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서광제 徐光霽, SEO Gwang-je
    함께 만든 영화 단체로, 신파성을 축출하고 지식을 갖춘 신인을 발굴하여 양성할 것을 목적으로 발족한 단체였다. 이 단체에 서광제를 비롯하여, 김유영, 임화 등이 함께 들어와 1년 남짓 교육을 받았고, 훗날 이들은 이 단체를 장악하여 사회주의 영화운동 단체이자 카프(KAPF)의 조직으로 전환하였다. 작품 세계...
    출생 :
    1901년 서울
    데뷔 :
    1938년 <군용열차>
  • 카프 시인집
    몇몇 작품집을 발간하였다. 『카프 시인집』(1931), 『카프작가칠인집』(1932), 『농민소설집』(1933)이 바로 그것이다. 『카프 시인집』은 김창술, 권환, 임화, 박세영, 안막(安漠) 등의 5인 합동 시집이다. 이중임화, 권환, 안막 등은 카프의 2차 방향 전환, 즉 예술운동의 볼세비키화를 내세웠던 동경 소장파 그룹의...
    시대 :
    근대
    저작자 :
    朝鮮프롤레타리아藝術同盟文學部 編
    크기 :
    12.5×18(cm)
    간행/발행 :
    집단사, 1931.
    면수/쪽수 :
    98면
  • 193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김기림 한국 모더니즘 문학의 기수
    바 있는 김기림은 영문학에 대한 소양과 보기 드문 현대 감각을 과시한 「기상도」를 내놓아 최재서로부터 극찬을 받기도 한다. 그러나 이 작품은 때마침 임화와 박용철 사이에 벌어진 ‘기교주의’ 논쟁에서 비판의 표적이 된다. 임화는 장시 「기상도」가 서구 문명에 대한 호기심에서 비롯된 이국 취향, 지나친 기교...
    출생 :
    1908년
    사망 :
    미상
  • 가려거든 가거라
    개설 4연 16행의 자유시이다. 1930년 일본에서 귀국하여 임화와 함께 카프의 소장파로서 주도권을 장악했을 때 쓴 시로 『조선지광』에 발표하였다. 목적의식이 뚜렷한 시로서 ‘우리 진영 안에 있는 소(小)부루조아지에게 주는 노래’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내용 이 시는 1930년대 초기 카프시의 문법을 그대로 반영...
    시대 :
    현대
    저작자 :
    권환
    창작/발표시기 :
    1930년
    성격 :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현대문학
  • 1940년대 한국문학사적 특징, 각종 문학자 대회 개최
    이 무렵의 대립 상황을 가장 잘 보여준 일은 문학의 독자성과 자율성을 주장하는 김동리 · 조연현과 문학의 사회성과 계급성 및 역사성을 주장하는 임화 · 김동석 사이에 벌어진 순수―참여 문학 논쟁일 것이다. 어쨌든 노선 통합을 이룬 좌익 문학 단체 조선문학가동맹은 120여 명의 동맹원을 확보하고 새롭게 각오를...
    시기 :
    1946년
  •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 카프, 朝鮮 Proletarier 藝術家 同盟 , Kore..
    그리하여 제3차 조선공산당(ML)과 관련된 ≪무산자사 無産者社≫를 통하여 1929년경부터 신진이론가들의 계급문예이론이 KAPF의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임화(林和) · 김남천(金南天) 등 소장파들은 당시 사회운동의 조류에 발맞추어 ‘예술운동의 볼셰비키화’를 주장하고, ‘소부르주아적 편향을 척결할’ 목적으로...
    시대 :
    근대
    유형 :
    단체
    분야 :
    문학/현대문학
  • 조선문학가동맹 朝鮮文學家同盟
    강령 등을 구체화하고 문학운동의 구심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전국 문학자 대회」에서 발표한 「조선 민족문학 건설의 기본과제에 관한 일반보고」에서 임화는 식민지 시대부터 민족문학의 수립은 조선문학의 역사적 과제였다며 계급문학운동 또한 ‘계급문학의 형식’으로 표현된 민족문학운동이었다고 해석...
    시대 :
    현대
    설립 :
    1946년 2월 8일∼9일
    성격 :
    문학운동단체
    유형 :
    단체
    분야 :
    문학/현대문학
  • 1930년대의 한국문학사
    문학파 1933년의 한국 문학사적 변화 • 주요 역사적 사건 : 한인애국단 선언문 • 대표 문학가 : 이하윤 • 모더니즘의 물결과 구인회 • ‘물’ 논쟁 : 임화와 김남천의 대립 1934년의 한국 문학사적 변화 • 주요 역사적 사건 : 조선 농지령 • 대표 문학가 : 이기영, 박태원, 이상, 마해송, 김환태 • 카프 2차 검거...
  • 한설야 한병도, 韓雪野
    유예로 풀려났다. 이후 귀향하여 서점·인쇄소·극장 등을 경영하면서 창작에 전념했다. 해방 직후 이기영과 함께 조선 프롤레타리아 문학동맹을 조직하여 임화·김남천의 조선문학건설본부에 대항하다 두 단체가 조선문학가동맹으로 합쳐지자 바로 월북했다. 북한에서 조선문학예술총동맹 결성 초기부터 주도적인 활동...
    출생 :
    1900. 8. 3, 함남 함흥
    사망 :
    1962(?)
    국적 :
    북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후반기 後半期
    합창』이 선보인 그들의 시세계는 단일한 것이 아니라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양쪽에 걸쳐 있는 모습이었던바, 그 두 지향성에 있어서도 그들의 선배격인 임화(林和)나 김기림(金起林)의 영향을 떨치지 못하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이 앞세운 ‘새로움’이란 결국 ‘전통주의적 관점’에 대한 반발에 다름 아니었다. 한국...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문학/현대문학
  • 박영희 朴英熙
    주도권을 확립했다. 1927년 당시 사회운동의 방향전환에 따라 목적의식론을 제창해 문예운동의 방향전환을 주도했고 신간회 간부로도 활동했다. 1929~30년 임화를 비롯한 소장파들이 도쿄[東京]에서 카프의 주도권을 장악하자 중심적 위치에서 물러나 1931년 이후 순수예술을 주장했다. 1931년 카프 제1차 검거사건 때...
    출생 :
    1901. 12. 20, 서울
    사망 :
    미상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 설정식 薛貞植
    시를 낭독하기도 했다. 1948년 정지용과 함께 〈문장〉 속간호를 펴냈고, 〈서울 타임스〉의 편집일을 맡아보았다.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나자 조선인민군에 입대하여 월북했으며, 1951년 개성에서 열린 휴전 담판에 인민군 대표단 통역관으로 참여했다가 1953년 박헌영·임화와 함께 미제 간첩혐의로 처형당했다...
    출생 :
    1912, 함남 단천
    사망 :
    1953. 8, 평양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작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임화
임화(林和)
임화의 평론집 〈문학의 논리〉
시인이자 사회주의 문학 운동가이며 선명한 이념으로 무장한 평론가로도 활동한 임화
조선민요선
임화(林和)
 근대적 의미에서 본격적 문학비평서인 (1940)를 쓴 임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