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카프 시인집몇몇 작품집을 발간하였다. 『카프 시인집』(1931), 『카프작가칠인집』(1932), 『농민소설집』(1933)이 바로 그것이다. 『카프 시인집』은 김창술, 권환, 임화, 박세영, 안막(安漠) 등의 5인 합동 시집이다. 이중임화, 권환, 안막 등은 카프의 2차 방향 전환, 즉 예술운동의 볼세비키화를 내세웠던 동경 소장파 그룹의...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朝鮮프롤레타리아藝術同盟文學部 編
- 크기 :
- 12.5×18(cm)
- 간행/발행 :
- 집단사, 1931.
- 면수/쪽수 :
- 98면
-
193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기림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기수바 있는 김기림은 영문학에 대한 소양과 보기 드문 현대 감각을 과시한 「기상도」를 내놓아 최재서로부터 극찬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이 작품은 때마침 임화와 박용철 사이에 벌어진 ‘기교주의’ 논쟁에서 비판의 표적이 된다. 임화는 장시 「기상도」가 서구 문명에 대한 호기심에서 비롯된 이국 취향, 지나친 기교...
- 출생 :
- 1908년
- 사망 :
- 미상
-
가려거든 가거라개설 4연 16행의 자유시이다. 1930년 일본에서 귀국하여 임화와 함께 카프의 소장파로서 주도권을 장악했을 때 쓴 시로 『조선지광』에 발표하였다. 목적의식이 뚜렷한 시로서 ‘우리 진영 안에 있는 소(小)부루조아지에게 주는 노래’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내용 이 시는 1930년대 초기 카프시의 문법을 그대로 반영...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권환
- 창작/발표시기 :
- 1930년
- 성격 :
- 시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194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각종 문학자 대회 개최이 무렵의 대립 상황을 가장 잘 보여준 일은 문학의 독자성과 자율성을 주장하는 김동리 · 조연현과 문학의 사회성과 계급성 및 역사성을 주장하는 임화 · 김동석 사이에 벌어진 순수―참여 문학 논쟁일 것이다. 어쨌든 노선 통합을 이룬 좌익 문학 단체 조선문학가동맹은 120여 명의 동맹원을 확보하고 새롭게 각오를...
- 시기 :
- 1946년
-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카프,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그리하여 제3차 조선공산당(ML)과 관련된 ≪무산자사 無産者社≫를 통하여 1929년경부터 신진이론가들의 계급문예이론이 KAPF의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임화(林和) · 김남천(金南天) 등 소장파들은 당시 사회운동의 조류에 발맞추어 ‘예술운동의 볼셰비키화’를 주장하고, ‘소부르주아적 편향을 척결할’ 목적으로...
- 시대 :
- 근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조선문학가동맹 朝鮮文學家同盟강령 등을 구체화하고 문학운동의 구심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국 문학자 대회」에서 발표한 「조선 민족문학 건설의 기본과제에 관한 일반보고」에서 임화는 식민지 시대부터 민족문학의 수립은 조선문학의 역사적 과제였다며 계급문학운동 또한 ‘계급문학의 형식’으로 표현된 민족문학운동이었다고 해석...
- 시대 :
- 현대
- 설립 :
- 1946년 2월 8일∼9일
- 성격 :
- 문학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1930년대의 한국문학사문학파 1933년의 한국 문학사적 변화 • 주요 역사적 사건 : 한인애국단 선언문 • 대표 문학가 : 이하윤 • 모더니즘의 물결과 구인회 • ‘물’ 논쟁 : 임화와 김남천의 대립 1934년의 한국 문학사적 변화 • 주요 역사적 사건 : 조선 농지령 • 대표 문학가 : 이기영, 박태원, 이상, 마해송, 김환태 • 카프 2차 검거...
-
후반기 後半期합창』이 선보인 그들의 시세계는 단일한 것이 아니라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양쪽에 걸쳐 있는 모습이었던바, 그 두 지향성에 있어서도 그들의 선배격인 임화(林和)나 김기림(金起林)의 영향을 떨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이 앞세운 ‘새로움’이란 결국 ‘전통주의적 관점’에 대한 반발에 다름 아니었다. 한국...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