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조선 5대 왕, 문종 조선 제 5대 왕, 文宗
    증대시키고, 각 병종을 5사에 배분하는 등 군제를 정비했다. 서적 편찬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여 즉위년에 <동국병감(東國兵鑑)>이 출간되었고, 1449년에 김종서(金宗瑞)·정인지(鄭麟趾) 등에 개찬(改撰)을 명한 <고려사>가 1451년 완성을 보았다. 1452년에는 편년체로 서술된 <고려사절요>도 완성되었다. 문종은 유학...
    출생 :
    1414(태종 14)
    사망 :
    1452(문종 2)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재위 :
    1450년∼1452년
    시호 :
    공순흠명인숙광문성효대왕(恭順欽明仁肅光文聖孝大王)
    능묘 :
    현릉(顯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한명회 조선 초기의 문신
    이 되었다. 문종이 죽고 단종이 즉위하자 수양대군(首陽大君)과 의기투합하여 무사 홍달손(洪達孫) 등 30여 명을 추천했다. 1453년(단종 1) 10월 수양대군이 김종서(金宗瑞) 등을 죽이고 정권을 장악한 계유정난 때 심복 참모로서 큰 공을 세워 군기녹사(軍器錄事)에 임명 되고 수충위사협책정난공신(輸忠衛社協策靖難...
    출생 :
    1415(태종 15)
    사망 :
    1487(성종 18)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본관 :
    청주(淸州)
    시호 :
    충성(忠成)
    호 :
    압구(狎鷗), 압구정(狎鷗亭), 사우당(四友堂)
  • 권람 정경, 權擥
    뒤 일찍부터 깊이 사귀어왔던 한명회를 수양대군에게 천거했으며, 그와 함께 양정·홍달손·유수 등의 무인들을 포섭했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을 도와 김종서(金宗瑞)·황보인(皇甫仁) 등을 제거하고 세조의 즉위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 공으로 정난공신 1등에 봉해졌다. 이어 승정원의 여러 벼슬을 거쳐...
    출생 :
    1416(태종 16)
    사망 :
    1465(세조 11)
    국적 :
    조선, 한국
  • 금성대군 금성대군 이유, 錦城大君
    의 후사가 되었다. 1452년 어린 조카인 단종이 즉위하자 형인 수양대군과 함께 좌우에서 보필할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수양대군이 정권탈취의 야심을 가지고 김종서 등을 제거하자, 형의 행동에 반대했다. 1455년(단종 3) 모반혐의로 삭녕에 유배되었고, 다시 광주로 옮겨졌다. 1456년(세조 2) 성삼문·박팽년 등...
    출생 :
    1426년(세종 8)
    사망 :
    1457년(세조 3)
    국적 :
    조선, 한국
  • 국조명신록 國朝名臣錄
    10책에 이항복(李恒福)·신흠 외 12명, 11책에 신익성(申翊聖)·이안눌(李安訥) 외 8명, 12책에 홍서봉(洪瑞鳳)·최명길(崔鳴吉)외 16명이 있다. 충절은 13책에 김종서(金宗瑞)·성삼문(成三問) 외 34명, 14책에 임형수(林亨秀)·김구(金銶) 외 34명, 15책에 고경명(高敬命)·이순신(李舜臣) 외 18명, 16책에 김상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최윤온
    죽산 박고의 딸과 혼인하였다. 조선 태종대에 약관의 나이로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며, 이어 사헌부감찰을 지내고, 1419년(세종 1년)에 친구인 김종서 등과 행대감찰이 되어 전라도를 맡아 기민구제 사업과 관리들의 근무태만을 감찰하였다. 1421년(세종 3년)에는 형조좌랑이 되었으며, 이후 여러 벼슬을...
