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콩배나무 Fauriei callery pear
    익는다. 생태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보통 떨기나무 크기로 자라지만, 잘 자라면 10m에 이를 정도로 자라기도 한다. 이용 나무 대목, 관상용으로 심으며, 열매를 식용한다. 해설 열매는 먹을 수 있다. 본 분류군은 1906년 슈나이더(C.K. Schneider)에 의해 종으로 설정된 분류군이다. 1916년...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배나무속
    서식지 :
    침엽수와 활엽수가 섞여 있는 숲 또는 숲의 가장자리, 경사 지대
    크기 :
    높이 3-5m
    학명 :
    Pyrus calleryana Decne. var. fauriei (C. K. Schneid.) Rehder
    꽃말 :
    온화한 애정
    국내분포 :
    경기도 이남 지역, 황해남, 황해북
    해외분포 :
    일본, 중국
    개화기 :
    4-5월
  • 산돌배나무 산돌배
    5개이다. 열매는 이과, 둥글다. 생태 낙엽 큰키나무이다. 꽃은 4-5월에 피며, 열매는 9월에 익는다. 이용 열매를 식용 및 약용하며, 나무의 접목으로 사용한다. 해설 돌배나무(P. pyrifolia (Burm. f.) Nakai)에 비해 잎에 예리한 침상 톱니가 있으며, 열매에 꽃받침이 떨어지지 않고 남아 있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장미목 > 장미과 > 배나무속
    서식지 :
    산지
    학명 :
    Pyrus ussuriensis Maxim.
    국내분포 :
    전국
    해외분포 :
    러시아(극동), 일본, 중국
  • 선박
    눈부신 발전을 보게 되어 증기기관선에 이어 디젤기관선 · 증기터빈선이 늘어나고, 오늘날에 와서는 원자력선도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의 원시적 형태는 나무를 묶어 만든 뗏목, 통나무의 가운데 부분을 파낸 통나무배, 수피(獸皮) · 목피(木皮)를 이용한 가죽 등으로서 이들은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사용되고...
    유형 :
    개념
    분야 :
    경제·산업/교통
  • 괴산 사담리 망개나무 자생지 槐山 沙潭里 망개나무 自生地
    털이 없다. 줄기는 곧추 자라지만 가지는 밑으로 처진다. 열매는 긴 타원형 또는 원통형으로 8월에 붉게 익으며, 길이는 5∼7㎜이다. 경상도에서는 살나무 또는 멧대싸리라고 하며, 밀원식물(蜜源植物: 벌이 꿀을 빨아오는 식물)로도 중요시되고 있다. 망개나무는 일본에도 있으나 그곳에서도 대단히 희귀한 식물이다...
    유형 :
    지명
    분야 :
    과학/식물
  • 나무시집보내기 가수, 나무媤집보내기
    나무시집보내기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고 한다. 농가에서는 제사나 잔치 때, 혹은 일상생활에 쓰기 위하여 울안이나 집 근처에 감나무 · 대추나무 · 밤나무 · 나무 · 사과나무 등의 과목(果木)을 심는다. 장에서 구입해서 쓰는 수도 있으나 자가 생산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고, 특히 제사를 지내는 장손집에서는...
    유형 :
    개념
    분야 :
    생활/민속·인류
  • 회령백살구나무
    있다. 이 나무는 거무스름한 재빛나는 붉은 밤색이며 묵은 가지는 진한 붉은 밤색에 누런 얼룩점이 있고 윤기가 난다. 서쪽과 북쪽, 동쪽에는 살구나무·나무·사과나무들이 자라고 있는 과수원이 있다. 회령지방을 비롯한 북부와 중부지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꽃은 잎이 피기 전 4월 하순경에 피며, 꽃잎은 흰색...
