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야코포네 Jacopone da Todi
    이 시는 18세기에 로마 가톨릭의 전례 문집에 첨가되었고 요스퀸 데스 프레츠, 팔레스트리나,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 조아키노 로시니, 안토닌 드보르자크 등 많은 작곡가들이 이 시에 곡을 붙였다. 일부가 수감시에 씌어지기도 한 그의 많은 '영적 찬가'는 통렬한 분노에서 신비한 황홀경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출생 :
    1230경, 스폴레토 공작령 토디
    사망 :
    1306. 12. 25, 콜라초네
    국적 :
    이탈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골트마르크 골드마르크 카로이, Karl Goldmark
    화롯가의 귀뚜라미 Das Heimchen am Herd〉(1896, 디킨스의 작품에서 따옴)를 비롯한 오페라 5곡과 바이올린 협주곡 2곡, 교향곡 2곡, 실내악곡 등이 있다. 드보르자크의 제자였던 조카 루빈 골트마르크(1872~1936)는 아론 코플랜드와 조지 거슈윈을 가르쳤고, 1924년부터는 줄리어드 스쿨에서 작곡과 학과장으로 재직...
    출생 :
    헝가리 케스트헬리, 1830. 5. 18
    사망 :
    1915. 1. 2, 빈
    국적 :
    헝가리/오스트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네메 예르비 Neeme Järvi
    배우고 익힌 러시아 음악들, 차이코프스키와 프로코피예프의 해석은 정평이 나있으며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와 말러, 브람스 같은 독일 음악과 드보르자크나 야나체크 같은 체코의 음악, 그리고 고국 에스토니아의 음악에 탁월한 연주력과 해석력을 보여주고 있다. ⓒ 음악세계 & 음악사연구회(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분류 :
    연주자>지휘자
    출생 :
    1937년 6월 7일, 에스토니아 탈린
    경력 :
    • 1963년 에스토니아 라디오 텔레비전 교향악단 음악감독 • 1966년 에스토니아 오페라 음악감독 • 1982~1994년 스웨덴 예테보리 심포니 오케스트라 음악감독 • 1984~1988년 왕립 스코틀랜드 국립 관현악단 수석지휘자 • 1990~2005년 디트로이트 심포니 오케스트라 음악감독 • 2005년 뉴저지 심포니 오케스트라 음악감독 • 2012년~ 스위스 로망드 관현악단 음악감독
    유형 :
    지휘자
    수상 :
    1971년 로마 국제 지휘 콩쿠르 1위
    데뷔 :
    1955년
    레퍼토리 :
    차이코프스키, 프로코피예프(러시아), 말러, 브람스(독일), 드보르자크, 야나체크(체코) 등
  • 위령미사곡 Requiem Mass
    때때로 응창과 그밖의 본문이 미사 다음에 있는 매장식에 따라 첨가된다. 흔히 진혼곡이라고도 하는 위령미사곡은 19세기에는 베를리오즈·케루비니·드보르자크·베르디·브루크너·포레등이, 20세기에는 모리스 뒤뤼플, 벤저민 브리튼이 뛰어나게 처리했다. 브리튼의 〈전쟁 진혼곡 War Requiem〉은 라틴어 기도문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자장가 lullaby
    쇼팽의 피아노곡 〈자장가〉(작품번호 57, 1843), 포레의 피아노용 소품 〈자장가〉(작품번호 16, 1880)가 유명하며 그밖에 F. 리스트, E. H. 그리그, A. 드보르자크 등의 피아노 독주곡이 있다. 또 B. 플리스(이전에 〈모차르트의 자장가〉로 여겨지던 곡의 작곡자), F. 슈베르트, J. 브람스, M. 레거에 의한 가곡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콜리지 테일러 Samuel Coleridge-Taylor
    히아와타의 출발 Hiawatha's Departure〉(1900)을 연속적으로 발표했다. 그밖에 부수음악, 합창음악, 바이올린 협주곡(1911)을 포함한 다른 작품들에는 드보르자크·차이코프스키·그리그로부터 받은 영향과 흑인들의 민속음악에 대한 인식에서 도출된 자연스러움이 나타나 있다. 1904, 1906, 1910년에 각각 미국을 방문...
