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도가 사상은 얼마나 오래되었나?노자가 자부심에 가득 찬 젊은 공자(B.C. 551~479)를 꾸짖었다는 일화가 담겨 있다. '도'의 개념은 불교 사상에도 크게 기여했는데, 특히 선종(禪宗)의 돈오(頓悟) 사상에서 강조되어왔다. 중국 도가 철학에서 가장 위대한 철학자 중 한 사람은 기원전 4세기경에 활동한 장자로, 그는 개인의 정신적 자유를 추구하는...
-
원융사상 원융설, 圓融思想圓通記)』와 지눌(知訥)의 『원돈성불론(圓頓成佛論)』, 보우(普愚)의 「화엄삼매가(華嚴三昧歌)」 등에도 원융사상이 깊이 반영되어 있다. 지눌의 경우에는 돈오(頓悟)와 점수(漸修)를 주창하던 당시 선(禪) 사상계를 원융으로 합치려는 의지가 엿보인다. 또한 조선시대의 고승인 서산대사는 『선가귀감(禪家龜鑑...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혜일 慧日깨침이 공부에 들어가는 첫 단계에서 자기 마음이 곧 참된 부처임을 바로 믿는 데에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보조가 말하는 바의 깨침은 본각적(本覺的) 돈오(頓悟)라기 보다는 시각적(始覺的) 돈오(頓悟)인 해오(解悟)이다. 그러나 혜일에 의하면 만약 터럭 끝만큼이라도 제하여 버릴 번뇌습기가 남아 있다면, 이것은...
- 분야 :
- 종교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지선문사자승습도(中華傳心地禪門師資承襲圖)』에서 당나라 시대의 선의 유파인 북종(北宗)·우두종(牛頭宗)·홍주종(洪州宗)을 비판하고, 하택종(荷澤宗)의 돈오점수(頓悟漸修)야말로 최상의 가르침이라고 주장하였다. 『사기(私記)』에서도 이를 이어, 하택(荷澤) 신회(神會)가 주장한 돈오점수·공적영지(空寂靈知...
- 분야 :
- 종교
- 지역 :
- 부산광역시 금정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