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초기 그리스도교 건축이들이 참고한 건축은 이교도들이 우상을 숭배하던 신전건축이 아니라 실용성을 지닌 세속건축이었다. 특히 제단·사제석·회중석이 필요한 교회 건물은 바실리카에서 그 형식을 채택해 이것이 그후 서유럽 교회건축의 원형이 되었다. 유명한 로마의 구(舊)성베드로 대성당은 330년, 산파올로 성당은 380년 봉헌되었다...
-
디종 Dijon유물은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있다. 구시가지 서쪽에 있는 생베니뉴 대성당은 부르고뉴 고딕 양식의 전형으로, 14세기초 로마네스크 양식의 바실리카를 헐고 지었는데 지금도 바실리카의 지하실이 남아 있다. 바로 옆에 있는 생필리베르 성당은 오늘날 미사 외의 일에 쓰이지만 12세기에 지은 신랑(身廊)이 아직도 있다...
- 위치 :
- 프랑스 중동부 부르고뉴 지방 코트도르 주, 우슈 강과 쉬종 강 합류지점
- 인구 :
- 152,071명 (2022년 추계)
- 면적 :
- 40.41㎢
- 언어 :
- 프랑스어
- 대륙 :
- 유럽
- 국가 :
- 프랑스
-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강화읍성당, 大韓聖公會 江華聖堂제일 먼저 성당을 건립한 것인데, 대한성공회에서는 가장 오래된 역사를 지니게 되었고, 현존하는 한옥 교회건물로서도 가장 오래된 것이다. 서유럽의 바실리카(Basilica)양식과 동양의 불교사찰양식을 과감하게 조합시켜 건립하였다. 교회의 내부공간은 바실리카양식을 따랐고, 외관 및 외부공간은 불교사찰의 형태를...
- 시대 :
- 근대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개신교
-
카르타고 Carthage지은 원형경기장, 수많은 목욕탕과 신전들, 곡마장이 있다. 시내에 있는 그리스도교도의 건물들은 반달족의 건축물 몇 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비잔틴 양식으로 되어 있다. 가장 큰 바실리카는 본래 바실리카가 있던 자리에 6세기에 재건된 것이다. 3, 4세기에도 교회들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지만 그 자취는 남아 있지...
- 위치 :
- 튀니지의 지중해 연안
- 인구 :
- 24,216명 (2014 추계)
- 면적 :
- 8.3㎢
- 대륙 :
- 아프리카
- 국가 :
- 튀니지
- 참고 :
- 유네스코 세계유산 (1979년)
-
-
바로크건축, 렌과 영국 바로크분류 기준은 기하 형태, 평면 유형, 천장 유형의 셋이었다. 기하 형태는 사각형, 정사각형, 팔각형, 원, 타원 등을 사용했다. 평면 유형은 1랑식 바실리카, 3랑식 바실리카, 홀 교회, 그리크 크로스, 중앙집중형 등을 사용했다. 천장 유형은 평천장, 크로스 볼트, 배럴 볼트, 돔 등을 사용했다. 이 세 가지를 조합하여...
-
트리어 트레브스, Trier도시의 성문인 포르타니그라와 로마 공중목욕탕, 100년경의 원형경기장, 4세기에 만들어진 로마 황제 알현실과 핵심부가 남아 있는 바실리카 등이 있다. 포르타니그라와 바실리카는 중세에 교회로 쓰이다가 복원되었다. 거대한 로마네스크 양식의 대성당은 550년경에 재건되었으며, 11~13세기에 확장되었다. 이 대성당...
- 위치 :
- 독일 라인란트팔츠 주 서부, 모젤 강 중류 연변
- 인구 :
- 100,129명 (2020년 추계)
- 면적 :
- 117.13㎢
- 언어 :
- 독일어
- 대륙 :
- 유럽
- 국가 :
- 독일
-
-
-
비잔틴건축, 5 ・ 6세기 라벤나세례당(Orthodox Baptistery, 400~450), 성 조반니 에반젤리스트(St. Giovanni Evangelist) 등이다. 5세기 중반 이후에는 로마의 보수주의가 밀려들어 바실리카 원형이 부활했다. 갈라 플라치디아의 원형 무덤과 동방정교회 세례당은 중앙집중형 건물로 주로 동방의 영향을 받았으며 여기에 4세기 밀라노에서 있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