    문화재 지정 :
    북한 천연기념물 제439호
    서식지 :
    함경북도 회령시 창효리
    성격 :
    식물
    유형 :
    동식물
    크기 :
    높이 5.2m, 뿌리목 둘레 1.08m, 가슴높이 둘레 1.02m, 수관(樹冠) 지름 6.0m
    분야 :
    과학/식물
    개화기 :
    4월 하순
  • 울진 쌍전리 산돌배나무 蔚珍 雙田里 山돌배나무
    3∼5가마니를 수확한 일이 있고 돌배가 많이 열리는 해는 풍년이 든다는 전설도 있다. 지금은 나무의 생육상태가 좋지 않아 열매는 거의 열리지 않는다. 이곳의 나무는 가장 큰 노거목으로 인정되어 학술적으로 귀중한 자료로 되어 있고, 또한 우리 민족의 문화생활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귀중한 나무이다. 참고문헌
    유형 :
    생물
    분야 :
    과학/식물
  • 나무잎말이나방
    오목하다. 파악판은 아주 짧고 삼각형을 이룬다. 삽입기는 튼튼하고 뾰족한 침 모양의 끝돌기를 가지고 있다. 유충 머리는 황갈색에 흑갈색 무늬로 얼룩져 있으며, 몸 길이가 18mm 정도이다. 습성 기주식물 사과나무, 나무류, 왕벚나무, 양벚나무, 버드나무류, 당느릅나무, 단풍나무류, 네군도단풀, 팥류, 장미류
    분류 :
    나비목 > 잎말이나방과 > 똥풍뎅이속
    크기 :
    날개길이는 수컷은 20~22mm, 암컷은 22~25mm
    학명 :
    Ptycholoma nipponica Oku
    국내분포 :
    경기도 수원시, 남양주시 광릉
    해외분포 :
    일본, 아무르, 우수리
    기주식물 :
    사과나무, 배나무류, 왕벚나무, 양벚나무, 버드나무류, 당느릅나무, 단풍나무류, 네군도단풀, 팥류, 장미류
  • 우리나라의 재배 역사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야생종 가 재배되고 있었다. 제민요술(530∼550)에 를 재배한다고 되어 있고 고려 명종 18년에는 나무를 심어 소득을 높이도록 나라에서 권장했다는 사실이 있다. 조선 성종(1469∼1494) 때에는 가 주요 과수로 재배되어, 품질이 좋은 상품을 골라서 진상품으로 나라에...
    도서 | 태그 산업 , 과일
  • 도쿄 과학관 깊이를 알 수 없는 바다와 그 위를 횡단하는 배의 세계
    통해 접해본다. 3층에서는 고대부터 도쿠가와 막부시대 말기와 메이지시대 초기까지 일본의 의 역사를 정교한 모형을 통해 관람하게 된다. 특히 에도시대의 나무는 일본 전통의 디자인이 그대로 살아 있다. 또한 실외 수영장과 비슷한 공간에 를 띄워 무선 조종을 할 수 있도록 만든 게임장은 아이들에게 무척...
    대륙 :
    아시아
    국가 :
    일본
    소재지 :
    3-1 Higashi-yashio, Shinagawa-ku, Tokyo 135-8587
    분야 :
    과학
    휴관일 :
    월요일 휴관, 단 방학 기간 및 황금 연휴 기간은 제외
    가는 법 :
    지하철 유리카모메 라인 후네노카가쿠칸(Funenokagakukan)역 하차.
    사이트 :
    www.funenokagakukan.or.jp
    이용 시간 :
    화요일~일요일 : 오전 10시~오후 5시
  • 괴산 사담리 망개나무 자생지
    곳에서 자란다. 번식력이 매우 약하나 한 번 싹을 틔우면 잘 자란다. 잎이 길고 타원형이며 꽃은 6월에 황색으로 피어나고, 열매는 타원형으로 8월에 붉게 익는다. 경상도에서는 살나무 또는 멧대싸리라고도 한다. 참고문헌 괴산 문화관광 https://www.goesan.go.kr/www/index.do 참고문헌 문화재청 http://www.cha.go.kr
    위치 :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사담리 산8-1
    문화재 지정 :
    천연기념물 제266호(1980년 09월 29일 지정)
  • 딱따구리 나무를 쪼네
    賢 고금의 사람 일이 죄다 이와 같거니와 古今人事盡如此 아아! 너는 어이 홀로 이렇듯이 하는 게냐. 吁此汝身何獨然 앞서의 시에서 딱따구리는 제 를 채우자고 나무를 죽이는 못된 새로 그려진 데 반해, 송순은 벌레의 해로부터 나무를 지키기 위해 제 한 몸 희생하는 갸륵한 새로 묘사했다. 천 년 묵은 아름드리나무...
    도서 새 문화사전 | 태그 고전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0건

돌배나무
배나무
돌배나무
배나무
돌배나무
배나무
돌배나무
배나무
배나무
배나무
배나무
배나무
배나무
배나무
배나무
배나무
배나무
배나무
배나무
배나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