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태좌 국언(國彦), 李台佐
    勤政修德)·인재양성·민심단결 것뿐이라고 강조하였다. 조세·한재·조창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였다. 1725년(영조 1) 임인옥사로 삭직되었다가 1727년 정미환국으로 다시 호조판서·지경연사(知經筵事)·병조판서·이조판서를 거쳤다. 그리고 이듬 해 우의정, 1729년 좌의정·판중추부사로 전직되었다가, 1736년 봉조하...
    시대 :
    조선
    출생 :
    1660년
    사망 :
    1739년
    경력 :
    검열, 정언, 문학, 암행어사, 이조정랑, 강원도관찰사, 이조참의, 강화유수, 형조판서, 이조판서, 우의정, 판중추부사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임인옥사, 정미환국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경주(慶州)
  • 정호 중순(仲淳), 鄭澔
    1) 노론의 재집권으로 풀려나와 우의정에 승진되어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 4대신의 신원(伸寃)을 누차 상소했으며,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이 되었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 1729년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으며, 영중추부사로 죽었다. 상훈과 추모 일생을 노론의 선봉으로 활약했으며 늘 가난하게...
    시대 :
    조선
    유형 :
    인물/전통 인물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운곡실기 雲谷實紀
    1699년 9월 사헌부헌납 재임시부터 1729년(영조 5)에 이르는 동안 숙종 · 경종 · 영조와 국사에 관해 폭넓은 의견을 나눈 기록이다. 잡저에는 신임사화의 내막과 정미환국의 전말을 기록한 「신임사실(辛壬事實)」 및 「정미환안(丁未換案)」이 있다. 또한, 1728년 이인좌(李麟佐)의 난에 대한 조정의 진압 과정을...
    시대 :
    조선
    유형 :
    문헌
    분야 :
    종교·철학/유교
  • 천의소감 闡義昭鑑
    수록하였다. 권2에는 1724년 경종이 죽고 영조가 즉위해 김일경(金一鏡)·목호룡 등이 처형되고 소론 정권이 실각하는 과정이 기술되어 있다. 권3에는 정미환국으로 노론 정권이 실각하고 소론이 정권을 잡는 과정과 1728년에 일어난 이인좌(李麟佐)의 난의 전말이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다. 또한 1730년 종실 이해(李垓...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재로(金在魯), 이천보(李天輔)
    창작/발표시기 :
    1755년
    성격 :
    정치서, 의리명변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4권 3책
    간행/발행 :
    광주부(1755)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을사환국 乙巳換局
    노론이 집권하게 되었다. 정권을 장악하게 된 노론은 소론에 대해 보복 공격을 하였고, 이로 인해 정국이 계속 혼란스러웠다. 이에 영조는 1727년(영조 3) 정미환국(丁未換局)을 단행, 다시 노론 측을 축출하고 소론 측 인사들을 재등용하였다. 그러면서 자신이 구상했던 탕평의 추진을 위해 탕평파를 구축하는데 주력...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사충서원
    당하였는데, 왕세제가 영조로 즉위한 뒤 노론정권이 수립되면서 신원되고 서원이 건립된 것이다. 건립과 동시에 국가로부터 사액을 받았지만 1727년의 정미환국으로 소론정권이 들어서서 신임옥사를 역으로 번복하고 4대신을 다시 죄인으로 만들자 이 서원도 따라서 철폐되었다. 그 뒤 1740년의 경신처분으로 4대신이...
    위치 :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232번길 89-8
  • 신임기년제요 辛壬紀年提要
    사액한 과정을 기록하였다. 또한 1727년 탕평책을 쓰기 위해 강경파 노론을 물리치고 소론을 등용해 김창집 등의 관작을 추탈하고 사충서원까지 훼철한 정미환국의 내막, 1728년 소론 일파가 중심이 된 이인좌(李麟佐)의 난을 겪은 뒤 소론의 이광좌(李光佐)와 노론의 민진원이 화해해 노소연립정권이 수립되고 김창집...
    시대 :
    조선
    저작자 :
    구준원(편술), 신변(증보)
    성격 :
    정치서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5권 15책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규장각 도서, 장서각 도서, 연세대학교 도서관
  • 정언섭 鄭彦燮
    되었다. 예조·병조의 낭관(郞官), 세자시강원 사서(世子侍講院司書)를 역임하고, 1727년(영조 3) 사간원 정언(正言)에 올랐으나, 정미환국(丁未換局) 과정에서 파직되었다. 정미환국이란 영조(英祖)가 극심한 정쟁을 해소하기 위해 강경파인 노론을 배제하고 온건파인 소론을 대거 기용한 것을 말한다. 이때 정언섭은...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동래구
  • 민진원
    이건명, 조태채)의 복권과 소론 5대신에 대한 탄핵, 추탈, 부관참시 등을 요구하였다. 당색이 지나치고 언행이 과격하여 1727년 정미환국 때 파직되어 순안에 안치되었다. 정미환국으로 발언권을 얻게 된 소론은 민진원이 완성한 《숙종실록》이 당의의 혈족이라는 이유를 붙여 다시 조정에 불러들였으며, 민진원은 토역...
    도서 위키백과
  • 민응수
    주부와 이조정랑을 거쳐 신임사화 때 파직되었다가 영조 때 문과에 급제해 정언, 헌납, 사간, 필선, 보덕, 교리, 응교를 거쳐 동래부사로 외직에 나갔다가 정미환국 때 파직되지만 이후 충청도관찰사와 전라도관찰사를 거쳐 부제학, 대사간, 형조참판을 거쳐 강화유수로 외직에 나갔다가 이후 종성부사를 거쳐 예조참판...
    도서 위키백과
  • 오명항
    좌랑을 지냈다. 1716년 승지에 이어 경상도·강원도·평안도의 관찰사 등을 거쳐 사직으로 있다가 1724년(영조 즉위년)에 소론이 실각하자 사직하였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등용될 때 지중추부사로 기용되어 이조판서와 병조판서를 역임하였다. 이듬해 판의금부사로 4도도순무사를 겸하며 이인좌의 난을 토평...
    도서 위키백과
  • 환국 換局, 換局
    방자했으므로 숙종은 이에 대항해 인현왕후를 복위시키고, 남인들을 퇴출한다. 이로 말미암아 서인들은 다시 재집권을 하게 된다. 1727년(영조 3년)에는 정미환국(丁未換局)이 발생한다. 영조(英祖)는 당파심이 매우 강한 자들을 제거하기 위해 탕평책(蕩平策)을 추진한다. 이를 계기로, 서인에서 분파한 소론(少論)은...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영조(英祖)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