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서복사지 서복사 절터, 西覆寺址발견되지 않았다. 이로 볼 때, 백제시대 창건사찰로서 계승되다가 백제 멸망기에 폐사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서복사지는 출토유물의 내용이나 강당이 결여된 가람 배치에서 일반적인 사원과는 성격을 달리하는 특수한 사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입지조건도 평지 가람이 아닌 산지 가람의 형식을 보이고 있다. 또한 궁성...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고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일본 비조사 호코지(法興寺), 日本 飛鳥寺사찰건립을 위한 목재를 벌목하였고, 592년 금당과 회랑이 완성되었다. 593년에는 탑심초에 불사리를 안치하고 심주(心柱)를 세웠으며, 596년 완공되었다. 가람의 형태는 중앙에 탑을 두고 동 · 서 · 북쪽에 각각 금당을 배치한 1탑 3금당 식의 가람배치로서 고구려 가람양식의 영향을 받았다. 596년부터 고구려 혜자...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통일신라시대의 한국 건축2개의 탑을 세우는 이탑식으로 변했다. 한편 밀교가 전래되고 선종이 유행하면서 사찰이 심산유곡으로 들어가 조영됨으로써 평지가람에서 산지가람으로 바뀌었다. 이러한 산지가람으로는 부석사(676)·해인사(803)·범어사(834) 등이 있으며, 이들은 전체적으로 좌우비대칭이고 자연의 지세를 최대한 활용한 것이 특징...
-
망덕사 望德寺의해 1969년 1970년 두 차례 발굴되었으며, 2013년에는 경주시와 계림 문화재 연구원에 의해 망덕사지 정비 · 복원을 위한 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망덕사 가람 구조는 가장 남쪽에 사찰 출입 시설로 추정되는 계단이 있고, 그 북쪽에 중문이 연결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다시 북쪽으로 동서 목탑이 위치하고, 금당과...
- 시대 :
- 고대/남북국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동창춘향가 童唱春香歌내용 「동창춘향가」는 현재 가람본(신오위장본(申五衛將本))과 새터본으로 남아 있다. 새터본은 강한영 선생이 가람본을 연구용으로 등서(謄書)한 것이므로 실제는 가람본이 「동창춘향가」로 유일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가람본에는 "동창일운여창(童唱一云女唱)"이라는 구절이 있고 "여창과 동창은 사설이 같되 혹...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강릉 굴산사지 江陵 崛山寺址이형기와 등의 특수기와, 고려시대 청자 및 백자, 중국도자, 분청사기 등이 다수 출토되었다. 이와 같이 수차례 발굴조사를 통해 굴산사지는 비록 창건기 가람구조가 정확히 확인이 되지는 않았지만, 사굴산문의 본산(本山)으로서 그 역사성에 걸맞게 승려의 수행과 생활, 선승에 대한 추모공간 등으로 구성된 성격의...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성주사 聖住寺오합사는 오함사, 오회사 등으로도 불렸다. 성주사는 1968, 1974년 두 차례에 걸친 발굴 · 조사를 시작으로 1991년부터 1996년까지, 그리고 2009년 이후 가람 중심부 및 주변부까지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발굴 조사를 통해 성주사 창건 이전에 사찰이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변천 성주사에서는 6세기 후반...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건물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
부여 정림사 扶餘 定林寺오층석탑(국보, 1962년 지정)과 부여 정림사지 석조여래좌상(보물, 1963년 지정)이 있다. 이 불상은 고려시대의 사찰 중수 때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가람배치는 강당(講堂)과 금당(金堂)과 중문(中門)이 일직선상으로 놓여 있고, 강당과 중문을 연결하는 회랑(廻廊)이 있으며, 금당과 중문 사이에 1기의 탑을...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경주 사천왕사지 慶州 四天王寺址시 「유금오록(遊金鰲錄)」을 통해, 15세기 후반 경 이미 민가(民家)로 변해버렸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 여러 차례 수습 조사된 바 있으나 전제적인 가람배치와 녹유소조상의 배치는 2006년부터 2012년까지 7차에 걸친 발굴조사로 확인되었다. 내용 경주 시내 동남쪽에 위치한 경주 낭산 일원(사적, 1968년 지정...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