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시 Vannevar Bush
    전기망(電氣網)분석기를 고안했으며 1930년부터 MIT에서 미분방정식을 풀기 위한 미분해석기를 만드는 팀에서 일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기계는 18개의 독립변수를 다룰 수 있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컴퓨터 발달을 예고했다. 이밖에도 코드와 마이크로필름을 사용하여 편리하게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고속 선택기...
    출생 :
    1890. 3. 11, 미국 매사추세츠 에버럿
    사망 :
    1974. 6. 28, 매사추세츠 벨몬트
    국적 :
    미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전기/전자
  • 함수 函數, function
    ①종속 변수독립 변수의 관계를 표시하는 수학상의 관계식. 예를 들면, y=Ax+B로 나타낼 수 있다. ②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식 내에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값이 정해지는 절차. 함수의 호출 및 함수의 인용에는 함수의 뒤에 인수의 배열(argument list)이 첨가된다.
  • 단순회귀분석 Simple linear regression, 簡單線性迴歸
    회귀분석이 연속형 변수들에 대해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단순 회귀 분석은 독립 변수가 단일개일 때의 분석을 의미한다. 기본적인 회귀모형은, y_i=\beta _0 + \beta _1 X_i + e _i 이다. 여기서 추정 회귀식을 구하면, y _i^* = \beta _0^* + \beta _1^* X_i 이다. 독립변수는...
    도서 위키백과
  • 항수 (수학) Arity, アリティ
    항수(項數) 또는 애리티(arity)는 수학, 논리학, 컴퓨터 과학에서 함수 또는 연산이 취하는 독립변수나 오퍼랜드의 개수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이항관계의 항수는 해당하는 카르테시안 곱의 정의역의 차원이다. 0항 함수(무항함수)는 아무 독립변수를 취하지 않는다. 예: f=2 단항함수는 하나의 독립변수를 취한다. 예...
    도서 위키백과
  • 임피던스 함수 -函數, impedance function
    또는 그와 같은 양(응답)과의 비를 나타내는 p의 함수가 되는 것. 여기서, 전압부는 ept(e:자연 대수의 밑수, p:임의의 수이지만 t와는 독립적, t:항상 물리적으로 시간인 독립 변수)이며, 전류부는 ept/z(p)인 형의 정상 상태 응답이다. 전기 회로에서 전압은 항상 구동력이고 전류는 응답이다. 전자계 방사에서는 전계...
  • 타원형편미분방정식 elliptic partial differential equation,..
    B, C는 x, y만, M은 x, y, u 및 p=∂u/∂x, q=∂u/∂y의 함수로 한다. 1계 미분 방정식 Ap2+2Bpq+Cq2=0의 2개의 풀이를 ξ=ξ(x, y), η=η(x, y)로 하고 독립변수를 x, y에서 ξ, η로 변환하면 B2+AC=0일때 주어진 미분 방정식은 의 형태로 변환된다. B2-AC>0의 경우를 쌍곡선형, B2-AC<0의 경우를 타원형이라고...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중심 극한 정리 Central limit theorem, 中心極限定理
    big] = 0}} 랴푸노프 중심극한정리와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여기에서 \mathbf{1}_{\{\cdots\}}는 지시 함수이다. 마팅게일의 경우, 각 X_i들이 독립 변수가 아니므로 위 정리들은 성립하지 않는다. 다만, 이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마팅게일 중심극한정리가 성립한다. 만약 각 확률변수 X_i가 마팅게일을 이루며, n...
    도서 위키백과
  • 수학에서 차원은 어떻게 설명할까?
    수학에서 차원은 수학적 대상 또는 원래 기하학적 대상이 나타내는 점이나 그 대상 위에 있는 점들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좌표(독립변수)의 수를 말한다. 대상의 차원은 종종 그것의 차원수로 말하기도 한다. 각 차원은 1개의 점에서 여러 개의 점들까지 공간에 있는 점들을 나타낸다. 차원 개념은 수학에서 기하학적...
  • 도함수를 설명하는 두 가지 방법은?
    이것은 한 점에서 곡선에 접하는 접선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물리적으로 x에 관한 y의 도함수는 x의 변화량에 대한 y의 변화량의 비율로 설명한다. 이때 독립변수는 종종 시간을 나타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속도는 이동한 거리 s와 경과된 시간 t에 관한 식으로 나타낸다. 평균속도는 ∆s/∆t로 나타내며, 순간속도는 ∆t...
  • 제어 시스템의 기본원리
    개발된 지식을 이용하고자 자신의 작동을 변경할 수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학습형 제어 시스템은 적응성 제어 시스템이 더욱 고도로 발전된 것이다. 독립 다중변수 제어(multivariable-noninteracting control)에서는 대형의 시스템에서 내부 변수의 크기가 공정에 연관되어 있는 다른 변수의 값과 관련되어 있다...
  • 고르바초프 시대
    같은 엄청난 권한을 가진 소련 최초의 대통령이 되었다. 하지만 엄청난 권력을 가진 대통령이라는 자리에서 언제든지 그를 끌어내릴 수 있는 가장 큰 변수독립을 요구하며 분규를 일으키는 소수민족 문제였다. 예측할 수 없는 소수민족 문제 고르바초프의 등장 이후 소수민족 문제는 소련을 괴롭히는 가장 큰 문제...
  • 현대 미적분학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극한 및 함수의 미분과 적분에 관한 수학 분야다. 증명을 강조하는 응용 미적분학도 있는데, 이것은 미적분학을 훨씬 더 복잡한 것으로 만든다. 미분학 독립변수의 변화에 관한 함수의 변분을 다루며, 도함수와 미분을 구한다. 적분학 미분 방정식을 풀기 위해 적분과 그 활용을 다룬다. 또한 넓이와 부피를 구할 때도...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