶大升)이 정중부(鄭仲夫), 아들 정균(鄭筠) 등을 제거하기 위해 결사대를 이끌고 궁궐로 잠입했을 때 궁 안에 있다가 죽음을 당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179년(명종 9)
- 경력 :
- 중랑장, 대장군, 북로처치사(北路處置使)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조위총의 난
- 직업 :
- 관리,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이광정 李光挺생애 및 활동사항 항오(行伍: 병졸)에서 입신한 인물로, 정중부(鄭仲夫)가 1170년 무신란을 일으켜 의종을 폐위시킬 때 참여하였다. 이로 인하여 대장군에 제수되었다. 1174년(명종 4)에는 추밀원지주사(樞密院知奏事)를 거쳐, 같은 해 12월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었다. 1178년 재상 송유인...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194년(명종 24)
- 경력 :
- 어사대부(御史大夫), 참지정사(參知政事), 태자태부판병부사(太子太傅判兵部事), 수태부판이부사(守太傅判吏部事),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郎平章事)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무신의 난
- 직업 :
- 관리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철주민란 鐵州民亂내용 1170년(의종 24)정중부(鄭仲夫) 등에 의하여 무신정권이 성립되면서 신분질서의 해이와 하극상의 풍조로 사회적 동요를 가져와 지방관의 탐학과 빈곤에 시달리던 농민 및 노예 등 빛을 보지 못하던 하층민에 의한 반란이 전국적으로 일어났는데, 그들의 반란 가운데에서 멀리 떨어진 북계(北界 : 지금의 平安道...
- 시대 :
- 고려
- 발생 :
- 1172년
- 성격 :
- 반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송유인(宋有仁), 우학유(于學儒)
- 관련 장소 :
- 철주( 지금의 평안북도 철산)
-
백임지 경렬(景烈), 白任至의종(毅宗) 때 내순검군(內巡檢軍)에 충당되어 왕을 호종할 때 성실하였으므로 대정(隊正)이 되었다. 1170년(의종 24) 이고(李高)·이의방(李義方)·정중부(鄭仲夫) 등에 의한 무신정변 이후 무신들이 정권을 잡자, 형부시랑(刑部侍郎)을 거쳐 대장군(大將軍)·병마부사(兵馬副使)에 오르고, 다시 형부상서(刑部尙書)를...
- 시대 :
- 고려
- 출생 :
- 1130년(인종 8)
- 사망 :
- 1191년(명종 21)
- 경력 :
- 형부시랑(刑部侍郎), 병마부사(兵馬副使), 형부상서(刑部尙書),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남포(藍浦)
-
어리쌕쌔기기부 배쪽은 포크 모양의 작은 돌기가 3쌍이 있다. 한국, 일본, 중국, 대만에 분포한다. 형태 소형이며 밝고 연한 녹색이다. 겹눈은 홍색이다. 앞가슴등 정중부에 좁은 황백색 세로 줄무늬가 있으며 측면으로 좁고 어두운 띠와 옅은 갈색의 V자 무늬가 가운데서 어울린다. 앞가슴등의 V자형 가로홈은 뚜렷하다. 측엽...
- 분류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메뚜기목 > 여치과 > 어리쌕쌔기속
- 학명 :
- Kuzicus suzukii (Matsumura & Shiraki, 1908)
- 국내분포 :
- 한국 고유종
- 해외분포 :
- 일본, 중국, 대만
-
정황재 丁黃載, Jeong Hwangjae생애 및 활동사항 정중부정권에 충성했던 인물이다. 1176년(명종 6) 망이(亡伊)·망소이(亡所伊) 등이 공주 명학소(鳴鶴所)에서 반란을 일으키자, 급히 장사(壯士) 3,000명을 모아 군대로 편성하였다. 대장군(大將軍)으로서 장군 장박인(張博仁) 등과 함께 이들을 거느리고 가서 남적(南賊: 민란 무리의 총칭이나 여기...
- 시대 :
- 고려후기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대장군, 호부상서, 병부상서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망이·망소이의 항쟁
- 직업 :
- 관리,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김체 金滯秘書監)을 지낸 김광중(金光中)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아버지가 말몰이를 하던 박광승(朴光升)에게 은혜를 베풀어 박광승을 대교(隊校)에 충보시켰는데, 정중부(鄭仲夫)의 난이 일어나자 박광승은 은인인 김광중을 밀고하여 죽게 하였다. 뒷날 김체가 순안현령(順安縣令)이 되었는데, 마침 배순석(裵純碩)이...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경력 :
- 순안현령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정중부의 난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