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기유처분 己酉處分
    1729년(영조 5) 경종 연간에 발생한 신임옥사를 둘러싼 노론과 소론의 정치 의리를 절충하여 처분을 내린 사건.|개설 1729년(영조 5) 노론과 소론의 중요 정치 현안이었던 신임옥사(辛壬獄事)에 대해서 양시양비론(兩是兩非論)을 내세워 절충한 사건이다. 새롭게 정국을 주도하게 된 탕평파(蕩平派)의 집권 명분을 확...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노론 사대신 사충(四忠), 老論 四大臣
    서원도 훼철되었다. 1728년(영조 4) 무신란(戊申亂)이 진압된 뒤 영조는 본격적으로 탕평을 추진하기 위한 세력 기반의 구축에 주력, 1729년(영조 5) 기유처분(己酉處分)을 발표하면서 4대신 중 이건명과 조태채의 관작을 복구하였다. 이때 김창집과 이이명은 제외되었는데, 이들 후손들이 목호룡의 고변 내용에 포함...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이인좌의 난 발생 소론이 붕괴하다
    성의 잔당도 박민웅이 이끄는 창의군에게 무너졌다.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는 데는 병조판서 오명항 등 소론 인사들도 참여했으나, 이후 정국의 주도권은 노론에게 넘어간다. 그러나 이듬해인 1729년 영조는 노론이든 소론이든 자신의 탕평책을 따르는 '완론파'만 등용한다는 '기유처분'을 내리고 왕권 강화에 나선다. 참조
    시대 :
    1728년
    국가/대륙 :
    한국
  • 김진상 여익(汝翼), 金鎭商
    에 유배당하였으나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풀려나 이조정랑으로 등용되었다. 이어 수찬·필선(弼善)·부교리(副校理) 등을 역임하던 중 1729년(영조 5) 기유처분(己酉處分)으로 실시된 탕평책에 반발하여 퇴거하기도 하였으나 다시 환로에 진출하여 1735년 부제학(副提學), 1738년 대사성, 1740년 대사헌을 거쳐 1753년...
    시대 :
    조선
    출생 :
    1684년(숙종 10)
    사망 :
    1755년(영조 31)
    경력 :
    좌참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퇴어당유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광산(光山)
  • 홍치중 사능(士能), 洪致中
    탕평파가 신임옥사에 대한 시비의 절충을 꾀하자, 노론4대신(老論四大臣)과 3수옥(三手獄) 관련자에 대한 신원문제를 구분해야 한다는 논리를 폈다. 이로써 기유처분(己酉處分)을 내리게 하였다. 이어 영의정으로 승진하였다. 그리고 노론의 온건파를 이끌고 정치에 참여함으로써, 탕평파가 주도하는 노·소론의 온건파...
    시대 :
    조선
    출생 :
    1667년(현종 8)
    사망 :
    1732년(영조 8)
    경력 :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남양(南陽)
  • 윤심형 경평(景平), 尹心衡
    작은아버지 윤봉조(尹鳳朝)가 귀양가고 노론의 영수인 영부사(領府事) 민진원(閔鎭遠) 등 수십 인이 파직당할 때 같이 파직되었다. 이듬해 영조가 기유처분(己酉處分)을 내려 노론의 4대신 중에 조태채(趙泰采)·이건명(李健命)은 복관(復官)하도록 조치하자, 신설(伸雪)이 고르지 못하고 국시(國是)가 펴지지 못했음을...
    시대 :
    조선
    출생 :
    1698년(숙종 24)
    사망 :
    1754년(영조 30)
    경력 :
    정언, 이조좌랑, 에조참판
    유형 :
    인물
    관련 사건 :
    신임옥사, 정미환국
    직업 :
    문신
    대표작 :
    임재집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파평(坡平, 지금의 경기도 파주)
  • 이수항 숙겸(叔謙), 李壽沆
    논핵되기도 하였다. 군작미(軍作米)를 내어 기민(飢民)을 구제하는 등 치적에도 힘썼다. 이어 충청감사를 거쳐 1736년(영조 12)에 대사간이 되었다. 이 때 기유처분(己酉處分)된 김일경(金一鏡)·박필몽(朴弼夢)의 시호(諡號) 회복 문제가 대두되자 이를 신하들이 말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다가 파직되었다. 이어 진위...
    시대 :
    조선
    출생 :
    1685년(숙종 11)
    사망 :
    미상
    경력 :
    충청감사, 대사간, 호조참판, 전라도관찰사, 대사헌, 병조참판, 함경감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여주(驪州)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