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
    신경의 길이가 짧습니다. 교감신경절후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은 노르에피네프린이며 부교감신경절후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은 아세틸콜린입니다. 기능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서로 반대 작용을 하면서 우리 몸의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교감 신경 : 척수의 중간 부분...
    관련 질환 :
    현훈, 저혈압, 심계항진, 소화불량, 배뇨 곤란
    관련 인체 :
    말초신경계, 중추신경계
    관련 검사 :
    근전도 검사, 신경전도검사
    도서 인체백과 | 태그 건강 , 인체
  • 근육질환
    重症筋無力症) 신경과 근육 사이의 연접부에서 신경충격이 근육으로 전달되지 못해 생기는 후천성 신경근육질환으로 자가면역에 의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에 대한 항체가 생김으로써 유발된다. 지속적인 근육쇠약이 일어나며 쉽게 근육피로가 나타나는데 얼굴·사지·목에서 특히 심하다. 혈액투석이나 부신피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근골격계
  • 노년기치매치료제
    개발되고 있다. 현재 치매 치료에 쓰이는 대표적 치료제로는 아리셉트(aricept)와 코그넥스가 있다. 이 치료제는 뇌세포들이 의사소통을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화학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의 분해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한국에서는 한방 생약제로는 처음으로 치매단이라는 치매치료제가 개발되기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약품 , 건강
  • 렘버트-이튼증후군 Lambert-Eaton syndrome
    중증 근무력증과 같이 근육이 약해지는 증후군. 신경세포의 신경전달물질(아세틸콜린)의 방출이 부족하여 발생하며 중증 근무력증과 달리 근육 수축은 지속된다. 대개는 소세포 폐암 혹은 자가면역질환과 관련이 있다.
    도서 암용어사전 | 태그 질병 , 건강
  • 데일 Sir Henry (Hallett) Dale
    1914년 아세틸콜린을 분리했다. 독일의 약학자 오토 뢰비와 함께 신경자극의 화학적 전달과정을 알아낸 공로로 1936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 1909년 케임브리지대학교 의학부를 졸업했다. 1904년부터 웰컴 생리학연구소에서 연구생활을 시작했다. 호밀 맥각의 화학구조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출생 :
    1875. 6. 9, 영국 런던
    사망 :
    1968. 7. 23, 케임브리지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카츠 Sir Bernard Katz
    신경과 근육의 기능에 대해 연구했다. 신경섬유에서 근육섬유로 신경충격을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분비에 관한 연구로 1970년 줄리어스 액설로드, 울프 폰 오일러와 함께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1934년 라이프치히대학교에서 의사자격을 얻은 후 카츠는 영국으로 이민가서 런던대학교...
    출생 :
    1911. 3. 26, 라이프치히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큐라레 curare
    복부수술시에 시클로프로판과 함께 주로 전신마취제의 보조제로 사용된다. 큐라레를 주사하면 횡문근을 이완시키는 신경근차단제로 작용해 신경말단에서 아세틸콜린과 경쟁하여 신경충격이 골격근이나 수의근을 활성화하는 것을 방해한다. 처음에는 발가락·귀·눈의 근육에 영향을 미치고, 다음에 목과 사지를, 최종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약품
  • 평활근세포 등에 짊어지고 있는 수많은 항아리들
    세포도 골격근세포처럼 운동종판(運動終板)을 만드는 것은 아니고 자율신경의 종말섬유(終末纖維)가 그물을 씌우듯 분포하여, 그곳으로부터 전달물질[아세틸콜린(actylcholine)이나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e)]이 뿌려진다. 물론 홍채(虹彩)나 정관(精管) 같은 특정 장소에서 신경지배는 보다 세밀하게 이루어져서...
    도서 누구나 세포 | 태그 세포
  • 에클스 Sir John Carew Eccles
    국립대학교에서 연구하면서(1951~66) 에클스는 자극으로 인해 신경세포가 흥분되면 시냅스에서 신경막에 있는 구멍을 확장시키는 물질(아마도 아세틸콜린)을 주변 세포로 분비한다는 것을 밝혔다(현재는 이러한 사실이 엑소시토시스에 의해 시냅스틈으로 방출된다고 알려져 있음). 확장된 구멍을 통해 나트륨 이온이...
    출생 :
    1903. 1. 27,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사망 :
    1997. 5. 2, 스위스 콘트라
    국적 :
    오스트레일리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Jean-Marie Lehn
    에테르들을 만든 페더슨의 업적을 발전시켰다. 비슷한 반응 특성을 지닌 3차원 분자들을 합성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에서, 그는 뇌에서 중요한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과 결합하는 어떤 한 분자를 만들었다. 그의 연구는 인체에서 합성된 것보다도 특성이 우수한 효소를 인공적으로 합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
    출생 :
    1939. 9. 30, 프랑스 로생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근육무력증 myasthenia
    등이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을 말합니다. 중증 근무력증 병리 소견은 신경근 접합부 후시냅스막의 형태 변화와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수의 감소를 보이는것으로 자가 항체에 의한 항원-항체 반응의 결과라고 생각됩니다. 유병률은 인구 10만 명당 6~10명으로 여자에게 호발합니다...
  • 가스트린 gastrin
    그 결과 위액의 분비(위산 분비)가 왕성해져 위 내부의 pH가 낮아지면 염산 및 가스트린분비는 멈춘다. 가스트린의 분비조절에는 신경계도 관여하고 있어 아세틸콜린이나 신경펩티드인 가스트린방출펩티드(gastrin releasing peptide, GRP)에 의하여 분비가 촉진되고, 소마토스타틴에 의해 억제된다고 한다. ( ⇨ gastrin...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9건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아세틸콜린가수분해효소의 활성부위와 아세틸콜린과의 결합양상
아세틸콜린 생성과 분해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의 아세틸콜린
부완핵 주위의 아세틸콜린,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신경핵들
부완핵 주위의 아세틸콜린, 세로토닌, 노르아드레날린 신경핵들
마이네르트기저핵의 아세틸콜린분비와 피질각성
마이네르트기저핵의 아세틸콜린분비와 피질각성
전뇌기저부 마이네르트 기저핵의 아세틸콜린 신경축삭과 중격해마신경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