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라예보 Sarajevo
    모스크, 정교회와 시너고그(유대교 회당)가 지척에 위치한 유럽의 유일한 대도시라는 점만 봐도 사라예보가 얼마나 복잡한 역사와 다양성을 지닌 도시인지 잘 알 수 있다. 매우 비극적인 현대사를 가지고 있는 사라예보는 1991년 세르비아군과 민병대에 의해 3년간 포위되었다. 45만 명이었던 사라예보 인구는 내전 후...
    도서 ENJOY 동유럽 | 태그 유럽 , 해외여행
  • 총대주교 總大主敎, patriarch
    노력했지만, 슬라브 지역에서 프레슬라프(932)·트르노보(1234)·페치(1346)·모스크바(1589) 등의 새로운 중심지들이 등장했다. 오늘날에는 9개 지역에 정교회 총대주교구들(콘스탄티노폴리스·알렉산드리아·안티오키아·예루살렘·모스크바·조지아·세르비아·루마니아·불가리아)이 있다. 총대주교와 다른 동방자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기독교 , 종교
  • Eastern Orthodox Church 동방 정교회, 正教会
    in theology and worship: including the fifteen autocephalous Churches of Constantinople, Alexandria, Antioch, Jerusalem, Georgia, Cyprus, Bulgaria, Serbia, Russia, Greece, Poland, Romania, Albania, Czech and Slovakia, America and a number of autonomous Churches. Each Church has a bishop and a...
  • 비잔티움 제국의 몰락, 오스만 제국의 콘스탄티노플 점령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으로 분열하는 동안에도 콘스탄티노플은 견고했다. 콘스탄티노플은 1204년 십자군 원정대와 베네치아에 장악되면서 쇠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1453년 오스만 튀르크 제국의 메메드 2세에게 함락된 후 오스만 제국의 수도가 되었고, ‘이스탄불’로 개칭되었다. 오스만 튀르크는 1299년 오스만...
    시대 :
    1453년
  • 아토스산 수도원 공화국 Monastic community of Mount Athos, ア..
    ივერთა მონასტერი, 이베르타 모나스테리) – 조지아인들이 설립 힐란다르 수도원(Χιλανδαρίου, 힐란다리우; Хиландар) – 세르비아 정교회 디오니시우 수도원(Διονυσίου) 쿠틀루무시우 수도원(Κουτλουμούσι) 판토크라토로스 수도원(Παντοκράτορος, 판토크라토로스...
    도서 위키백과
  • 도시테이 오브라도비치 Dositej Obradović, ドシテイ・オブラードヴィッチ
    오브라도비치는 1742년에 바나트지방의 차코보 마을(Čakovo, 지금의 치아코바)에서 태어났다. 1757년 2월 17일에 오브라도비치는 호포보 수도원의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사가 되었고, 이름도 도시테이/도시테우스(Dositej/Dositheus)라고 붙여졌다. 1760년 11월 2일까지 거기서 지냈다. He travelled Europe and Asia...
    도서 위키백과
  • 성 사바 대성당 Church of Saint Sava, 聖サワ大聖堂
    성 사바 대성당은 세르비아의 수도인 베오그라드의 브라차르에 위치한 대성당이다. 세르비아 정교회의 설립자인 성 사바를 기념하는 비잔티움 건축 양식의 대성당이다. 수용 인원은 10,800명, 내부 면적은 170,000m3이며 대성당의 전체 높이는 79m, 돔의 외부 높이는 70m, 돔의 내부 높이는 65m이다. 세르비아가 오스만...
    도서 위키백과
  • 스투데니차 수도원 Studenica Monastery, ストゥデニツァ修道院
    스투데니차 수도원는 세르비아 중부 크랄레보에 위치한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이다. 크랄레보에서 남서쪽으로 39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1190년 세르비아 대공국의 스테판 네마냐 대공에 의해 설립되었다. 성벽에 둘러싸인 2개의 부속 성당인 처녀 성당, 왕의 성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13세기부터 14세기까지...
    도서 위키백과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Federation of Bosnia and Herzegovi..
    중심을 잡고 있는 지역이다. 대부분 이슬람 문화와 가톨릭 문화가 섞여 있지만, 약간의 세르비아풍 문화도 있다. 종교는 이슬람교와 로마 가톨릭이며, 일부는 세르비아 정교회를 믿기도 한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행정 구역은 10개 주로 나뉜다. 1. 우나사나주 2. 포사비나주 3. 투즐라 주 4. 제니차도보이주...
    도서 위키백과
  • 유엔 동슬라보니아 바라냐 서시르미움 과도행정기구 United Nations Transit..
    젤레토브치 유전의 긴장 상태 해소와 평화적인 탈환이었다. 이를 위해 대표단은 자그레브 주재 대사들에게 젤레토브치 지역을 방문하라 촉구했고 세르비아 정교회와 현재 활동중인 2개 카톨릭교회를 방문하라고 소개했다. 1997년 4월 13일에는 UNTAES가 1997년 크로아티아 상원 선거(지역대표의회)를 지원하였고 이 당시...
    도서 위키백과
  • 고대교회 슬라브어 Old Church Slavonic language
    지역에서도 곧 받아들여져 지역에 따라 수정된 형태로 중세 동안 슬라브 정교회의 종교어와 문어로 쓰였다. 12세기 이후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 이...오늘날까지 예배의식 언어로 쓰이고 있다. 19세기까지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에서 계속 문어로 써왔고 현대 슬라브 제어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비잔티움 법전 nomocanon
    577 재위)가 편집하고, 뒷날 총대주교 포티우스(820경~891)가 당시 상황에 맞게 개정한 뒤 883년 새 판을 발행했다. 비잔티움 법전의 슬라브어판은 1219년 세르비아의 초대 대주교 사바가 〈조타수의 책 Kormchaya kniga〉이라는 제목으로 편집했는데, 모든 슬라브 정교회가 이 법전을 받아들였다. 18세기에 제국법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