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국토정중앙면 남면, 國土正中央面
    더덕·도라지·고비·느타리버섯·송이버섯 등이 생산된다. 2002년 5월 인공위성으로 측정한 결과 도촌리 산 48번지가 독도(동단), 평안북도의 마안도(서단...2021년 1월 1일 명칭이 '국토정중앙면'으로 변경되었다. 도촌리에는 국토정중앙천문대가 있다. 한반도의 중심에서 천체를 관측하기 위해 한반도의 4극 지점을...
    인구 :
    3,452 (2019)
    면적 :
    135.26㎢
    행정구역 :
    21개리 68개반 (법정리 15개리)
    소재지 :
    강원도 양구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달까지 가는 데 시간이 얼마나 걸려요?
    지구의 위성인 달이에요. 우리에게 가장 친근하고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어요. 조상들은 달 표면의 무늬를 보면서 상상의 나래를 펴고 이야기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달이 차고 기우는 모습을 기준으로 달력을 만들었어요. 과학이 발달한 현대에도 달의 운동을 기준으로 하는 음력은 우리 생활에서...
    분야 :
    지구와 우주
    교과단원 :
    초등 5학년 1학기 〈지구와 달〉
  • 본드 William Cranch Bond
    그의 아들 G. P. 본드(1825~65)와 함께 토성의 8번째 위성인 히페리온과 크레페 환(C-환)이라고 불리는 안쪽의 고리를 발견했다. 독학으로 공부하다가 1806년...1840년 하버드 대학 최초의 천문관측자가 되었고 1847년 하버드 천문대 대장이 되었다. 2년 후에는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왕립천문학회 회원으로 추대...
    출생 :
    1789. 9. 9, 미국 매사추세츠 메인 팰머스(메인 포틀랜드)
    사망 :
    1859. 1. 29, 매사추세츠 케임브리지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올레 뢰머 Ole Rømer, オーレ・レーマー
    뢰머는 덴마크의 천문학자이다. 빛의 속도가 유한하다고 생각하고, 이를 처음으로 측정하였다. 그는 1672년에 파리 시의 왕립 천문대로 초청되어 그곳에서 목성에 의한 위성의 식을 관찰하였다. 그것들을 통해 빛의 속도는 유한하다고 생각하였고 빛의 속도를 처음으로 측정하였다. 1679년에는 영국을 방문하면서 아이작...
    도서 위키백과
  • 푸아송 Siméon-Denis Poisson
    중앙천문대의 천문학자가 되었고 1809년 이과대학이 설립되었을 때 순수수학교수로 임명되었다. 푸아송은 주로 전기·자기·역학, 그리고 여러 다른 물리학 분야에 수학을 응용하는 데 관심을 쏟았다. 1811, 1833년에 쓴 〈역학에 관한 논문 Traité de mécanique〉은 여러 해 동안 역학의 기본서였다. 그의 출판물...
    출생 :
    1781. 6. 21, 프랑스 피티비에
    사망 :
    1840. 4. 25, 소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아미치 Giovanni Battista Amici
    지냈고, 그뒤에는 토스카나 대공국의 천문학자와 피렌체 왕립박물관의 천문대 대장으로 있으면서 자연사박물관에서 강의했다. 복합현미경 설계분야를 크게 발전...관련해 가장 빈번히 언급되지만, 그는 자신의 기구를 잘 이용하기도 했다. 목성의 위성과 몇몇 쌍성에 대한 그의 관측은 높이 평가된다. 자신이 설계·개선...
    출생 :
    1786. 3. 25, 이탈리아 모데나
    사망 :
    1863. 4. 10, 피렌체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페루 마추픽추, 재난이 잦은 세계유산 건축 유산 미스터리
    천문대 역할을 한 인티와타나가 일부 깨지는 일까지 벌어졌다. 2001년 일본 교토 대학 방재연구소도 마추픽추 유적지의 뒤쪽 경사면 지반이 허약해 한 달에 1센티미터씩 흙이 아래 계곡으로 흘러내리고 있다며, 언제 붕괴할지 모른다고 경고한 바 있다. 마추픽추는 두 개의 산 능선 사이, 더 높은 산 정상에서 흘러...
  • 하늘에서 유적을 찾다! - 항공고고학
    오늘날 천문대에서는 더 이상 천문학자들이 별을 관측하려고 천체망원경에 눈을 바짝 갖다 대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없다. 망원경으로 관측된 천체의 모습들은 모두 디지털 영상 신호로 전환되어 모니터 화면으로만 보기 때문이다. 고고학도 이제는 땅을 파지 않고도 유적을 찾아낸다. 몇 년 전 일본에서는 ‘자력계측기...
    도서 과학향기 | 태그 항공 , 과학 일반
  • 130 엘렉트라
    130 일렉트라는 세개의 소행성 위성을 가진 소행성이다. 1873년 2월 17일 뉴욕 리치필드 천문대에서 천문학자 크리스찬 피터스가 발견했으며,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복수자 엘렉트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30 엘렉트라는 소행성 스펙트럼 유형이 G형 소행성이므로 1 세레스와 비슷한 표면을 가진 것으로 추측된다...
    도서 위키백과
  • 볼러 앤드 치벤스 Boller and Chivens
    1946년에 설립되었다. 1965년 퍼킨-엘머사에 인수되었다. 1950년대에 볼러 앤드 치벤스사는 퍼킨-엘머사와 협력하여 미국 뱅가드 우주 위성 프로그램을 위한 대구경의 베이커-넌 위성 추적 카메라를 개발, 생산하였다. 대한민국 소백산 천문대에 있는 리치-크레티앙 방식의 구경 61cm 망원경의 제조사이다. 매사추세츠주...
    도서 위키백과
  • 천문학의 임시 명칭 Provisional designation in astronomy, ..
    주립 천문대 Wolf [Nr.] 숫자 Wolf Nr. 18, Wolf 18 Wolf 소문자 Wolf u Wolf 그리스문자 Wolf alpha Heid 숫자 Heid 1, Heid 234 1994년 이전까지만 해도 혜성의 이름을 붙이는 방법은 상당히 복잡했다. 일반적으로 2가지 방식이 사용되었는데, 첫 번째는 혜성이 발견된 년도 뒤에 해당 년도에 발견된 순서대로 로마...
    도서 위키백과
  • 망원경 Telescope, 望遠鏡
    연구용 망원경, 그리고 아마추어 천문가의 망원경으로 나눌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망원경, 관측기기들로 구성된 운송수단(차량, 비행기, 기구, 위성)이나 캠퍼스를 천문대라고 한다. 을 여러 가지 파장에서 본 모습. 사진의 크기는 가로 세로 약 6분이다. (원본 사진(영어))]]"망원경"이라는 이름은 매우 다양한 기기...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