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옥텟 규칙 Octet rule, オクテット則
    주기율표의 3주기부터 그 아래쪽 원소의 경우에는 중심 원자 주위에 8개보다 더 많은 수의 전자가 배열될 수 있다. 3주기 원소들은 3s 및 3p 궤도함수 외에 3d궤도함수를 결합에 이용될 수 있다. SF6를 이 예시로 들 수 있는데, 황(S)의 전자배열은 [Ne]3s2 3p4 로 6개의 원자가전자가 각각 플루오린 원자와 공유결합을...
    도서 위키백과
  • 역학적 시간 力學的時間, dynamical time
    뉴턴의 운동법칙과 중력법칙에 따르는 천체의 궤도운동을 상대론으로 수정하면 역학적 시간의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 1925년 국제천문연맹(IAU)은 역표시(Ephemeris Time/ET)라고 부르는 역학적 시간을 지구의 공전운동에 기초를 두고 정의했는데, 이는 1898년 미국의 천문학자 사이먼 뉴컴이 태양과 지구의 운동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앙드리앵 마리 르장드르 앙드리앵 마리 르장드르는 누구이며, 역학에 어떤 기여를 했는가?,..
    있어 결정적인 업적이라 할 기하학 교과서를 집필했다. 1806년에는 《혜성의 궤도 결정에 대한 새로운 방법(nouvelles methods pour la determination des...기술을 소개했다. 르장드르는 오늘날 타원 함수에 대한 업적과 르장드르 다항식이라 불리는 함수 집합을 고안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르장드르 다항식은...
    출생 :
    1752년
    사망 :
    1833년
    국적 :
    프랑스
    대표작 :
    《혜성의 궤도 결정에 대한 새로운 방법( nouvelles methods pour la determination des orbits des comets)》
  • 미적분의 탄생
    어떤 함수의 면적을 구하는 수학적 기법을 말한다. 미분이 잘게 나누는 분해 과정이라면, 적분은 분해된 것을 다시 쌓아가는 축적 과정이다. 미분과 적분의 관점은 원의 둘레와 넓이 사이의 관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원의 반지름을 r이라 할 때 원의 둘레는 2πr이고, 원의 넓이는 πr2이다. 이때 원의 넓이를 반지름에...
  • 가리움 효과 Shielding effect, 遮蔽効果
    원자핵과의 인력이 감소하는데, 이때 전자에게 작용하는 원자핵의 알짜 전하량을 유효핵전하(effective nuclear charge)라 한다. 오비탈이란 파동함수 또는 원자궤도함수라고 표현하며, 그 자체로 의미를 가지지 않지만 파동함수의 제곱값은 확률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n}(주양자수)은 에너지와 오비탈의 크기와 관련이...
    도서 위키백과
  • 슈뢰딩거 Erwin Schrödinger
    기술하는 이론을 도입했다. 슈뢰딩거 방정식의 해(解)는 뉴턴 방정식의 해와는 달리 물리적 사건들의 확률적 발생에만 관련된 파동함수들이다. 절대적이고 쉽게 가시화되는 뉴턴의 행성 궤도의 사건들의 결과가 양자역학에서는 훨씬 더 추상적인 관념인 확률로 대체되었다(양자이론의 이 측면은 슈뢰딩거를 비롯한 다른...
    출생 :
    1887. 8. 12, 오스트리아 빈
    사망 :
    1961. 1. 4, 빈
    국적 :
    오스트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미적분으로 해결할 수 없는 것들
    타원형 궤도를 증명하기 위해 만유인력의 역제곱법칙을 사용했다. 하지만 그는 태양계가 워낙 복잡하기 때문에 두 개 이상의 태양계 물체가 연관되면 계산이 어려워진다는 것도 발견했다. 이렇게 되자 왕은 아홉 개의 별(태양과 그 시대에 알려져 있던 여덟 개의 행성)을 포함한 해답을 원했다. 푸앵카레의 해답이...
  • 우주에서의 거리 측정
    삼각함수를 이용하면 주변 별들까지의 거리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세페이드 변광성 천문학자들은 별들의 실제 밝기를 나타내는 절대등급과 지구에서 관측되는 밝기를 의미하는 겉보기등급을 비교하여 먼 거리에 있는 별들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세페이드 변광성들은 매우 밝은 천체로, 인간의 심장처럼 팽창과 수축을...
    도서 손안의 우주 | 태그 우주
  • 회전수 Rotation number
    조밀하다. 2(b). f의 모든 궤도는 조밀하지 않다. 이 경우, f(C)=C인 칸토어 집합 C\subset\mathbb S^1가 존재한다. 이 경우, f의 모든 궤도는 C에 수렴하며...수렴한다. 이 경우, h\circ f=(x\mapsto x+\omega(f))\circ h가 되는 연속 함수 h\colon\mathbb S^1\to\mathbb S^1가 존재하며, h는 \mathbb S^1\setminus C의...
    도서 위키백과
  • 결합 차수 Bond order, 結合次数
    차수는 복잡한 시나리오에서 생길 수 있으며, 결합 차수가 1인 것과 관련된 결합 세기를 나타낸다. 결합 차수의 정의는 주로 MOT를 다룰 때 사용된다. 분자궤도함수 이론에서 결합 차수는 다음 방정식과 같이 정의된다. \text{B.O.} = \frac{\text{number of bonding electrons} - \text{number of antibonding...
    도서 위키백과
  • 코리올리 힘 Coriolis force
    위도의 함수이기 때문이다. 접선속도는 극지점에서는 정확히 0이고 적도에서는 최대값이다. 따라서 적도위치에서 북쪽으로 대포를 쏜다면 포탄은 정확한 북쪽이 아니라 동쪽으로 비껴나서 떨어진다. 이 변화량은 포탄이 북쪽의 목표지점보다 적도위치에서 동쪽으로 더 빨리 움직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북극에서 적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리드베리 상수 Rydberg constant
    수소 같은 원자에서 방출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파장이나 진동수의 함수로 나타내기 위해 1890년 스웨덴의 물리학자 요한네스 로베르트 리드베리가 만든 수식에서 사용한 물리상수이다(→ 리드베리). 이 값은 원자핵의 질량이 궤도를 돌고 있는 전자 1개의 질량보다 훨씬 크다는 가정하에 정해졌다(무한대를 나타내는 ∞...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8 현재페이지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분자궤도함수
s 오비탈의 궤도 함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