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묘향산 날다라미 妙香山 날다라미산과 하천 주변에는 여러 가지 교목과 관목, 덩굴식물과 초본식물이 자라고 있다. 생태 표고 600m인 곳까지는 소나무를 주로 하여 신갈나무 · 물푸레나무 · 단풍나무 · 밤나무 따위가 혼성림을 이루고, 표고 1,200m 이상 되는 곳에는 침엽수인 분비나무 · 가문비나무 · 전나무 · 잣나무 따위와 활엽수인 자작나무...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동물
-
양덕금수목 陽德錦樹木자랄 수 있는 북한계선으로서 의의가 있다. 노각나무는 주로 남쪽에서 자라지만 태백산맥을 타고 여기까지 올라온 것이다. 같이 자라고 있는 나무는 신갈나무·피나무·물푸레나무·사시나무 등이다. 밑에는 싸리·개암나무·철쭉 및 병꽃나무 등이 자란다. 가장 큰 나무는 높이 22m, 가슴높이의 지름이 35㎝이다. 참고문헌
- 문화재 지정 :
- 북한 천연기념물 제50호
- 서식지 :
- 평안남도 양덕군 운창리
- 성격 :
- 식물, 나무, 노각나무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높이 7∼15m
- 분야 :
- 과학/식물
- 개화기 :
- 6∼7월
-
지리산 천년송 智異山 千年松또 하나의 큰 소나무가 있지만 크기나 나무 모양 등에서 아래쪽의 것에 비해 훨씬 못 미친다. 나무 밑에는 생강나무, 졸참나무, 조록싸리, 개옻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 산벚나무, 물푸레나무, 산철쭉, 팥배나무, 보리수나무 등의 맹아와 둥굴레, 고사리, 맑은대쑥 등이 함께 자란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천년송은...
- 시대 :
- 현대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
-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 군락 任實 德川里 가침박달 群落나무 · 개서어나무 등이 자라고 군락의 가장자리에는 아카시아와 은수원사시나무가 나 있다. 아교목층과 관목층은 가침박달나무를 우점종으로 하여 졸참나무 · 갈참나무 · 상수리나무 · 떡갈나무 · 국수나무 · 물푸레나무 · 쥐똥나무 등과 만경식물인 청미래덩굴 · 청가시덩굴 · 칡들이 자라고 있다. 가침박달...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
미처 몰랐던 홈런 타자의 비밀, 타자가 배트 무게를 늘릴 때있다. 나무는 이전엔 물푸레나무와 단풍나무를 절반씩 사용했는데, 메이저리그의 영향으로 단풍나무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한동안 손가락 통증으로 고생한 이승엽은 “물푸레나무가 부드러워서 타격할 때 손에 통증이 적어 사용했는데, 요즘은 강도가 강하고 반발력이 좋은 단풍나무로 만든 방망이를 쓴다”라고...
-
남한산성 도립공원 南漢山城 道立公園군집은 전체 식생면적 중 19% 정도만 남아 있다. 현존식생에 의하면 남한산성 소나무의 생태적 천이단계에서 출현할 수 있는 신갈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 서어나무군집, 물푸레나무군집 등의 면적비율은 47.1%로 소나무 군집보다 훨씬 더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그밖에도 남한산성 권역 내에 자생하는 우리나라...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정방산 천성산(千聖山), 正方山100m 이상의 기암절벽, 정방약수, 연못이 있다. 소나무를 기본으로 하여 참나무,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두릅나무, 박달나무, 산살구나무, 돌배나무, 복숭아나무 같은 교목과 목란꽃나무, 진달래, 철쭉, 싸리나무, 개암나무, 산초나무 등의 관목이 분포한다. 그리고 노루, 오소리, 너구리, 다람쥐, 꿩, 매, 전갈 같은...
- 성격 :
- 산
- 유형 :
- 지명
- 면적 :
- 높이 480m
- 소재지 :
- 황해북도 황주군, 황해북도 봉산군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자생지에서 비롯된 식물 이름투구꽃 : 고산 지대에서 자라기 때문에 ㆍ 물갬나무, 물골풀, 물닭개비, 물머위, 물박달나무, 물봉선화, 물솜방망이, 물싸리, 물쑥, 물오리나무, 몰옥잠, 물참나무, 물푸레나무, 물황참나무 : 주로 물가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기 때문에 ㆍ 바위구절초, 바위말발도리, 바위손, 바위송이풀, 바위채송화 : 산지의 바위...
-
사냥끼워 둔다. 지나가던 짐승이 코를 건드리면 후리채가 퉁겨 나가는 동시에 목이나 발이 코에 얽혀 든다. 하늘코는 짐승이 잘 다니는 길가의 참나무나 물푸레나무 가지를 억지로 휘어서 그 끝에 철사 고리를 달아 말뚝에 살짝 걸쳐 둔 것이다. 짐승이 고리를 건드리면 나무가 펴지면서 목이나 다리를 옭아 공중에 달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체육
-
리히텐슈타인의 자연환경갈대·새눈무늬앵초·난초류뿐만 아니라 수생 서양톱풀과 쇠뜨기말을 찾아볼 수 있다. 숲은 유럽산너도밤나무, 보통 단풍나무, 노르웨이단풍나무, 플라타너스, 참피나무, 느릅나무, 서양물푸레나무 등이 자라는 복합삼림지대로 이루어진다. 동물로는 붉은 사슴, 몸이 작고 날쌘 노루, 영양, 산토끼, 마아못, 검은 멧닭...
-
꽃은 어디에서 필까겨울눈으로 꽃과 잎을 무장합니다. 사람들이 겨울에 입는 코트만큼이나 색감도 원단도 디자인도 다양합니다. 백목련의 겨울눈은 회색 솜털 옷을 입고, 물푸레나무의 겨울눈은 검은색에 가까운 가죽 코트를 입으며, 은행나무는 흡사 얇은 홑겹을 여러 겹 겹쳐 입은 것 같습니다. 라일락은 여러 겹의 비늘잎에 둘러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