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라수목원 漢拏樹木園
    10만여 본의 식물을 전시하고 있는데, 이중 목본류는 500종, 초본류는 600여 종에 이른다. 이 중 제주도 고유수종인 구상나무, 눈향나무, 비자나무 등 790종과 은행나무, 미선나무, 병솔나무 등 제주도에 자생하지 않는 국내외 수종 310종도 전시하고 있다. 특히 제주지역 희귀 및 멸종위기, 특산식물 집중적으로 수집...
    시대 :
    현대
    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수목원길 72
    설립 :
    1993년 12월 20일
    성격 :
    공립수목원
    유형 :
    단체
    설립자 :
    제주특별자치도
    분야 :
    과학/식물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多島海海上國立公園
    송덕비가 있다. 보길도는 〈오우가〉·〈어부사시사〉 등의 시조를 남긴 고산 윤선도가 섬의 아름다움에 반해서 정착한 곳으로 유명하다. 동백나무·황칠나무·비자나무·후박나무가 자란다. 이밖에 보길도해수욕장과 국민관광지로 지정된 신지도의 신지해수욕장이 있다. 조도지구의 진도는 진돗개의 본고장으로 알려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국내여행
  • 손죽열도 巽竹列島
    거문도·소거문도 등은 200~300m 정도의 산지를 이루며, 평지의 발달은 미약하다. 주변 해안일대의 수심은 10m 내외로, 깊은 곳은 20m 이상 된다. 기후는 온화하며 겨울에도 눈을 거의 볼 수 없다. 특히 거문도에는 난대성 식물인 비자나무·동백나무·팔손이나무 등이 자생한다. 여수에서 출발하는 정기여객선이 운항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한려해상국립공원 閑麗海上國立公園
    등 해상관광자원이 풍부하며, 임진왜란 때 일본 수군을 대파한 이순신 장군의 유적이 많아 역사의 산현장으로도 유명하다. 또한 기후가 온화해 동백나무·비자나무·유자나무·풍란 등 난대성식물이 자생한다. 총면적 510.32㎢ 가운데 바다 면적이 344.76㎢이고, 그 나머지는 섬을 포함한 육지로 면적은 165.56㎢이다...
  • 하동군의 자연환경
    江] 유역에서 동진해오는 저기압을 가로막는 지형성 강우지역으로 한국의 최대 다우지역이다. 지난 6년간의 연평균강수량이 1,663.2㎜이다. 군내에는 탱자나무·팽나무·비자나무·동백나무 등을 비롯하여 기타 여러 종류의 난대성 상록활엽수가 자란다. 그밖에 북부지역의 고산지대에는 젓나무·자작나무 등이 분포한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 경상남도의 자연환경
    0~2℃, 북쪽 내륙의 거창·함양·합천 지방이 -2~-3℃로서 지역적인 차이가 크다. 남해안과 도서지방은 특히 겨울이 따뜻하여 동백나무·비자나무·탱자나무·팽나무·후박나무 등의 난지성 상록활엽수가 무성하게 자라고 있다. 연평균강수량도 해안지방이 1,500㎜ 내외이고, 경상북도에 인접한 북부내륙의 합천지방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경상남도
  • 장흥군의 자연환경
    분포해 있다. 연평균기온 12.8℃ 내외, 1월평균기온 0.1℃ 내외, 8월평균기온 25.6℃ 내외, 연강수량 1,496.1㎜ 정도이다. 쿠로시오 해류의 영향으로 연중 수온이 높은 남해안을 끼고 있어 기후가 온화하며, 북부 산지의 지형성 강우로 강수량이 많다. 소나무·개서나무·단풍나무·때죽나무·비자나무 등이 서식하고...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전라남도
  • 유치자연휴양림
    변강쇠와 옹녀 바위 등 웅장한 기암괴석 등 뛰어난 자연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휴양림 주변 산림은 편백, 비목나무, 가래나무, 비자나무, 굴피나무, 참나무류, 산수유, 고로쇠나무, 산벚나무, 단풍나무 등 400여 종의 온난대림에서 내뿜는 피톤치드가 풍부하며 가을이면 단풍이 아름다워 전국 어디에서도 느낄 수 없는...
    위치 :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휴양림길 154
  • 한려 해상국립공원 閑麗 海上國立公園
    경관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어족자원이 풍부하며, 특히 이순신(李舜臣)의 전승 유적지가 많다 또한, 기후가 온화하여 난대성식물인 동백나무 · 비자나무 · 치자나무 · 유자나무 · 춘란 · 풍란 등이 자생한다. 이 지역에는 어장과 농경지가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보호 관리에 단점이 있어 6개 지구로...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백양사
    절 입구에서 20분 거리인 약사암은 전망대 격으로 첩첩산중에 둘러싸인 백양사의 모습이 한눈에 조망된다. 절경 맞은편에는 난대성의 늘 푸른 나무비자나무 5,000그루가 군락을 이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주차장에서 절로 오르는 0.5㎞ 구간에 우거진 수백 년 된 아름드리 갈참나무 거목들, 3,000여 그루...
    위치 :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백양로 1239 (북하면)
  • 서동사(해남)
    常用勸供文)」이라는 책이 전한다. 책 끝부분에 1849년(현종15)에 해당하는 연도가 적혀있어 범자다라니경목판보다 시기가 빠른 고서라는 점에서 주목되고 있다. 문화재로는 서동사 목조삼존불 좌상 보물 1715호와 전라남도 기념물 제245호 서동사 동백나무 비자나무숲이 있다. 참고문헌 https://www.haenam.go.kr/tour...
    위치 :
    전라남도 해남군 화원면 절골길 244
  • 음수림 蔭樹林
    음수는 햇빛 잘 들지 않는 그늘에 잘 자라는 나무를 말한다. 주목, 비자나무, 참나무 종류 등은 일반적으로 음수로 취급한다. 음수라고 해서 평생 다른 나무의 그늘 밑에서 자라기만 하는 나무는 아니다. 대체로 어릴 때, 나이로 따져서는 수십 년에서 주목처럼 생장이 느린 수종은 백년을 넘게 음지에서 직접 햇빛을...
    도서 다음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4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비자나무 종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