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황해도 黃海道
    군에, 문화군을 신천군에 각각 병합하여 군현수가 줄어들었으며, 1914년 군면 폐합 때 다시 연안군·배천군이 연백군으로, 토산군이 금천군에 합속되었다. 1938년에 해주가 시로 승격됨에 따라 해주군을 벽성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50년 6·25전쟁 후 북한에 소속되었으며, 1954년에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북한
  • Echinochloa crus-galli var. frumentacea
    밭의 잡초로 자라고 있는 돌피나 물피로부터 파생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오랜 옛날부터 곡물로 먹기 위해 피를 심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황해북도 봉산군 지탑리에서 발견된 피의 유물은 한국에서 재배되는 여러 곡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요즈음에는 곡물로 먹기보다는 피집이...
    분류 :
    속씨식물 > 외떡잎식물강 > 벼목 > 벼과 > 피속
    원산지 :
    유럽, 북아메리카 (미국), 아시아 (인도,대한민국,일본,중국), 아프리카
    서식지 :
    밭, 저습지
    크기 :
    약 1m
    학명 :
    Echinochloa utilis Ohwi & Yabuno
  • 개성직할시 자연환경
    시의 북부는 아호비령산맥 말단부인 천마산 줄기가 황해북도와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북동부의 산악지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100m 이하의 구릉지이다. 천마산줄기에는 수룡산(716m)·제석산(749m)·천마산(757m)·묘지산(764m)·화장산(558m) 등이 솟아 있고 남서부지역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시의 북동부 경계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한국의 카르스트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북한에는 평안북도의 영변군·구장군, 평안남도의 개천시·덕천시·순천시, 평양특별시 강동군·중화군, 황해남도·황해북도 일대에 분포한다. 특히 평양에서 중화를 지나 황주에 이르는 일대에는 전형적인 카르스트 준평원이 전개된다. 석회동굴로는 구장군의 동룡굴·상초동굴·백령...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지구
  • 대승폭포 大勝瀑布
    약 0.9km 지점에 있다. 약 50분 정도 소요되는 거리에 있다고 소개되어 있다. 높이가 88m에 이르는 이 폭포는 금강산(金剛山)의 구룡폭포(九龍瀑布), 황해북도 개성의 박연폭포(朴淵瀑布)와 함께 우리나라 3대 폭포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이 폭포의 맞은편 언덕 반석 위에는 조선시대 명필인 양사언(楊士彦)이 썼다고...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원주시의 산업과 교통
    ㎢로 임야율은 71.5%이다(2014). 주요임산물은 대추·은행·도토리·버섯 등이다. 또한 원주칠이라고 하는 이 지방의 옻은 예로부터 평안북도 태천칠 및 황해북도 평산칠과 함께 품질이 뛰어나기로 유명하다. 옻나무가 치악산 일대에서 자생했으나 원주칠이 유명해지자 치악산을 비롯한 주변산지에 대단위 옻나무 단지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강원도
  • 상원군 祥原郡
    특별시에서 가장 많다. 양초공장이 있다. 1989년 연간 200만t 규모의 시멘트를 생산하는 상원시멘트공장이 건설되면서 중앙공업 및 지방공업이 발전했다. 황해북도 연산군 및 수안군으로 통하는 도로와 상원-중화, 상원-송림을 잇는 도로가 있으며, 평양-원산 간 고속도로가 군의 중앙부를 관통하고 있다. 상원읍...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보 (제1호 ~ 제100호)
    룡동리 고인돌 황해남도 배천군 룡동리 청동기 79호 소현서원 황해남도 벽성군 석담리 조선 80호 자혜사 황해남도 신천군 서원리 고려 81호 묘음사 현암 황해북도 재령군 서림리 장수산 통일신라 82호 해주 다라니석당 황해남도 해주시 해청동 고려 83호 학림사 오층탑 황해남도 장연군 학림리 청동기 84호 관산리...
    도서 위키백과
  • 국도 77호선 부산~개성선, 國道 77號線
    지방도로 분산되어 있던 도로를 일반 국도로 승격하면서 형성된 도로로 부산광역시에서 남해안 및 서해안을 따라 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 자유로 그리고 황해북도 개성시까지 이어지는 대규모 해안국도이다. 형성 및 변천 인천에서 서해안과 남해안을 따라 부산까지 이어지는 897㎞의 대규모 해안국도이다. 현재...
    시대 :
    현대
    유형 :
    지명
    분야 :
    경제·산업/교통
  • 판문군 板門郡
    1952년 행정구역 개편 때 개풍군의 봉동·상도·중·흥교·임한 등 5개면과 장단군 진서면의 일부지역을 포함하여 신설되었다. 1954년 개성시와 함께 황해북도에 속하다가 1955년 개성직할시에 편입되었으며, 1967년 평화리의 일부를 분할하여 판문점리를 신설하고 화곡리를 노동자구로 개편했다. 지형은 해발 100m 내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예성강 禮成江
    상류는 황해북도의 수안군·곡산군·신계군·평산군·금천군을 흐르며, 하류는 황해남도의 평천군을 지나 배천군과 개성직할시 개풍군 경계지역을 흘러 한강 하구부인 강화만에 유입한다. 길이 187.4㎞, 유역면적 4,202.3㎢, 유역평균너비 23.2㎞이다. 1년평균유속량은 62.1㎥/s이다. 이 강은 흐르면서 신계·곡산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한국의 주택
    주거의 형태는 이전 시대와 같은 움집이며 평면은 방형 또는 장방형으로 바뀌었다. 수혈의 중앙에서 안쪽으로 조금 치우친 곳으로 화덕자리가 옮겨졌고, 황해북도 봉산군에서는 칸막이 흔적이 발견되었다. 또한 신석기시대처럼 저장공(貯藏孔)이 없는 것으로 보아 저장공간을 따로 만들었을 가능성도 있다. 경기도 파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8건

황해북도
황해북도
황해북도 서흥군
황해북도 평산군
관개 용수를 저장하는 데 큰 구실을 하는 은파호
사리원 근교에 있는 동선 관문
송림시에 있는 황해 제철소
황주군에 있는 정방산
정방산의 정방 폭포
사리원시
금천군
봉산군
신계군
은파군
송림시
신평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