    도서 위키백과
  • 의당면 儀堂面, Euidang-myeon
    발달했으며, 그밖의 하천연안에도 평야가 분포되어 있다. 친환경 오리농법으로 재배한 쌀과, 참외·딸기 등의 시설채소 재배가 활발하다. 수촌리 고분군, 김종서 장군 생가지, 동혈사 등의 유적이 보존되어 있다. 논산천안고속도로와 세종시 방면의 국도가 면내를 경유한다. 논산천안고속도로와 세종시 방면의 국도가...
    인구 :
    5,375 (2017)
    면적 :
    51.3㎢
    행정구역 :
    20개리 84개반
    소재지 :
    충청남도 공주시
    사이트 :
    http://www.gongju.go.kr/euidang.do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단종실록 端宗實錄
    노산군일기'라고 되어 있다. 편찬연대와 편찬자에 대해서는 정확한 기록이 없으나 1464년(세조 10) 신숙주, 한명회, 최항, 노사신 등에게 명령하여 김종서 등을 제거하고 세조가 집권하는 과정을 서술한 〈정난일기 靖難日記〉를 편찬하게 한 것으로 보아 이때부터 편찬한 것으로 보이며 1469년(예종 1)에 완성된 듯하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장기면 長岐面, Janggi-myeon
    금강에 유입한다. 경지는 대교천과 그 지류연안을 따라 분포한다. 오이·딸기 등의 시설원예 작물재배와 사과·복숭아 등 과수재배가 활발했다. 유적으로 김종서장군묘·충렬사·신관리석실고분 등이 있다. 이 일대를 청양-청주를 잇는 국도가 면 중앙부를 가로지른다. 행정구역은 도계리·평기리·대교리·봉안리...
    시행일 :
    1914년 4월 1일
    폐지일 :
    2012년 7월 1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충청남도
  • 정희왕후 낙랑부대부인(樂浪府大夫人), 貞熹王后
    처음에는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에 수봉되었다가 이후 낙랑부대부인(樂浪府大夫人)에 수봉되었다. 1452년(단종 즉위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이 김종서(金宗瑞) 등을 제거하는 거사 때 모의가 새어나가 손석손(孫碩孫) 등이 만류하였다. 그러나 수양대군이 중문에 이르자 정희왕후가 갑옷을 들어 입혀서 용병(用兵)을...
    시대 :
    조선
    출생 :
    1418년(태종 18)
    사망 :
    1483년(성종 14)
    유형 :
    인물
    직업 :
    왕비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파평(坡平)
  • 이맹전 李孟專
    정자·정언을 거쳐 소격서령·거창현감 등을 지냈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이 정인지·신숙주(申叔舟)·한명회 등과 함께 영의정 황보인(皇甫仁), 좌의정 김종서(金宗瑞) 등을 살해하고 정권을 탈취하자, 이듬해 관직을 사퇴하고 고향인 선산으로 돌아갔다. 그뒤 30여 년을 귀머거리·소경이라 칭하고 고향에 은둔...
    출생 :
    1392(태조 1)
    사망 :
    1480(성종 11)
    국적 :
    조선, 한국
  • 정인지의 업적
    편찬에 깊이 관여했는데, 조선 초기에 정립한 정사(正史)의 편제와 사관제도 정비에 많은 공을 세웠다. 1451년 〈고려사〉의 최종본을 편찬했고, 다음해에는 김종서와 함께 〈고려사절요〉를 편찬했다. 〈태조실록〉부터 〈예종실록〉까지 8대실록의 편찬에 직접 참여하거나 감수를 담당했으며, 1455년에는 〈치평요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7건

김종서 장군 묘
김종서(金宗瑞)
김종서 장군의 묘
북관유적도첩-야연사준도
〈야연사준도〉
김종서 생가터
김종서 유묵
김종서유허지
제승방략 / 김종서
제승방략 / 김종서
제승방략 / 김종서
김종서 vs 세조
김종서장군묘
김종서장군묘
김종서 장군의 묘역
비해당소상팔경시첩 김종서 시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