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화민국, 중국 공산당 대장정의 길빠졌다. 10월 초 모든 부대의 탈출이 결정되고 탈출 준비는 고작 1주일이었다. 마오쩌둥은 당시 운도(雲都)에서 말라리아를 앓고 있었다. 홍군은 10만 명의 장정군(長征軍)과 3만 명의 후위부대로 편성되었다. 마오쩌둥·주덕·저우언라이·왕가상(王稼祥)·유백승(劉伯承)·오토 브라운이 군사평의회를 구성하여 장정군...
-
제주도통어전연운동 濟州島通漁展延運動개설 전연(展延)은 실시 시기를 뒤로 미룬다는 의미이다. 1883년(고종 20) 〈조일통상장정 朝日通商章程〉 체결부터 1894년 청일전쟁이 벌어지는 시기에 전개된 어업권 수호투쟁이다. 제주도의 주생업인 어업을 일본인 어로자의 침해로부터 수호해야 하는 입장에서, 조선 정부는 일본을 상대로 일본인 어부들의 제주도...
- 시대 :
- 근대
- 성격 :
- 민족운동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
- 관련 장소 :
- 제주도
-
중조약장합편 中朝約章合編내용 1책. 고활자본. 수록된 조약은 중국조선상민수륙무역장정(中國朝鮮商民水陸貿易章程)·중강통상장정조관(中江通商章程條款)·길림무역장정(吉林貿易章程)·인천구화상지계장정(仁川口華商地界章程)·부산구화상지계장정(釜山口華商地界章程)·의주전선합동(義州電線合同)·중국대변조선육로전선속관합동(中國代辨...
- 시대 :
- 근대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말기 개항 이후
- 성격 :
- 외교서, 관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일본내무성시찰기 日本內務省視察記각 권에 수록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권1은 내무성 자체에 관한 것으로 내무성 직제사무, 즉 내무성 각국의 연혁과 직제 연혁·직원·내무성직제·내무성사무장정·각국처무규정(各局處務規程)·각국분과사무(各局分課事務)와 내국 관계의 내무성내국각규칙(內務省內局各規則)으로 왕복과처무순서(往復課處務順序...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박정양
- 창작/발표시기 :
- 1881년(고종 18) 이후
- 성격 :
- 보고서, 시찰보고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권 3책
- 분야 :
- 역사/근대사
- 소장/전승 :
- 규장각 도서
-
-
김좌진 명여, 金佐鎭신국보(新國報)』 를 발행하였다. 또한 독립군 편성 준비로 극비리에 결사대원을 모집하여 1,037명의 청년자원자를 확보하였다. 대한정의단은 독립군 편성 장정과 군자금 준비가 갖추어지자 1919년 8월 독립군단체로 대한군정회(大韓軍政會)를 조직하였다. 실제로 군사 훈련과 독립군 편성 과제가 절박하게 대두되자...
- 출생 :
- 1889년 12월 16일, 충청남도 홍성(洪城)
- 사망 :
- 1930년 1월 24일
- 관련 사건 :
- 대한광복회, 성동사관학교, 청산리전투, 경신대학살, 자유시참변, 민족유일당운동
- 본관 :
- 안동(安東)
- 주요활동 :
- 청년학우회 한성연회 간부, 기호흥학회 창립, 호명학교 설립, 대한광복회 부회장, 대한독립선언서 서명, 북로군정서(대한군정서) 사령관으로 청산리독립전쟁(청산리전투) 수행, 대한독립단(대한의용군총사령부) 부총재, 신민부(新民府) 군사위원장 겸 총사령관, 성동사관학교 설립, 혁신의회와 한족총연합회 조직
- 포상훈격 :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관련 인물/단체 :
- 대한광복회, 북로군정서, 대한독립단, 신민부, 한족총연합회
-
조영수호통상조약 朝英修好通商條約인천 3항의 사용과 영국군함의 항만 자유 출입과 연안 측량과 해도 작성의 허용을 양해하기로 했던 것이다. 그러나 영국정부는 이 조약이 「조일수호통상장정」과 비교해 ‘영국의 무역과 영국민의 지위보장이라는 견지에서 본 조약이 커다란 결함을 내포하고 있다.’는 이유로 비준을 거부하였다. 이듬해 주청영국공사...
- 시대 :
- 근대
- 성격 :
- 조약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