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귀국선 歸國船내용 광복 후 일본과 중국 혹은 멀리 남방에서 돌아오는 귀국동포들의 감격을 표현한 노래이다. 노랫말은 모두 3절로 되어 있고 그 첫 절은 다음과 같다. 돌아오네 돌아오네 고국산천 찾아서 얼마나 그렸던가 무궁화꽃을 얼마나 외쳤던가 태극 깃발을 갈매기야 웃어라 파도야 춤춰라 귀국선 뱃머리에 희망도 크다 4...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손노원(孫露源) 작사, 이재호(李在鎬, 본명 三童) 작곡
- 창작/발표시기 :
- 1949년
- 성격 :
- 대중가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대중음악
-
옥진재시초 玉振齋詩抄옥진재시초』의 간행동기는 저자가 정조로부터 태의(太醫)라는 벼슬을 하사받고 태자의 탄생을 계기로 그에게 내려진 어필과 종이를 받은 뒤, 이에 감격하여 후손에게 남기고자 하는 뜻에서 자신의 신·구고(新舊稿)에 어필을 합편하여 간행하였다고 권두의 자서(自序)에 밝히고 있다. 『옥진재시초』 천책(天冊)은...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주명신(周命新)
- 창작/발표시기 :
- 1791년
- 성격 :
- 시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3책
- 분야 :
- 문학/한문학
- 소장/전승 :
- 장서각 도서
-
이총언 李悤言주는 등 은사(恩賜)를 후하게 하였다. 왕건은 또 서신을 보내어 “자손에 이르기까지 고마운 마음을 변하지 않겠다.”라는 굳은 맹세까지 하였다. 이총언은 감격하여 군사를 훈련시키고 양식을 저축하여 고립된 성을 지키며, 신라와 후백제 간의 전쟁지역 내에서 고려를 위하여 동남쪽의 큰 힘이 되어 후삼국통일에 기여...
- 시대 :
- 고려
- 출생 :
- 858년(헌안왕 2)
- 사망 :
- 938년(태조 21)
- 경력 :
- 벽진군장군
- 유형 :
- 인물
- 직업 :
- 호족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김만선 金萬善미덕을 갖추게 된다. 첫째, 그의 소설들은 광복 직후의 만주 풍경과 귀국자들의 내면 풍경에 대한 사실적인 기록이 되고 있다. 둘째, 그의 작품들은 광복의 감격이라는 것을 추상적으로 혹은 도식적으로 소리 높여 주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지 않고 냉정하게 그 현장의 명암을 직시하는 자세를 보여준다. 다시 말하면...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
- 직업 :
- 작가, 소설가
- 대표작 :
- 홍수, 절룸바리 돌쇠, 압록강, 해방의 노래, 이혼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애드리언 브로디 Adrien Brody피아니스트인 블라디슬로프 스필만을 찾기 위해 전유럽을 돌다시피 한 오디션에서 결국 주인공을 낙점하지 못하고 결국 미국에서 애드리언 브로디를 찾아내고 감격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애드리언 브로디는 이러한 감독의 선택이 틀리지 않았음을 입증하듯 전쟁의 공포에서 살아남은 폴란드인 예술가의 감정을 잘 보여...
- 출생 :
- 1973. 4. 14, 미국 뉴욕 주 뉴욕시티
- 국적 :
- 미국
- 직업 :
- 배우
- 수상 :
- 아카데미상 남우주연상(2003, 2025), 세자르상 남우주연상(2003), 골든글로브상 남우주연상(2025)
-
이욱시선집 李旭詩選集땅〉·〈5월의 붉은 맘씨〉·〈역마차〉·〈북두성〉·〈내 두만강에 묻노라〉·〈라자구〉·〈격(檄)〉·〈옛말〉·〈젊은 내외〉·〈석양의 농촌〉·〈그날의 감격은 새로워〉·〈황소야〉·〈선구자〉·〈삼대〉·〈일어서는 거리〉·〈사랑하는 거리〉·〈공원의 서정〉·〈고향〉·〈땅의 노래〉·〈꽃 언덕이...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이욱(李旭)
- 창작/발표시기 :
- 1980년
- 성격 :
- 시선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간행/발행 :
- 연길: 연변인민출판사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신경균 大空敬均, 申敬均조선영화인협회에 가입한 이후, 일제의 침략정책을 옹호하는 영화를 만들었다. 1942년 조선영화제작주식회사가 제작한 「병정님」의 진행을 맡았으며, 「감격일기」와 「우리들의 전장」이라는 친일영화를 연출했다. 해방 이후 안석영(安夕影)·윤봉춘(尹逢春)·이구영(李龜永) 등과 함께 한국영화협의회를 조직, 영화...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12년
- 사망 :
- 1981년 4월 21일
- 유형 :
- 인물
- 직업 :
- 영화인, 영화감독
- 성별 :
- 남
- 분야 :
- 예술·체육/영화
-
연화대 蓮花臺무란 중국 자지 지방에서 나온 춤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춤의 내용은 봉래(蓬萊)에서 내려온 두 동녀(童女)가 연꽃술로 태어났다가 군왕의 덕화(德化)에 감격하여 가무로써 그 은혜에 보답하는 것이다. 그런데 의복과 모자를 조촐하게 차린 두 동녀가 모자에는 금령(金鈴)을 달아 장단에 맞추어 움직이면 소리가...
- 시대 :
- 고려
- 성격 :
- 당악정재(唐樂呈才)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유형 사온(士溫), 柳珩창의사 김천일(金千鎰)을 따라 강화에서 활동하다가, 의주 행재소(行在所)에 가서 선전관에 임명되었다. 1594년 무과에 급제, 선조의 친유(親諭)를 받고 감격하여, 충성을 다하여 나라에 은혜를 갚겠다는 ‘진충보국(盡忠報國)’ 네 자를 등에 새겨 스스로 맹세하였다. 신설된 훈련도감에서 군사조련에 힘쓰다가 해남...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66년(명종 21)
- 사망 :
- 1615년(광해군 7)
- 경력 :
- 경상우도수군절도사, 삼도수군통제사, 경상도병마절도사, 평안도병마절도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임진왜란, 정유재란
- 직업 :
-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진주(晉州)
-
춘일방산사 春日訪山寺그리면서, 단순한 서경에만 머물지 않고 태평시절에 대한 간절한 꿈을 노래하고 있다. 내우외환의 소용돌이 속에 온갖 어려움을 겪어야만 하는 세상 형편에서 볼 때, 산사의 조화로운 모습은 벅찬 감격을 자아낸 것이다. 인간과 자연의 합일이 가능한 세계, 그것은 이규보가 추구한 태평시절의 한 양상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려
- 저작자 :
- 이규보
- 창작/발표시기 :
- 고려 중기
- 성격 :
- 한시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
-
그날이오면등 자유시 47편, 시조 10편, 산문 7편이 수록되어 있다. 표제시 「그날이 오면」은 1930년 3 · 1절을 맞이하여 1919년 3 · 1운동에 참여했던 당시 시인의 감격을 되살리면서, 광복된 조국의 그날을 열정적으로 노래한 민족항일기의 대표적인 저항시 중의 하나이다. 모두 2연으로 각 연은 8행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