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성계옥 成季玉춤을 학습하였다. 1960년부터는 진주교방 출신의 최순이(崔完子, 1884∼1969)로부터 「진주검무」를 전수받기 시작하여, 1978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진주검무」의 예능보유자(검무, 장고)로 지정되었다. 진주검무 전수회관 건립시 자신의 사유지를 제공하였다. 1989년에는 경상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가곡 歌曲3기생(이주환, 이석재, 박창진), 4기생(김기수, 김종희, 장사훈)이 있는 바, 정경태는 주로 이병성에게 가곡을 배웠다. 1969년 국가의 중요 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의 보유자로 인정받은 사람은 이주환이며 이주환 문하의 전효준과 홍원기가 1975년도에 재인정되었다. 가곡의 장구 반주 채편은 변죽의 울림이 원칙...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박동진 호:인당(忍堂), 朴東鎭충무공 이순신전」, 「예수전」 등을 비롯해 여러 창작 판소리를 지었고, 수많은 공연을 통해 대중적인 큰 인기를 끌었다. 1973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적벽가」 보유자로 지정되었으며, 국립창극단장을 역임하였고, 금관문화훈장이 추서되었다. 활동사항 박동진은 1916년 7월 12일 충남 공주군 장기면...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이범호 李梵湖만허(滿虛) 등 출중한 범패승들을 배출하였다. 장벽응(張碧應)도 김추성과 이범호에게 배웠는데, 특히 이범호로부터는 짓소리 25종을 배웠다 한다. 제자 중 가장 음악성이 뛰어났던 유창렬은 1970년대초에 죽었고, 김운공과 장벽응만이 남아서 범패의 인간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보유자)로 지정되어 있다. 참고문헌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
판소리고법 판소리鼓法무형유산)로 지정되었으나 1991년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에 통합되면서 지정 해제되었다. 고법은 판소리 반주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고수를 따로 내세우는 일이 없어 조선시대에 명고수 이름이 전하는 이가 매우 드물다. 다만 고수로 행세하다가 다음에 명창이 되어서 이름이 전해지는 이는 조선 순조 때 가왕(歌王...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김석출 김경남(金京南), 金石出음악적 교류를 하면서 음악적 세계를 넓혔다. 젊어서는 경상북도 포항 등지에서 주로 활동했고, 30대 이후 부산으로 이주했다. 1985년에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제82-가호 동해안 별신굿의 예능보유자(악사)로 인정받았고, 2005년에 명예보유자로 인정되었다. 2005년 부산에서 별세했다. 그의 장녀인 김영희...
- 시대 :
- 현대
- 경력 :
- 중요무형문화재 제82-가호 동해안 별신굿 예능보유자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학연화대합설무 鶴蓮花臺合設舞칭송하는 내용을 주제로 삼고 있다. 『악학궤범』에 따라 학연화대 처용무합설로서 향악정재(鄕樂呈才)에 편입되어 있는데, 1971년 처용무가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면서 학무도 개별로 지정되었다. 당시 학무의 예능보유자인 한영숙(韓英淑)에서 이흥구(李興九)로 이어지다가 1995년 학연화대무로...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김월하 金月荷개설 경기도 고양 출생. 본명은 김덕순(金德順). 1973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가곡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36년서울 묘동교회 부설 묘동학원 야간부 고등과를 졸업하였다. 6·25전쟁 중 부산에서 이병성에게 시조를 배웠고, 1958년도부터는 이주환에게 가곡을 배웠다. 임석윤...
- 시대 :
- 현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제주큰굿 두이레열나흘굿, 濟州큰굿14일)굿’ 또는 ‘차례차례 제 차례 굿’으로, 굿의 연행기간, 규모면에서 가장 큰 종합적인 연희이다. 2001년 8월 16일 제주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어, 예능보유자 이중춘(제주시 구좌읍 거주)에 의해 그 원형이 보존 전승되고 있다. 2021년 12월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승격되었다. 제주큰...
- 유형 :
- 의례·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대금산조 大笒散調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대금산조는 정악대금(正樂大笒)보다 약 2율(律) 높은 산조대금 또는 시나위 젓대로 연주한다. 20세기 초 박종기(朴鍾基)에 의하여 처음 만들어졌다고 하며, 그의 가락은 한주환(韓周煥)이 이어받았다. 그 뒤 한범수(韓範洙)가 후진교육을 목적으로 박종기 · 한주환의 가락 중에서 듣기...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의료보호제도 醫療保護制度관한 법률 및 국가유공자예우 등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고 있는 자와 그 가족으로 국가보훈처장이 의료보호가 필요하다고 요청한 자 중 보건복지부장관이 의료...현, 국가유산기본법)에 의하여 지정된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의 보유자 및 그 가족으로 국가보훈처장이 의료보호가 필요하다고 요청한 자 중...
- 시대 :
- 현대
- 유형 :
- 제도
- 분야 :
- 정치·법제/법제·행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