    출생 :
    1875. 8. 15, 런던
    사망 :
    1912. 9. 1, 잉글랜드 서리 크로이든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가
  • 하우저 Arnold Hauser
    지식층에 대한 연구, 영화예술에 대한 관심 등은 이 서클을 통해 얻어졌다. 또 1920, 1930년대에는 A.리글의 바로크 연구, H. 뵐플린의 양식사 연구, 드보르자크의 역사주의적 예술사 연구를 섭렵했고, 지멜, 좀바르트, 막스 베버 등의 사회학자에게서도 깊은 영향을 받았다. 또한 파리와 이탈리아에 머물며 미술품을...
    출생 :
    1892, 헝가리 테메스바
    사망 :
    1978, 헝가리 부다페스트
    국적 :
    헝가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하모니엄 harmonium
    중요한 발전을 이룩했다. 1930년대에 전자 오르간이 하모니엄을 시장에서 몰아내기까지 이 악기는 교회용·가정용 악기로 인기가 있었다. 하모니엄을 위한 작품으로는 프랑스의 작곡가 세자르 프랑크와 루이 비에른의 작품들, 보헤미아의 작곡가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2대의 바이올린과 첼로, 하모니엄을 위한 4...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건반악기
  • 원주시립교향악단 原州市立交響樂團
    및 변천 1997년 3월에 명예 음악감독 임헌정, 수석지휘자 정치용을 영입하여 창단하고 같은 해 7월 임헌정이 지휘봉을 잡고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과 드보르자크의 교향곡 제9번 「신세계」를 프로그램으로 창단음악회를 했다. 82회의 정기연주회와 예술의전당 주최 교향악축제에 꾸준히 초청되었고, 모차르트...
    시대 :
    현대
    위치 :
    강원도 원주시 명륜동 서원대로 331
    설립 :
    1997년
    성격 :
    예술단체, 교향악단
    유형 :
    단체
    설립자 :
    원주시
    분야 :
    예술·체육/현대음악
  • 풍금 風琴 : 리드 오르간(reed organ) : 하모니움(harmonium)
    뿜어내는 식과 바람을 빨아들이는 식이 있는데, 우리나라의 풍금은 대부분 후자에 속한다. 하모니움을 사용한 클래식 음악 문헌으로 대표적인 작품은 드보르자크(Antonin Dvorak, 1841~1904)의 「두 대의 바이올린과 첼로」, 「하모니움을 위한 바가텔 op. 47」(Antonín DVOŘÁK Bagatellen, op. 47, pour deux violons...
    시대 :
    근대
    유형 :
    물품
    분야 :
    예술·체육/현대음악
  • 스트르제도체스키 Stredocesky
    요업으로 유명하다. 대부분의 문화기관이 프라하에 있지만 그외 몇몇 도시들도 중요하다. 프라하 북서쪽 넬라호제베스는 체코인 작곡가 안토닌 드보르자크(1841~1904)의 출생지로, 그의 생가가 기념박물관으로 보존되어 있다. 동쪽 쿠트나호라는 13~14세기의 건축물이 많은 곳으로 명승사적 보존단체의 관리를 받고 있다...
    위치 :
    체코 중북부
    인구 :
    1,455,940명 (2024년 추계)
    면적 :
    11,015㎢
    언어 :
    체코어
    대륙 :
    유럽
    국가 :
    체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음악의 민족자결주의, 국민음악파
    바쁜 시간을 쪼개 틈틈이 작곡에 몰두해 〈이고르 공〉 같은 훌륭한 오페라를 남겼다. 보헤미아의 민족주의 현재 체코에 해당되는 보헤미아에서는 스메타나와 드보르자크가 민족적인 소재를 가진 음악을 만들었다. 보헤미아는 수세기 동안 오스트리아의 통치를 받고 있었다. 그러다가 압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해방 운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9건

드보르자크
드보르자크(Antonín (Leopold) Dvořák)
드보르자크의 〈현악 4중주 12번〉 마지막 페이지의 드보르자크 자필 악보
드보르자크의 장례식
안토닌 드보르자크
드보르자크의 묘
드보르자크의 사진(1870)
루돌피눔의 드보르자크 동상
드보르자크 홀의 내부
안토닌 드보르자크(Antonín Dvořák)
안토닌 드보르자크(1841~1904)
프라하에 있는 드보르자크 박물관
프라하에 있는 드보르자크 박물관
프라하에 있는 드보르자크 박물관
프라하에 있는 드보르자크 동상
오르간을 연주하는 드보르자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